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무위'에 해당되는 글 3

  1. 2013.01.06 제1편 소요유(逍邀遊 ) - 4
  2. 2013.01.04 도덕경(道德經) 제1장
  3.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10장

惠子謂莊子曰:
魏王貽我大瓠之種
我樹之成而實五石
以盛水漿 其堅不能
剖之以為瓢 瓠落無所容
非不呺然大也
吾為其無用而掊之


莊子曰:
夫子固拙於用大矣
宋人有善為不龜手之藥者
世世以洴澼絖為事
客聞之
請買其方百金
聚族而謀曰:
我世世為洴澼絖 不過數金
今一朝而鬻技百金 請與之
客得之 以說吳王
越有難 吳王使之將
冬 與越人水戰 大敗越人
裂地而封之
能不龜手 一也
或以封 或不免於洴澼絖
則所用之異也


今子有五石之瓠
何不慮以為大樽而浮乎江湖
而憂其瓠落無所容
則夫子猶有蓬之心也夫


惠子謂莊子曰
吾有大樹 人謂之樗
其大本臃腫而不中繩墨
其小枝卷曲而不中規矩
立之塗 匠者不顧
今子之言 大而無用
眾所同去也


莊子曰:
子獨不見狸狌乎
卑身而伏 以候敖者
東西跳梁 不避高下
中於機辟 死於罔罟
今夫斄牛 其大若垂天之雲
此能為大矣 而不能執鼠


今子 今子有大樹
患其無用
何不樹之於無何有之鄉
彷徨乎無為其側
逍遙乎寢臥其下
不夭斤斧
物無害者
無所可用 安所困苦哉

혜자(惠子)가 장자에게 말했다.
"위(魏)나라 왕이 저에게 큰 박씨를 주길래
그것을 심었더니 다섯섬 들이 큰 박이 열리더군요
물을 담는 그릇으로 쓰려했더니 무거워 들 수가 없어서
쪼개어 바가지를 만들었는데 그것도 너무 넓어 쓸 수가 없었지요
괜시리 크기만 커서
제게 소용이 없었으니 깨뜨려 버렸지요"


장자가 대답했다.
“자네는 큰 것을 쓰는 법을 모르나 보네
송나라 사람 중에 손 트는데 좋은 약을 만드는 자가 있었지
그는 대대로 세탁업을 이어오고 있었다네
한 나그네가 소문을 듣고서는
그 약 처방을 백금(白金)값으로 사고자 하였다네.
세탁업을 하던 그 사람이 가족을 모아놓고 말하였지
‘우리가 대대로 세탁업을 해왔지만 겨우 몇금(數金) 벌이였다
약 처방을 팔면 단번에 백금(白金)을 얻게 되니 팔기로하자’
처방을 얻게 된 나그네는 오나라 왕에게 약을 설명했다네.
마침 월나라가 침략해오자 오왕(吳王)은 그를 장수로 삼아
겨울에 수전으로 이끌어 월나라를 대패시키고
그 나그네에게 땅을 주고 영주로 삼았지
손을 트지 않게 하는 같은 약으로
어떤 이는 땅을 받고 어떤 이는 세탁업을 면하는데 그쳤으니
그것은 쓰는 법이 달랐기 때문일세.


지금의 자네는 닷 섬들이 바가지가 있었는데도
큰 배로 사용해 강과 호수에 띄울 것을 어찌 생각지도 못하고
너무 넓어 쓸 데가 없다고만 근심하였던가?
그러니 오히려 자네의 마음이 좁쌀이었던 것이지.”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내 집에 큰 나무가 있는데 사람들이 가죽나무라 하더군요
큰 줄기는 울퉁불퉁해서 먹줄을 놓을 수가 없고
작은 가지들도 꼬불꼬불해서 자로 쓸 수가 없군요.
길가에 서 있는데 목수조차 쳐다보지 않더군요
지금의 당신의 말은 크기는 하여도 쓸모는 없으니
사람들에게 외면받는 것이지요.”


장자가 말했다
“자네는 삵괭이를 보지 못했는가
납작 엎드려서 지나는 잔짐승을 노리는 놈이지만
동서로 분주하고 높낮이를 가리지 못하여
덫에 잡히거나 그물에 걸려 죽는다네.
그에 비하면 검정소는 하늘에 드리운 구름 같아서
능히 더 큰 일을 하지만 쥐를 잡지는 못한다네.


지금의 자네는 큰 나무가 있는데도
쓸모가 없다는 근심만 있네
자유로운 고을의 광활한 들에 어째서 심어놓지 못하는가?
그 곁을 무위(無爲)하며 지나고
노닐며 그 밑에 드러눕곤 할 것이니
도끼에 찍히지도 않고
해를 끼치는 일도 없을텐데
쓸 데가 없다며 어찌 괴롭다고만 하는가!”

'간상(赶上) >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제물론(齊物論) - 2  (0) 2013.01.06
제2편 제물론(齊物論) - 1  (0) 2013.01.06
제1편 소요유(逍邀遊 ) - 3  (0) 2013.01.06
제1편 소요유(逍邀遊 ) - 2  (0) 2013.01.06
제1편 소요유(逍邀遊 ) - 1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3. 1. 4. 16:37

도덕경(道德經) 제1장 간상(赶上)/노자(老子)2013. 1. 4. 16:37

道可道 非常道 (도가도 비상도)
名可名 非常名 (명가명 비상명)

無名 天地之始 (무명 천지지시)
有名 萬物之母 (유명 만물지모)

故 常無 欲以觀其妙 (고 상무 욕이관기묘)
常有 欲以觀其徼 (상유 욕이관기요)

此兩者 同出而異名 (차량자 동출이이명)
同謂之玄 (동위지현)
玄之又玄 衆妙之門 (현지우현 중묘지문)

▣ 常(상) ≒ 영원한. 불변의.


▣ 常無欲 以觀其妙 常有欲 以觀其徼로 끊어 해석하면, '무욕으로서 묘(妙)를 보고 유욕으로 요(徼)를 본다'

▣ 觀(관) ≒ 꿰뚫어 봄.
▣ 妙(묘) ≒ 말하기 어려운 오묘함.
▣ 徼(요) ≒ 현상으로 나타남

▣ 玄(현) ≒ 아득한 심오함 

도(道)를 도(道)라 할 수는 있겠지만 진정한 도(道)일 수 없고,
무엇을 이름으로 부를 수는 있겠지만 완전한 이름일 수 없습니다.

이름없음에서 천지가 시작 되고,
이름있음에서 만물의 어머니가 되었습니다.

그러기에 참된 무(無)로서 그 신묘함을 보고자 하며,
참된 유(有)로서 그 나타남을 보고자 합니다.

이 무(無)와 유(有)도 함께 생겨나 이름이 다른 것입니다.
함께라고 하니 아득합니다.
아득하고 아득함이 모든 신묘함의 문입니다.

 

  영원불변의 도(道)가 도(道)라는 이름을 갖는 순간 그것은 진정한 도(道)가 아니게 됩니다. 진정한 도(道)는 명칭과 형상이 끊어져 말로는 도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첫 시작은 이렇게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내(노자)가 도(道)에 대해 말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완전한 도(道)일 수 없음을 참작하고 들으세요."

  귀로 듣지 말고 머리로 계산하지 말고 통(通)하라는 당부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말은 금강경의 상(相)에 관한 개념으로 대체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도(道)라는 상(相)에 사로잡히면 진리를 만날 수 없다는 것이죠.

무릇 모든 상(相)은 다 허망하니 만약 모든 상(相)이 상(相)이 아님을 본다면 여래(如來)를 보리라

  노자는 무(無)로부터 세상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무(無)라고 이름 한 것일 뿐, 불교의 공(空)이나 다른 종교의 신(神)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모두 가리키고 있는 곳은 마찬가지니까요. 가리키는 손가락만 다를 뿐.

 

  무(無)로부터 나온 천지라는 이름이 하나를 낳고 둘을 낳고 만물을 낳습니다. 그래서 어머니입니다. 도덕경 제42장에서도 이렇게 말합니다.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슬픈 현실이지만 어머니는 언제나 함께 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닙니다. 언젠가 헤어져야 하는 이름입니다. 나타나는 것은 다 그러합니다. 만나고 헤어집니다. 생겨나서 소멸합니다. 드러나는 현상의 측면은 다 그렇습니다. 이러한 존재의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노자는 무(無)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노자는 말합니다. 무(無)와 유(有)를 함께 일통하여 하나임을 보자고 합니다.
  무(無)에서 유(有)가 생겨나지만, 그 무(無)는 유(有)가 있어야만 무(無)로 드러나는 것이므로, 서로가 서로를 이루고 있음을 보자는 말입니다. 무(無)와 유(有)가 서로서로 이루고 있음을 보는 것이 모든 신묘함을 풀어줄 열쇠라고 합니다.

  앞에 언급한 금강경 사구계와 다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상(相)을 유(有)로 바꾸어 볼까요? '유(有)가 유(有)가 아님을 본다면 여래(如來)를 보리라.' 여래(如來)는 진리, 도(道), 불(佛) 무엇으로 바꾸어도 될 것입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그 행위(현재)를 보고 [視其所以] 
동기(과거)를 살펴보고 [觀其所由] 
바램(미래)을 통찰해라 [察其所安] 
어찌 사람을 헤아리지 못하겠는가 [人焉廋哉]
어찌 사람을 헤아리지 못하겠는가 [人焉廋哉]

 

  인(仁)은 다양하게 정의하며 그 개념 논쟁도 많지만, 정서를 중시하는 측면에서 ‘참된 사랑’이라고 쉽게 정의하기도 한다. 그 뜻을 조금 더 풀어서 ‘남의 마음을 나의 마음으로 헤아려 관계함’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본래 자신의 속마음도 정확히 몰라서, 왜 내가 이러는지 이상하게 여기기도 하는데, 어찌 남의 속마음을 헤아린다는 말일까? 그것에 대한 답이 되는 장이기도 하다.

  ‘다름의 분별후 조화’를 핵심으로 하는 중용철학은 한계와 가능 역시 마찬가지로 분별한 후 조화를 도모한다. 사람은 날 수 없다(한계). 사람은 도구를 만들 수 있다(가능). 그래서 스스로는 날 수 없지만 비행기를 만들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불가능을 가능과 조화를 이루려는 것이 인위(人爲)라는 측면인데, 이러한 관념은 무위(無爲)를 주장하는 노장사상의 후학들에게 집중공격을 받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유학에서 판단하는 사람이 사람의 속마음까지 안다는 것은 불가능한 한계이다. 사람에게 가능한 것은 짐작이다. 그래서 조화를 도모하여, 최대한 짐작하는 것으로 나아가는 것이 이 장에서 말하는 ‘헤아림’이다. 최대한의 짐작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상대방의 과거부터 열심히 살펴주려는 노력이다.

  과거(동기)는 현재와 미래를 이끄는 힘이 있다. 담배를 처음 피우고 난 후, 나쁜일을 하고 난 후, 손찌검을 하고 난 후, 그 이후에 그 행위가 보다 수월하게 행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은 과거의 경험은 현재와 미래로 연결시키는 힘을 가지기 때문이다. 물론 좋지 못한 일 뿐 아니라 좋은 일도 그러하다. 그래서 처음이 가장 어렵다고 한다. 두번부터는 쉬워진다. 이 과거(동기)를 헤아린다는 것은, 그렇게 습관화되어 나와 경험이 다른 까닭에 나와 생각과 취향이 다를 수도 있겠다는 것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미국인이기에 마늘냄새가 역겨울 수 있고, 먹기 싫어 하겠다는 짐작을 우선 하는 것은 내가 그의 마음을 완전히 알아서가 아니라, 그가 지내온 과거(동기)를 추측하여 나와 다를 수도 있겠다는 배려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스테이크를 권해야 하나? 대화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자란 미국인일 수도 있고, 마늘을 경험하기 위해 한국에 왔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의사를 확인해서 마늘을 먹고 싶다고 하면 그 말을 완전히 믿을 수 있나? 권하는 여인이 미인이라 먹고 싶은 척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유학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완전히 알아내는 것’이 아니다. 그건 불가능하다고 본다. ‘최선을 다한다는 것’에 무게를 둔다. 이 세상이 모두 착한 사람만 살 수 있을까? 그건 불가능하다는 것이 유학의 사유이다. 다만 최선을 다하여 노력한다는 것이다. 논어 후반부 18편에 많이 나오는 공자에게 ‘불가능임을 알면서도 하려는 자’라는 은자들의 조롱을 제자들이 논어에 꺼리낌없이 실어놓은 것도 그 때문이다.

  유학은 나타난 결과가 아니라 최선을 다하려는 ‘실천행위’에 의의를 둔다. 사람은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할 줄 아는 전지전능한 신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공자는 인간이 할 수 없는 신비로운 것을 보여준 것이 아니었다. 그가 지동설을 알았던 것도 자동차를 발명할 수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다만 그는 그의 시대를 열심히 최선을 다해 살았던 한 ‘사람’이었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12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11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9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8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7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