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군자라도 무겁게 대하지 않으면 흔들리는 것이니 [君子不重則不威]
배웠더라도 붙잡지 못하게 된다 [學則不固]
지극한 믿음으로 나아가야 하니 [主忠信]
자기만 못한 이를 벗삼으러 하지 말고 [無友不如己者]
허물이 보이거든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 [過則勿憚改]

 

  이 장은 오랜동안 '자기보다 못한 이를 친구로 삼지 마라고 가르쳐 왔다. 그러다 유학의 철학이 분별하여 멸시하는 사상이 아니라는 본질에 주목한 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개진하고 있다. ‘자기만 못한 사람은 본래 없는 법이며, 스스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으로 삼으려는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그래서 '자기보다 못하다는 생각을 갖고 벗을 대하려 하지마라' 는 의미로 해석하는 추세이다. 

  ‘자기만을 향한 지나친 사랑’ 때문에 벗이라 하면서도 나만 못하게 여기려는 것이며, ‘자기만을 향한 지나친 사랑‘ 때문에 자기의 잘못은 이해하고 숨기고 덮고 꾸미려 한다는 의미이다.

  역으로 말하면, 나만을 진정으로 특별하고 고귀한 존재로 보기에, 남은 나보다는 보잘것 없는 존재임이 당연한 것이고, 나의 허물은 누구나 이해해 줄 수 있는 사소한 것이 되어야 마땅하고, 남의 잘못은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하게 된다.

  이러한 마음이, 무게감(重)이 없이 흔들리는 경망함(不威)이다. ‘위엄이 서지 않는다’로 번역하면 남에게 보여주는 위엄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논어 제1장에서부터 강조하듯 ‘남이 알아주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군자이기에  위엄, 체통과의 의미가 다르다. 나의 입장에서만 헤아리고, 남의 입장에서 헤아리지를 못하니, 나의 저울로는 1KG이라 측정하고, 남의 저울로는 1g이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내가 소중하다는 인식으로, 남도 스스로를 소중히 여긴다는 것을 인식하고, 남의 허물이 보이는 것처럼 나의 허물도 보아야 하는 것이니, 숨기려 하지 말고 고치려고 해야 한다. 변명을 찾고, 허물을 덮고 감추려는 것은, 남의 이목에 의해 나의 자존(自存)이 흔들리는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10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14

【初九】无交害 匪咎 艱則 无咎
【九二】大車以載 有攸往 无咎
【九三】公用亨于天子 小人弗克
【九四】匪其彭 无咎
【六五】厥孚 交如 威如 吉
【上九】自天祐之 吉 无不利

  많은 것은 어쨋건 좋은 것이다. 하지만 부(富)가 행복으로 가기 위한 절대요건은 아닐 것이다. 자식이 많다고 자식복이 있는 것이 아니듯, 재산이 많다고 재복이 있는 것도 아니요, 일이 많다고 일복이 있는 것도 아니다. 자식으로 인해 근심이 없는 것, 재물로 인한 근심이 없는 것, 일로 인해 근심이 없어야 하는 것, 그것이 자식복, 재복, 일복이다. 사람들이 부러워하고 갈망하던 모든걸 가졌던 석가모니께서는 행복하지 않다는 고민에 빠져서 길을 찾아 나섰다고 한다. 결국 모든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찾아 얽매이지 않는 것이 행복의 길임을 알게 되셨다는데, 자유주의라고 규정된 이 시대에 살고 있지만, 우리의 날개는 돈에 묶이고, 남의 눈에 묶여 자유롭게 날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大有 元亨
많이 가진 것(大有)은 태어나(元) 성장(亨)하기데 큰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이 나이 40을 기준으로 선천운과 후천운을 구별하기도 한다. 나이 40까지는 부모의 영향을 받는 다는 뜻인데, 링컨도 나이 40이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으니, 링컨이 동양사상과 교감이 있었던 것 같아 흥미롭기도 하다. 자식은 싫건 좋건 부모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외모와 체질을 물려받고 가진 재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모든 것은 변하니 그 영향력도 영원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성장(亨)하기까지는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한다.


无交害 匪咎 艱則 无咎
사귐에 해로움이 없어야(无交害) 허물이 없다(匪咎). 어려운 것(艱)이지만 그래야(則) 허물이 없다(无咎).
  주역은 서두의 ‘건(乾)곤(坤)준(屯)몽(蒙)’괘를 통해, 시기를 알고, 자리를 알고, 사람을 알고, 노력해야 원형리정(元亨利貞)의 순조로운 삶을 살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결국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사람이다. 자기(노력)와 타인(만남)에 의해 규정된다. 그래서 맹자께서는 “하늘의 때는 땅의 이로움보다 못하고 땅의 이로움은 사람 사이의 화합보다 못하다”[맹자 공손추 하]고 하셨다. 많이 가진 대유자는 오히려 사람을 얻기가 더 어렵다. 가진 것이 많은 자 주위에는 이득을 얻으려는 자들이 모여들게 마련이다. 그래서 ‘가진 것이 많으면 도적을 만나기 쉽고, 가진 것이 없으면 친구를 만나기 쉽다’고 하였다. 마음으로 어울리는 ‘사람’을 만나기가 어려우니 대유자는 사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大車以載 有攸往 无咎
큰 수레에(大車) 짐을 가득 실어두고(以載) 시간을 보내도(有攸往) 허물이 없다(无咎)
  많이 가진 것을 수레에 실어 잘 비축해 두는 것이다. 가진 것을 쓰지 않으려는 것은 없는 것과 같고, 시기(乾)와 자리(坤)에 맞지 않게 함부로 사용해서도 안되니, 때를 기다려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대비를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공자께서 “사람이 멀리 내다보고 고민해보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날 근심이 생길 것이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12장]고 하신 것도 그러한 대비를 말씀하신 것이다.

 

公用亨于天子 小人弗克
공공의 일에 참여하여(公用) 천자를 위해 베푸는 향연(亨于天子)은 소인이라면 견디기 어려울 것이다(小人弗克)
  천자를 위해 제후들이 베푸는 향연은 천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천자를 비롯, 공곡의 복을 도모하고, 또 음식과 가무를 모인 사람들이 함께 먹고 즐기는 전체를 위한 행사였다. 그런데 이 공익적인 소비를 위해 돈을 내 놓아야 한다면 소인이라면 아까워 견디지 못한다는 뜻이다. 소인(小人)은 여러 번 언급되었지만, 사사로움을 가장 중히 추구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匪其彭 无咎
군자라도 요란하게 하지 않아야(匪其彭) 허물이 없다(无咎).

  공공의 이익을 위해서 가진 것을 사용할 줄 아는 군자라도 요란하게는 하지 말라는 뜻이다. 좋은 집을 장만하고 고급 승용차를 구입하여 자기를 챙기는 것이 소인의 요란스러움이라면, 베푸는 것이기는 하지만 크게 이름을 광고하여 기부를 하는 것 같은 것이 군자의 요란스러움이다. 논어의 첫 장부터 언급되어 가장 많이 반복되고 있는 가르침이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는 것을 원망하지 말라’는 말이다. 남들이 알아주길 바라며 요란하게 내 놓지는 말아야 한다.

 

厥孚 交如 威如 吉
마음으로(厥孚) 사귀어(交如) 위엄을 세워야(威如) 길(吉)하다.
  대유자는 참된 사귐을 가지기 어렵지만, 그렇다고 가진 것으로 사귀려고 해서도 안 된다. 마음과 신념으로 함께 하는 사귐이 되어야 한다. 자공이 공자께 벗과의 사귐을 여쭈자 “그를 충심으로 권고하고 선으로 인도하다가 만일 들어주지 않으면 곧 그쳐서 모욕을 받지 않아야 한다”[논어 제12편 안연 제23장]고 하셨다. 허물을 말해주는 친구가 진정한 친구라고도 하지만, 지나치면 강요며 교만일 따름이다. 충분한 스스로 바로잡을 수 있는 시간을 주고 또 나의 행위를 통해 깨닫게 배려하고 도저히 스스로 고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조심스런 마음으로 충고해 주어야 한다. 위엄을 세운다는 뜻은 이러한 친구지간의 도리(道理)와 예(禮)를 지키는 사귐을 말한다.

 

自天祐之 吉 无不利
하늘이 스스로(自天) 그를 도운 것이니(祐之) 길(吉)하고 불리할 것이 없다(无不利)

  자하는 '죽음과 삶에는 명이 있고 부유함과 귀함은 하늘에 달려있다(死生有命 富貴在天)'고 배웠다고 한다.[논어 제12편 안연 제5장] 자본주의는 노력여하에 따라 성공할 수 있고 부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배우지만, 평생을 연구한 이름난 경제학자보다 배움에 일천한 부자들도 많다. 많이 배우고 많이 노력한다고 부가 찾아오는 것이 절대진리는 아니니, 그래서 부(富)를 인간이 완전히 장악할 수 없는 하늘의 뜻이라고 하는 것일 게다. 그러나 완전히 장악할 수는 없지만, 완전한 숙명이라고 하지도 않았다. 또한 공자께서도 부(富)를 나쁜 것으로는 보지 않으셨다. 오히려 공자는 자공을 칭찬하기까지 하셨다. "자공은 운명의 안배를 뛰어넘어 크게 재산을 불렸고 언제나 적중하였다"[논어 제11편 선진 제18장] 공자께서 염유가 주군의 재산을 불려준 것을 나무라면서도, 반대로 자공의 재산불림을 칭찬한 까닭은 무엇일까? 자공이 불린 재산을 홀로 누리는데 소비하지 않을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유학에서의 부유함은 하늘의 명을 내려 사람들을 위해 바르게 사용하라고 임무를 맡긴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