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51

震 亨 震來虩虩 笑言啞啞 震驚百里 不喪七鬯
【初九】震來虩虩 後 笑言啞啞 吉
【六二】震來厲 億喪貝 躋于九陵 勿逐 七日得
【六三】震蘇蘇 震行 无眚
【九四】震遂泥
【六五】震往來 厲 意 无喪有事
【上六】震索索 視矍矍 征 凶 震不于其躬 于其鄰 无咎 婚媾 有言

  진(震)괘는 우레, 벼락을 말한다. 하늘이 사람에게 주는 경고이자 가르침이다.

 

震 亨 震來虩虩 笑言啞啞 震驚百里 不喪匕鬯
우레(震)는 힘차다(亨) 우레가 거침없이 오니 무섭고 두려워(震來虩虩) 웃음과 말소리도 잦아든다(笑言啞啞) 우레가 백리를 놀라게 해도(震驚百里) 숟가락과 창주그릇은 떨어뜨리지 마라(不喪匕鬯)
  숟가락(匕)과 창주그릇(鬯)은 모두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제사를 지낼 때의 엄숙함을 잃어버리는 것은 두려움 때문이다. 아무리 큰 일이 벌어져도 사람이 죽기밖에 더 하겠는가? 그러나 죽는 것은 천명이니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제사를 지내면서 죽음의 의미를 모르는 것이니 곧 중용에서 말한 '도끼자루를 잡고 도끼자루를 만들려고 나무를 자르면서 어떤 규격으로 잘라야 하는지를 멀리서 찾으려는 것'[중용 제13장]과 같은 것이다. 단순한 사상(死傷)에 대한 두려움만을 갖지 말라는 말이다.

 

震來虩虩 後 笑言啞啞 吉
우레가 와서 무섭고 두려운(震來虩虩) 후(後)에도 웃음과 말을 조신하게 해야(笑言啞啞) 길(吉)하다.
  우레가 끝난 후 아무 일도 없듯 웃고 떠들지 말고, 하늘을 무서워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으로 하늘을 우러러보라는 말이다. 단순한 사상(死傷)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하늘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라고 말한다. 중용에 “사람의 도리(道理)를 알고자 한다면 하늘의 이치를 알지 않을 수가 없다”[중용 제20장]고 하였다. 고래로부터 바른 길을 가지 않으면 천벌을 받고, 벼락을 맞는다고 하여 ‘벼락맞을 놈’이라는 욕설이 있다.

 

震來厲 億喪貝 躋于九陵 勿逐 七日得
우레가 와서 위태로우니(震來厲) 재물을 잃을까 걱정되어(億喪貝) 구릉으로 올라도(躋于九陵) 이미 잃은 것을 좆지는 말라(勿逐) 이레면 얻는다(七日得)
  재화는 다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7일은 음양오행의 순리에 따라 한번 순환하는 것으로 한번 순환하면 다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생명은 한번 잃으면 다시 얻을 수 없는 것이니 소탐대실 즉, 작은 것을 탐하여 큰 것을 잃지마라는 의미이다. 우레는 보통 많은 비가 동반된다. 그래서 비가 없는 ‘날벼락’이란 말이 생겼을 것이다. 우레의 강한 전기가 물을 타고 흐르기 때문에 젖고 물이 차기 쉬운 낮은 땅보다 높은 구릉으로 올라가야 안전한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나 사실은 높은 곳이 더 위험하다고 한다.

 

震蘇蘇 震行 无眚
우레가 소소해도(震蘇蘇) 우레가 다 지나가야(震行) 재앙이 없을 것이다(无眚)
  소소(蘇蘇)하다는 말은 끝났는가 싶었는데 다시 살아나고 끝났는가 싶었는데 다시 살아나고 하는 것이다. 완전히 지나가야(行) 재앙이 끝난 것이니, 서두르지 말라는 뜻이다. 조급한 마음이 화를 부르니 인내심을 길러야 한다.

 

震遂泥
우레는 진흙을 따라 사라지는 법이다(震遂泥)
  벼락은 높은 물체를 향해 떨어지고 난 후 그 전류가 진흙을 타고 퍼진다고 한다. 그래서 젖은 땅에 누우면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비가 반드시 지금 와야 하는 지는 몰라도 비는 아래로 내리는 법칙에 어긋나지 않으며, 우레가 반드시 지금 와야 하는지는 몰라도 우레가 진흙으로 퍼져 사라지는 자연법칙을 거스르지는 않는다. 시작은 몰라도 끝은 알 수 있으니 사람의 인생도 마찬가지이다. 왜 지금의 세상에 태어났는지는 알기 어렵지만 죽어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는 것은 알 수 있다.

 

震往來 厲 意 无喪有事
우레가 지나가더라도 다시 오는 것이니(震往來) 두려워하고(厲) 헤아려보라(意) 잃지 않으려면 할 일이 있다(无喪有事)
  우레가 한번 오고 평생 다시 오지 않는 것이 아니다. 하늘을 두려워하고 헤아려 마땅히 대비해야 한다. 요즘세상에서처럼 건물에 피뢰침을 설치하는 것을 뜻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이다. 하늘이 사람을 두렵게 한 뜻은 스스로 천리를 거스르지 않고 바르게 살고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해 보라는 의미일 것이다. 그래서 벼락맞을 짓을 하지는 않아야겠다는 그 바른 도(道)를 잃지 말라는 뜻이다.

 

震索索 視矍矍 征 凶 震不于其躬 于其鄰 无咎 婚媾 有言
우레가 색색할 때(震索索) 눈을 두리번거리며(視矍矍) 나아가는 것은(征) 흉(凶)하다. 우레가 몸에 떨어지지 않았고(震不于其躬) 그 옆에 떨어졌으니(于其鄰) 허물은 없겠지만(无咎) 혼인을 청한다면(婚媾) 말들이 있을 것이다(有言).
  색색(索索)한 것은 완전히는 아니지만 거의 멈춘듯한 상태를 말한다. 우레가 거의 멈추었을때 눈을 두리번거리는 것은 하늘을 두려워하지 않고 그 기회를 포착해 뭔가 이득을 챙기려는 조급함을 보이는 사람이다. 곧 날랜 기회주의자를 말함이다. 이 사람에게 벼락이 직접 떨어지지 않고 옆에 떨어졌으니 사람이 다치지는 않아서 허물은 없다. 그러나 "모진놈 옆에 있다가 벼락맞는다"고 했는데 그가 혼인을 청함은 곧 모진놈 옆으로 오라는 것이므로 여러 말들이 있을 것이다. 아직 완전히 우레가 멈춘 것이 아닌 색색(索索)한 시기이며 하늘의 경고가 끝나지 않은 시기이다.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고 했지만 일찍 일어나는 벌레는 더 빨리 잡아 먹힌다. ‘아 좋은말이구나’ 하고서는 금방 지나쳐 잊어버리는 그러한 찰나성과 가벼움을 경고하고 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5

晉 康侯 用錫馬蕃庶 晝日三接
【初六】晉如 摧如 貞吉 罔孚 裕 无咎
【六二】晉如 愁如 貞吉 受茲介福于其王母
【六三】衆允 悔亡
【九四】晉如鼫鼠 貞厲
【六五】悔亡 失得勿恤 往吉 无不利
【上九】晉其角 維用伐邑 厲吉 无咎 貞吝

  중국은 천자(天子)가 각 지역의 제후들을 통솔하는 체제를 갖고 있었다. 천자가 제후를 임명하여 한 지역을 독자적으로 다스리게 하고 그 제후를 지배하는 형태의 정치체제 였는데, 그래서 조공을 받쳤던 우리나라가 중국의 제후국이었느니 하는 논란이 있기도 하였다. 여기에서 말하는 진(晉)괘는 천자의 권력이 아닌 제후의 권력을 말하며, 천자에 충성하는 권력을 의미한다.

 

晉 康侯 用錫馬蕃庶 晝日三接
권력(晉)은 강후의 지위를 받고(康侯) 마필을 상으로 받으며(用錫馬蕃庶) 하루에(晝日) 세 번 임금을 배알함을(三接) 말한다.
  천자로부터 제후로 봉해지면 천자의 신하로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천자를 조현(朝見)하여 업무 보고와 인사를 하여야 하며, 조공을 받쳐야 하며, 천자를 지키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고 천자에게 불충한 다른 제후를 토벌하여야 하는 등 여러가지 신하로서의 의무를 지게 되었다. 제후로 봉해졌는데 마필을 상으로 받고 하루에 세 번이나 천자를 배알하게 되니 곧 올바른 권력이며 천자에 충성하는 권력이어야 한다는 의미한다. 반드시 하루에 세 번 만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 청해도 천자가 만나줄 정도의 신임을 의미한다.

 

晉如 摧如 貞吉 罔孚 裕 无咎
권력으로(晉如) 정적을 굴복시켜야(摧如) 끝까지 길하다(貞吉) 굴복한 적수가 신뢰할 수는 없더라도(罔孚) 관대하게 대해야(裕) 허물은 없다(无咎)
  권력은 정적을 굴복시키지 못하면 위협이 되는 무서운 속성을 내재하고 있다. 권력으로 정적을 굴복시켜야 하는 것은 제후로서의 의무 중 하나인 ‘불충한 다른 제후를 토벌해야 할 의무’를 의미한다. 중국의 역사는 제후들의 커진 힘을 막지 못해 결국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하여 혼란기로 접어들었다. 권력은 정적을 힘으로 굴복을 시켜야 하지만 그 반면 관대하게 대해야 한다. 중용(中庸)의 도를 지키라는 것이다. 채찍과 당근이 조화되어야 하니 ‘교육’의 도(道)와 마찬가지이다.

 

晉如 愁如 貞吉 受茲介福于其王母
권력은(晉如) 근심이 있어야(愁如) 끝까지 길하니(貞吉) 왕모로부터 그 복을 받을 것이다(受茲介福于其王母)
  제후의 권력은 천자로부터 다른 지역의 제후들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견제를 받게 되는 자리이다. 권력의 근심은 그러한 권력의 견제를 말한다. 권력이 견제를 받지 못하면 액톤(Acton)의 ‘절대권력은 절대부패한다’는 말처럼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다. 오늘날 삼권분립(三權分立)이 제도로써 자리잡은 까닭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천자와 다른 제후들의 의심을 사게 되는 심한 견제를 받으면 왕모가 살펴 줄 것이라고 한다. 왕모는 역사적으로 문왕의 어머니였던 태임(太任)을 지칭한다고 한다. 천자는 혹 간신배들에게 휘둘려 분별력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어머니의 모성본능은 아들을 해롭게 하는 자와 이롭게 하는 자를 본능의 눈으로 더 잘 알게 되는 까닭일 지 모른다.

 

衆允 悔亡
민중의 지지가 있어야(衆允) 후회가 없다(悔亡).
  바른 권력인지 바르지 못한 권력인지의 여부는 민중으로부터 찾아야 한다. 탕왕이 걸왕을 내쫓고 무왕이 주왕을 정벌한 것을 두고 맹자는 남을 해치고 잔인하게 구는 한 명의 인간을 처형한 것일 뿐 군주를 시해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군주가 군주답지 않으면 군주가 아니라는 뜻인데, 바른 권력이란 무조건적으로 천자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바른 도리와 민중의 마음을 따르는 것이다.

 

晉如 鼫鼠 貞厲
권력이(晉如) 들쥐와 집쥐와 함께 하면(鼫鼠) 끝까지 위태롭다(貞厲).
  들쥐는 떼를 지어서 농작물에 단번에 큰 피해를 주고, 집쥐는 집안에 기생하며 조금조금씩 피해를 주는데 그러한 성향의 간신배들을 상징한다. 공자께서는 “스며드는 참소와 애통한 무고가 통하지 않는다면 널리 밝히는 통찰력을 가졌다 할 수 있다”[논어 제12편 안연 제6장]고 하셨다. 논어 원문의 침윤지참(浸潤之譖)과 부수지소(膚受之愬)는 이미 고사성어가 된 말이다. 침윤지참(浸潤之譖)은 물이 점점 스며드는 것과 같이 쌓고 쌓이게 하여 모함하는 것이며, 부수지소(膚受之愬)는 살을 에는 듯한 간절한 하소연으로 단번에 흔들리게 모함하는 것을 말하니, 침윤지참은 집쥐와 의미가 같고 부수지소는 들쥐와 의미가 같다.

 

悔亡 失得勿恤 往吉 无不利
후회가 없다면(悔亡) 권력을 잃고 얻음에 근심하지 말라(失得勿恤) 그렇게 나아가면 길하고(往吉)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권력이 단지 욕망이라면 그만큼 무상한 것도 없다. 옛 속담에 ‘정승 개 문상은 가도 정승 문상은 안 간다’고 하지 않았던가? 권력을 잃고 얻는 것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바름을 도모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권력은 그 바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晉其角 維用伐邑 厲 吉 无咎 貞吝
권력의 뿔을 세우면(晉其角) 그 권력으로 이웃을 치게 되니(維用伐邑) 위태하다(厲) 결과가 좋고(吉) 허물은 없더라도(无咎) 끝내는 어려워질 것이다(貞吝)
  권력의 뿔을 세우는 것은 권력의 힘을 행사하는 것이다. 그 가진 힘을 행사하여 이웃을 치는 것은 잘못이라는 뜻이다. 힘으로 제압했기 때문이며 힘을 남용했기 때문이다. 권력이라는 강한 힘을 가졌으되 그 힘은 공격적으로 행사되어야 하는 힘이 아니라 바른 도를 지키기 위한 방어적인 행사여야 바른 까닭이다. 공자께서 소(韶)음악은 정말 아름답고 참으로 좋다고 하셨지만 무(武)음악은 아름답지만 참으로 좋지는 않다고 하셨으니[논어 제3편 팔일 제25장], 무왕은 힘으로 자신의 주군이였던 주왕을 참살하고 천하를 차지하였기 때문이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