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에 해당되는 글 2

  1. 2013.01.09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2. 2010.02.20 성(性)의 한계 - 자기 특별함의 갇힘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 유야, 내가 안다는 게 무엇인지 가르쳐주겠다 [由, 誨女知之乎]
- 아는 것을 아는 것으로 알고 [知之為知之]
-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으로 아는 것 [不知為不知]
- 그것이 진실로 아는 것이다 [是知也]


  유(由)는 자로이다. 힘을 숭상하고 다혈질에 직설적이며 참을성이 부족한 캐릭터다. 공자의 직계제자 중에 가장 소인다운 모습으로 등장하고 여러 차례 공자에 맞서곤 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공자를 너무 존경한 것이 아니었을까? 장수가 더 어울리는 그였지만, 공자의 가르침에 따라 '선비'로서 의연하게 죽음을 맞았고, 공자는 통곡하며 절인 고기를 더 이상 먹지 않았다는 게 기록이다.


  어쨌건, 이 장에서 공자는 절제력이 부족했던 유(由)에게 지(知)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인(仁) 의(義) 예(禮) 지(知) 신(信)으로 구분하곤 하는 공자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자로가 모르면서 아는 척 까불거리다가 혼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공자학은 스스로를 갈고 닦는 수신(修身)과 스스로를 이겨내는 극기(克己)에서 출발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뿌리가 신독(愼獨)과 무자기(毋自欺)다. 자신을 아무도 볼 수 없고, 아무도 들을 수 없는 자리로 옮겨놓으라 한다. 그 지점에서 울려나오는 참된 소리를 두려워하고 삼가는 것이 신독(愼獨)이다. 그 소리를 듣고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 무자기(毋自欺)다. 


  논어에는 공자가 하늘을 날아다녔다는 기록이 없다. 오히려 모른다는 고백, 안회에 미치지 못한다는 고백을 담고 있다. 심지어 부족해서 배운다는 걸 자랑하기까지 한다. '나보다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라고. 모자라고 모르고 배워야 했던 공자를 성인이라 칭하며 존경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자로가 공자에게 죽음에 대해서 물었다. [제11편 선진 제11장]

삶도 아직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느냐? [未知生 焉知死]


  모르는 것을 안다고 하면 크게 두 가지 병폐에 빠진다. 첫째,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으려 하고 스스로도 배우려 하지 않기에 성장이 멈춘다. 둘째, 가르치려고만 하게 된다. 맹자의 표현을 빌리면 '내 밭은 버려두고 남의 밭만 김매려고 애쓴다'는 그 늪에 빠지게 된다.  


  유학만 그런가? 노장도 지(知)에 대해 마찬가지로 가르치고 있다. [도덕경 제71장]

알지 못하는 것을 아는 것이 최고의 지혜다[知不知上]
알지 못하면서 안다고 하는 것은 병이다[不知知病]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0)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0)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6장  (4) 2013.01.07
제2편 위정(爲政) 제15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14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문어

눈이 소리를 낼 수 없습니다.
목이 색을 구별할 수 없습니다.
귀는 냄새를 맡을 수 없습니다.
사람은 물 속에서 살 수 없습니다.
남자는 아이를 포태할 수 없습니다.
말은 완전하게 전달할 수 없습니다.
귀도 모든 소리를 들을 수 없습니다.
머리도 모든 것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한가지 !
상상만은 한계가 없습니다.


상상으로 만들지 못하는 것은 없고
상상으로 되지 못하는 것은 없고
상상으로 알지 못하는 것은 없습니다.

 

공자께서 도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로
중용 제4장에서 앎과 모름을 지적하신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지혜로운 사람은 지나치고 [知者過之]
어리석은 사람은 미치지 못하구나 [愚者不及也]

그럼, 지나치지도 모자람도 없는 앎이란 무엇입니까?

아는 것을 아는 것으로 알고,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으로 아는 것이
진정으로 아는 것이다. [논어 제2편 위정 제17장]

 

부자가 되고 싶다는 욕구는 재물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눈에 보이고 드러나는 것은 뭐가 무섭습니까?

‘앎의 부자’가 되고 싶다는 욕구가 사실은 더 무섭습니다.

재물은 있는 척 하더라도 금방 들통나지만,

아는 척 하는 것은 금방 들통나지 않습니다.

더 나아가 정말 안다고 착각에 빠져버리는 것이 더 무섭습니다.

이것이 온 세상을 돌아다니며 싸움을 일으킵니다.

 

정치인 MB의 속맘을 알 수 있는 것입니까?

정치인 KH의 속맘을 알 수 있는 것입니까?

자기속도 모르는데, 다른 사람속에 있는 속마음을 어떻게 압니까?

그런데도 아는척을 합니다. 그리고 타방을 미워합니다.

아는 것을 아는 것으로 알고,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으로 아는 것이
진정으로 아는 것이다. [논어 제2편 위정 제17장]

말 잘하는 사람의 말재주에 걸려들어 냉정한 판단력을 잃습니다.

그리고, '나는 너보다 특별하다'는 상상과 결부시킵니다.

나는 특별하고 너는 바보입니다.

나는 특별하기에 시비를 정확히 가립니다.

나는 특별하기에 의도를 간파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너는 한심하고 무지합니다.

나는 잘났고 너는 못났습니다.

 

공자의 제자 자공이 미워하는 첫번째도 ‘짐작으로 다 안다는 사람’입니다.

자공아 너도 미워하는 것이 있느냐?

“추측하여 다 안다는 사람,

불손함을 용기라 하는 사람,

들추어내는 것만 정직이라 하는 사람을 미워합니다” [논어 제17편 양화 제24장]

 

물 속에서 좀 더 오래 잠수할 수는 있어도
물 속에서 물고기처럼 계속 살 수는 없습니다.
사람으로서의 성(性)이 가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받은 성(性)에 의해
물 속에서 더 오래 잠수할 수 있는 차이가 있는 것인지,
나는 물속에서도 물고기처럼 살 수 있는 것인지
그 선을 분명하게 감지해 가는 것이 중용입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