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40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初六】无咎
【九二】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六三】負且乘 致寇至 貞 吝
【九四】解而拇 朋至 斯孚
【六五】君子 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上六】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해(解)괘는 술술 풀리는 것이다. 우레가 진동하고 비가 쏟아지는 괘상이니 곧 메마른 세상이 촉촉하게 적셔지고 있는 것이다. 앞의 건(蹇)괘는 시간이 주는 시련이며 시간이 해결해 줄 수 있는 시련이라고 했었다. 이제 시간이 도래하여 반대의 상황이 오게 된 것이니 그것이 곧 해(解)이다. 건(乾)괘에서의 용이 비상하여 하늘을 날고 있는 것(飛龍在天)과도 같다. 건(乾)괘에서 그러한 전성기가 도래하면 마땅히 도와준 사람에게로 나아가야한다(利見大人)고 하였는데, 마찬가지로 해(解)의 시기에도 사람에게로 나아가야 한다고 한다.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술술 풀릴 때(解)도 힘들지만 바른길이 이롭다(利西南) 갈 곳이 없다면(无所往) 되돌아와도(其來復) 길(吉)하다 시간이 지나면(有攸往) 곧(夙) 길(吉)해 진다.
  어려웠던 시기 건(蹇)의 시기와 마찬가지로 풀리는 해(解)의 시기에도 역시 힘들더라도 바른길을 가야 한다고 한다. 바른 길을 가는 것은 상황과 환경에 의해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갈 곳이 없다면 그 이유는 어려웠던 시절부터 바른 곳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해(解)의 시기의 시작은 우레가 진동하고 비가 쏟아지는 것에서 시작을 한다. 상황이 반대로 꺾이는 것은 반드시 진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래서 벼락이 치고 비가 쏟아지면서 시작되는 것이다. 오래지 않아 우레와 비가 그치고 세상이 촉촉해질 것이니 시간을 기다리면 곧 길하게 된다.

 

无咎
술술 풀릴 때는 허물 될 것이 없다(无咎)

  시간이 지나 우레와 비가 그치고 대지가 촉촉히 적셔진 상황을 말한다. 아무런 허물 될 것이 없다.

 

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사냥을 하면 여우 세마리를 얻고(田獲三狐) 황금 화살촉도 얻게 될 것이니(得黃矢) 끝까지 길하다(貞吉)
  여우는 영리한 짐승이라 한 마리를 잡기도 힘드는데, 세 마리를 잡은 것만해도 큰 성취이지만 그 몸 속에 박혀있는 황금 화살촉까지 얻었으니 정말로 술술 풀리는 시기를 만난 것이다. 그러나 술술 풀리는 시기라도 가만히 기다린다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사냥을 나가야 그러한 성취를 얻을 수 있다.

 

負且乘 致寇至 貞 吝
짐지고 수레를 타면(負且乘) 도적을 불러들여(致寇至) 끝까지(貞) 어려워진다(吝).

  잡은 여우와 황금 화살촉을 빼앗길까 두려워 짐을 수레에 내려놓지 못하고 몸에 짐지고 수레를 타는 것이니, 반드시 도적을 불러들이게 된다. 독차지하려는 지나친 욕심으로 인해 만나는 도적(근심)이다. 공자께서 "없으면 얻으려고 근심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 근심하니, 잃을까 근심하면 못할 짓이 없게 된다"[논어 제17편 양화 제15장]고 하셨다. 잃을까 걱정하는 근심만 늘어난 것이니 곧 도적을 만나 끝까지 어려워지게 되는 까닭이다.

 

解而拇 朋至 斯孚
풀려도(解而) 엄지발가락으로 시작해야(拇) 벗이 찾아와(朋至) 뜻을 함께 한다(斯孚).
  엄지발가락으로 시작함은 함(咸)괘에서 부부관계로 마음을 교감하려 할 때 엄지발가락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즉 매사에는 순서가 있고 원형리정의 순차적인 변화를 겪어 열매가 맺히는 법이니, 풀리기 시작했다고 조급하게 바로 열매를 맺으려고 하지 말고 차근차근히 순서를 밟아 나가라는 가르침이다. 먼 곳을 가기 위해서는 가까운 곳부터 출발해야 한다.

 

君子 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군자(君子)는 풀릴 때를 지탱할 수 있어야(維有解) 길(吉)하니 소인에게 뜻을 두어야 한다(有孚于小人)
  군자는 소인을 위해서 그 풀리는 기운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이 군자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술술 풀린다고 자기의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소인들을 부유해지도록 도와야 한다. 공자께서 "군자는 의로움에 기뻐하고 소인은 이로움에 기뻐한다"[논어 제4편 이인 제16장]고 하셨으니 마땅히 군자는 소인을 이롭게 해 주어야 한다. 그것이 군자가 의로움을 추구하여 기쁨을 얻는 것이다.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공개적으로(公) 높은 성벽위의 독수리를 쏘아도(用射隼于高墉之上) 그것을 잡을지니(獲之)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높은 성벽위에 있는 독수리는 지위가 높은 흉수이다. 그 독수리에게 쏘겠다는 공개를 하고 쏘아도 잡을 수 있는 까닭은 군자로서 의로움을 추구하여 백성들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이다.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세상을 바로 세울 수 있고, 흉수는 피할 곳이 없어진다. 술술 풀리는 시기는 사람을 향해서 나아가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6
訟 有孚 窒惕 中 吉 終凶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初六】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九二】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六三】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九四】不克訟 復即命 渝 安貞吉
【九五】訟元吉
【上九】或錫之鞶帶 終朝三褫之

  송(訟)괘는 다툼을 의미한다. 싸움은 필요악이다. 공자께서도 "좋구나 좋구나를 연발하는 사람은 덕을 해치는 사람이다"[논어 제17편 양화 제13장]고 하셨으니, 싸울 때는 싸워야 한다. 그러나 싸우지 않아야 할 때 싸우고, 싸움이 지나쳐서 문제가 된다. 본래 유학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군자는 옳고 그름의 잣대를 자기에게 요구하며, 다른 사람에게 요구하여 억지로 끌고 오려는 이는 아니다. 감화되어 저절로 따라오면 함께 벗이되어 즐겁고, 따라오지 못하면 보살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즐거운 자이다. 그런데도 왜 싸워야 할 때가 생기는가?

  강도가 약자들의 재물을 뺏고 죽이려 할 때는 맞설 힘이 있다면 맛서야 한다. 강도에게 옳고 그름의 잣대를 강요하여 강도와 싸우려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해를 당하게 될 사람을 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람을 흉기로 찔러 살해하는 행위만이 죽이는 것이 아니다. 우물에 빠질려는 아이를 방치하는 방관도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그래서 자기에게 요구하는 것과 남에게 맞서는 것이 모순은 아니다. 본질적인 문제는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그에 간섭하려고 싸울려는 것인지, 물리쳐야 할 해악인지 구별하지 못하는 분별력에 있을 것이다.  

 

訟 有孚 窒惕 中 吉 終凶
다툼(訟)은 추구하는 가치가 있어야(有孚) 하는 것이니, 사사로운 이익을 배척하여(窒惕) 중용의 도(中)를 지키면 길하나(吉) 패자가 생기면 흉하다(終凶)
  어떤 신념을 위해서 다투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람이 미워서 사람을 누르고 패배 시키기 위한 그러한 다툼은 좋지 못하다. 공자께서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좋아하고 사람을 미워할 자격이 있다”[논어 제4편 이인 제3장]고 하셨다. 사사로운 감정에 의거하여 나와 같으면 좋고, 나와 다르면 미워하는 그러한 호악을 경계한 까닭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사람이 좋지 않다고 해서 그의 바른 말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3장]는 것처럼 사사로움을 배척하여 중용의 도를 지켜야 길하다고 한다. 종흉(終凶)이란 마침(終) 곧, 끝장나는 자가 생기는 것을 말함이니 그것은 흉(凶)하다는 말이다. 비유하자면, 승자가 쓰러진 자를 내버려 두고 승리만 돌아보는 것이니, 마땅히 쓰러진 자에게 손을 내밀어 일으켜 주어야 하는 다툼이어야 한다. 모두 함께 잘 되기 위해 신념을 다툴 수는 있겠지만, ‘나 살고 너 죽어라’는 다툼은 곤란한 것이다.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대인을 만나봄이 이로우니(利見大人) 큰 강의 건너듯 과단성을 가지고 밀어부침은 이롭지 못하다(不利涉大川).
  신념도 그것이 아집일 수 있으니 자문을 구해보기도 하고 더 깊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공자께서는 “무의무필무고무아(毋意毋必毋固毋我)”하셨다고 하는데 즉, ‘맘대로 해석하는 것, 반드시 하려는 것, 절대로 하지 않으려는 것, 자신만 옳다고 하는 것’ 이 네 가지를 결코 가까이 하지 않으셨다고 한다.[논어 제9편 자한 제4장]

 

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다툼은 오래 지속하지 않으면(不永所事) 소소한 말은 들을지라도(小有言) 마침내 길하다(終吉).
  질질 끌어서 가장 좋지 못한 것 중의 하나가 다툼일 것이다.

 

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다툼에 굴복하여(不克訟) 돌아가 숨으면(歸而逋) 그 고을사람 3백호가 편안해지니(其邑人三百戶) 재앙이 없어진다(无眚)
  다툼에서 도망치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주변사람 모두를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 도망치는 자가 비겁하고 수치스러운 사람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더 큰 용기를 가진 사람일 수 있다. 공자께서는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논어 제14편 헌문 제28장]고 하셨다. 결국 용기도 내면적 정서이니 사람의 시선을 두려워 한다면 그것은 참 용기가 아닌 것이다. 단속해야 할 것은 『중용』에서 말하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내면의 마음의 움직임’일 뿐이다. 사람을 향한 부끄러움이 아니라, 하늘(자기양심)을 향한 부끄러움이 없어야 그 자가 용자(勇者)이다.

 

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다투고자 하는 본성이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면(食舊德) 끝까지 극복하기 어려운 성향이지만(貞厲) 끝낼 수 있어야 길하니(終吉) 왕의 일을 맡는 큰일을 담당하여도(或從王事) 왕이 되려 하지 않을 것이다(无成)
  성선설을 주장하는 맹자께서도 ‘본연지성’은 선하지만 태어나면서 받은 ‘기질지성’이 달라 선악의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하셨으니, 태어난 사람마다 품성의 차이가 있음은 인정하신 것 같다. 유전적으로 강한 호전성을 물려받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유전적인 호전적 성향은 끝내어야 길하다고 한다. 그래야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무성(无成) 유종(有終) 할 수 있다고 한다. 곤(坤)괘에서 나온 것처럼 ‘왕의 일을 대신하여 공로를 탐하는 것이 아니라 바른 결과만을 원한다’는 뜻이다. 공자께서는 “군자가 용감하면서 의로움이 없으면 난리를 일으키게 되고, 소인이 용감하면서 의로움이 없으면 도둑이 된다”[논어 제17편 양화 제23장]고 하셨으니, 호전성을 의로움으로 다스릴 수 없다면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왕이 되려 할 것이다.

 

不克訟 復即命 渝 安貞吉
다툼에서 패하더라도(不克訟) 돌아오라는 요청을 받아(復即命) 승복(渝)하면 끝까지 편안하고(安貞) 길(吉)하다
  패자의 깨끗한 승복은 계속 다투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다툼은 악을 물리치고, 신념을 펼치기 위한 것이어야지 서로 원수로 갈라서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툼의 결과에 승복할 수 있는 것은 용기를 의로움으로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도전의 장남이었던 정진은 아버지를 역적으로 내몰아 죽였던 태종 이방원으로부터 관직을 제수받고 훗날 형조판서까지 지냈다. 정진의 진심을 속단 할 수는 없지만, 호랑이가 토끼를 낳지는 않는 법이니, 구차하게 살고자 한 까닭은 아니었으리라 생각한다.   

 

訟元吉
다툼(訟)은 근원적(元)으로는 길한 것(吉)이다.
  다툼은 필요악이다. 발전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싸우지 않아야 할 때 싸우고, 싸움이 지나쳐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당연히 유전적인 용감함도 근원적으로 좋은 것이다. 다만, 의로움으로 바로 세울 수 있어야 한다.

 

或錫之鞶帶 終朝三褫之
호전성이 지나치면 왕으로부터 큰 상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지만(或錫之鞶帶) 마침내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그 상을 세 번 빼앗기게 될 것이다(終朝三褫之).
  왕의 마음을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세 번이나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까닭은 호전성이 지나치기 때문이다. 죽음도 불사하는 거침없는 용기는 근원적으로는 길하고 왕에게 큰 상을 받을 만큼 훌륭한 자질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툼 이후에는 왕을 비롯하여 세상 모두가 평화롭기를 원할 것이다. 그렇지만 유전적 호전성을 억누르지 못하기에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상을 세 번이나 빼앗기게 되는 것이니, 용감함을 의(義)로서 다스리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