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공자 말씀하셨네 : [子曰]:
배우고 때때로 익혀보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먼 곳에서라도 찾아주는 벗 생기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有朋自逺方來 不亦樂乎]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없을지니 어찌 군자이지 않겠는가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유가(儒家)에서의 배움[學]은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과는 다르다. 5개국어에 능통하게 되는 것 같은 기술의 배움이 아니라,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하는 도리를 배우는 것을 말한다. 전문기술의 공부로 실력있는 의사가 될 수는 있겠지만,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의사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 유가(儒家)의 생각이다.

 

  때때로 익힌다[時習]는 것도 유가(儒家)에서 중요시 한다. ‘베푸는 것이 좋다’는 것을 머리로만 끄덕이며 넘어가는 것이 아니다. 유학은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은 별개의 것이라는 사유가 깔려있다. 힘든사람을 도와줌으로써 느끼는 희열을 직접 맛보아야 하는 것이다. 행할 수 있는 때가 왔을 때, 그것을 행하여 봄으로써 내 것이 되게 하는 것! 익힐 습(習)자는 어미새를 따라해보는 아기새의 날개짓이다. 유학은 그래서 ‘삶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공부가 아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하면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공부이다.

 

  기쁨[說]은 스스로부터 생겨나는 ‘성장’의 기쁨이다. 어미가 날아가는 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아기새의 감탄이 아니라, 엄마처럼 나도 날게 되었을 때 생겨나는 ‘성장’의 기쁨이다. 비유하면 키가 더 커져있는 나를 만난 것, ‘내가 달라진 나를 만나는 기쁨’이다. 누구 때문에 기쁜것도 아니고, 누가 보아주어 기쁜 것도 아닌 내면의 울림을 말한다.

 
  ’정자’ 의 말처럼, 논어를 읽었는데 논어를 읽기 전과 똑같은 사람이라면 그는 논어를 읽지 않은 사람이다. 감탄하는데서 끝나는 아기새와 마찬가지다. 날개짓을 하며 날아봄으로써 진정한 기쁨의 희열을 맛보라!

 

  멀리서라도 찾아주는 벗[有朋自逺方來]은 나의 성장을 알아주어 먼 거리를 마다않고 찾아오는 사람이다. 내가 알리고 광고하여 끌고오는 사람이 아니다. ‘네가 찾아오라’고 연통을 보내오는 이도 아니다. 먼 길을 찾아오는 고생이 나를 만나는 것에 비하면 사소한 사람이다. 진정으로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니 친구이며, 먼 길을 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으니 또한 친구이다. 편할려고 하는 이는 조개가 함께 놓여있는 붕(朋)의 관계일 수 없다.

 

  즐거움[樂]은 나의 기쁨[說]과 너의 기쁨[說]이 함께하며 더 커지는 ‘나눔의 기쁨’이다. 빵 하나를 둘이 나누어 먹는 것이 빵 하나를 내가 다 먹는 것보다 더 좋아지는 감정이 즐거움(樂)이다. 이는 사람(人)이 둘(二)이라는 인(仁)의 관념과도 연결된다. 함께 밥을 먹는 것[즐거움]이 불편하다 착각하지만, 혼자 자유롭게 밥먹는 것[기쁨]과 택일하라면, 함께 밥을 먹는 것을 택하고 싶어하는 마음으로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기쁨보다 즐거움을 택하려는 본성이 보이면, 내 기쁨을 더 키우기 위해 즐거움을 버리는 어리석은 일은 못하지 않을까?

 

  알아주지 않더라도 원망이 없음[人不知而不慍]은 나의 존엄을 잃지 않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반응에 따라 내 마음이 이리저리 휘둘리지 않기 때문에 나는 나의 존엄을 잃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은 근본이 있고 말단이 있다. 『논어』를 왜 배우는가? ‘공자’를 알기 위해 배우는 것이 아니다. 공자를 알 수는 없다. ‘바른 도리’를 알기 위해 배우는 것이다. ‘바른 도리’는 왜 배우는가? ‘더 사람답게 사는 나를 만나기 위해 배우는 것이다.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배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면, 어찌 원망이 생길 수 있을까?

 

  군자[君子]는 곧 유가(儒家)가 목표로 하는 이상적 사람이다. 그는 ‘기쁨’과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다. ‘기쁨’을 알기에 자기에게 요구하며 ‘즐거움’을 알기에 소인을 멸시하지 않는다. 나보다 「못한」 소인에게 자랑하려는 사람이 아니라, 나와 「다른」 소인과 조화를 맞추어 즐거움을 누릴려는 사람이다. 조화를 도모하여 움직일 줄 아는 사람이다. 앞으로 논어에서 계속 만나게 되는 사람이니 더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나는『논어』의 첫 장을 읽을 때 세가지 상상을 하곤 한다. 날개짓하는 아기새가 되어보는 상상, 우정을 나누는 즐거움에 대한 상상, 휘둘리지 않는 유유한 나를 그려보는 상상.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논어』의 매력이기도 하다.
 

  모든 고전이 그러하지만, 사람에 집중하면 우상[偶像]을 만들고 더 나아가지 못하게 된다. 배워야 할 것은 「공자」가 아니라 ‘사람의 도리’이며, 『논어』는 그것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비유하면 논어는 자전거이다. 자전거로 얻어려는 것은 「건강」인데, 자전거보다 줄넘기가 좋니 나쁘니, 자전거를 만든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그런 것에 열심일 필요는 없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2. 20. 20:01

성(性)의 한계 - 그 기쁨 간상(赶上)/보충(補充)2010. 2. 20. 20:01

발자국

한계란 명칭은 대개 싫어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반대로 시작할까 합니다.
즉, ‘자유’를 말해보고자 합니다.
자유란 조금 쉬운 느낌이죠. 새처럼 훨훨~ 나는 것 같습니다.
갇혀있는 새장을 없애버리면 어디든 갈 수 있겠지요?

자유를 찾음은 갇힌 것을 없애는 것입니다.

그리고 어디로든 날아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갇힌 것을 떨쳐버리는 예를 하나 들기로 하겠습니다.

 

담배로부터 자유를 한번 찾아볼까요?
먼저 담배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을 관찰해 보겠습니다.
누가 자유롭나요? 담배를 피운 적이 없는 사람입니다.
아마도 그 사람은 담배를 끊기가 힘들다는 마음을 짐작정도만 할 것 같습니다.
그 보다 더 자유로운 사람도 있습니다.
담배가 뭔지도 모르는 사람입니다.
담배가 뭔지 모르는 두세살된 아이나, 담배를 접해보지 못한 비문명국의 어른이나,

모두 완벽하게 담배로부터는 자유롭습니다.

 

번뇌로부터는 어떻게 자유를 찾겠습니까?
담배로부터의 자유가 힌트가 될 것입니다.
번뇌를 인식하지 못하면, 완전한 자유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비슷한 이름이 있습니다. 백치하고 비슷합니다.
백치가 되어 인식이 없어지는 경지에 이르는 것입니다.
백치하고 붓다는 같은 뜻, 다른 표현에 불과합니다.
앎을 통해서도 백치가 될 수 있습니다.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은 본래 함께 있었습니다.
'도(道)는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기억나시는지요?

 

미쳤다는 의미가 싫어지는 것은
말과 문자의 좋고 나쁨에 갇혀서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유학이 추구하는 미침을 보겠습니다.
정상인에게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사랑에 미치기도 합니다. 배움에 미치기도 합니다.
공자께서 '석달동안 고기맛을 잊었다'는 비유와도 연관됩니다.
순간을 집중하게 마음을 붙드는 것이 생기면(미치게 만들면),
다른 것에는 아무 생각도 미치지 않습니다.

 

유가의 선비들이 치열하게 삶을 살았던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현재 이 순간을 지극히 열심히, 집중하여 사는 것,
즉, 현재의 삶을 미치도록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참된 자유로움을 찾아갑니다.
이것이 중용을 실천하고 사는 자유인의 모습입니다.

 

억지로 가는 길일까요?
대학에 가기 위해 시험문제에 몰두하는 것과 같을까요?

욕구를 계산하는 마음에서 생긴 집중이 아닙니다.

그런 것이라면 결코 오래 지속할 수는 없습니다.


성(性)을 따르는 기쁨에 미쳐,

현재의 순간을 열심히 사는 것을, 너무너무 사랑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가의 도(道)는 꽉 움켜쥐고 소유하게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순간을 사랑하면서 평생 나아가는 행위와 함께 있습니다.
그래서 도(道)라는 한자가 우리말의 '길'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poolleaf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天命之謂性]
성(性)을 따르는 것을 도(道)라고 한다 [率性之謂道]

성(性)을 따르는 것으로 관점을 돌려보겠습니다.
성(性)을 따르는 것은 단순히 생각하면 쉽습니다.
하늘이 명하여 준 것을 거부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럼, 하늘이 준 것을 한번 따져 보겠습니다.
내가 원해서 가지게 된 것이 아닌 게 무엇입니까?
생명, 사람, 이세상, 남자, 부모님 등은 쉽게 보입니다.
도(道)의 '떨어질 수 없음'을 접목하여 안목을 넓히면,
생명만 준 것이 아니라 죽음이 함께 붙어 있었음을, 남성만 준 것이 아니라 여성도 함께 붙어 있었음을,

나중에는 사람만 아니라 자연도, 다른 생명도, 다른 사람도 함께 붙여준 것으로 의미를 넓혀가야 합니다만,

지금은 제한적으로 단순하게 생각하도록 하겠습니다.


내면으로 들어와서 생각해 봅니다.
감정도 욕구도 지혜도 모두 하늘이 준 것입니다.

먹기 싫다고 먹지 않을 수 없고,
자기 싫다고 자지 않을 수 없고,
생각하기 싫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감정도 일어나고 사라집니다.

사람은, 먹어야 하고, 자야 하고, 생각해야 하고, 감정이 있어야 합니다.
도(道)는 떨어질 수 없다는 것이고, 떨어질 수 없는 것이 도(道)입니다. 
 

가장 쉽게 정의하면 ‘태생적 한계’가 성(性)에 가깝습니다.

이쯤에서 장자의 설명을 빌려오겠습니다.
나를 엮고 있는 백개의 뼈마디와 아홉개의 구멍 오장육부들 중에서
더 소중하고 덜 소중한게 있습니까?
하늘은 우위와 열위로 나누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다르게 만들어 역할을 달리하게 해 조화로움을 도모했습니다.

 

태생적 한계가 성(性)이지만,
태생적 한계가 슬플 것도, 아쉬울 것도 없습니다.

오히려 기쁨입니다. 
눈과 귀가 똑같이 소중한데,
눈이 들을 수 없다고 속상해 하고,
귀가 볼 수 없다고 속상해 하는 것은
인간이 머리가 중용을 벗어나 만들어낸 것입니다.

 

성(性)을 따르는 욕구, 곧 도(道)와
성(性)을 따르지 않는 욕구, 도(道)가 아닌 욕구가 있습니다.

‘자기 특별함’에 대한 지나친 인식이 그렇게 만듭니다.
나는 특별합니다.

나는 특별해서 다 알 수 있습니다.
나는 특별해서 부자가 되어야 합니다.
나는 특별해서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나는 특별해서 신의 은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는 특별해서 예뻐야 합니다.

나는 특별해서 로또에 당첨될 수 있습니다.

… 
나는 특별해서 새처럼 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특별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나와 너는 다를 뿐입니다.
나은 것도 있고, 모자란 것도 있고, 그렇게 다를 뿐입니다.
결국 함께 있습니다. ‘떨어질 수 없는 것’이 도(道)라고 했습니다.

사람이 도를 행한다면서 사람에게 멀어지면 도라고 할 수 없다. [중용 제13장]

성(性)을 따르는 것은 천명(天命)을 따르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예시한 몇 가지가 아니라, 안목을 넓혀 더 많이 알고 따라가야 합니다.
어떤 방법이 있겠습니까? 중용에서는 거짓과 위선을 걷어낸 순결한 마음이라고 합니다.
중용 제22장에서 말합니다.

오직 세상에서 가장 지극한 진실함(誠)으로서
그 성(性)을 다하게 할 수 있다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남들이 사람답게 살았다고 하는 평가에 의의가 있지 않습니다.

스스로 다르게 부여받은 천명을 알고, 그 성(性)에 따라 내 역할을 다 하는 것입니다.

이 길은 고통스런 의무의 길이 아니라, 기쁨으로 충만한 길입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60

節 亨 苦節 不可貞

【初九】不出戶庭 无咎

【九二】不出門庭 凶

【六三】不節若 則嗟若 无咎

【六四】安節 亨

【九五】甘節 吉 往 有尚

【上六】苦節 貞 凶 悔亡

  절(節)괘는 절제를 말함이다. 멈춤을 의미하던 간(艮)괘는 그 멈춤이 혼자의 일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조화를 맞추어 유종의 미를 거두는 멈춤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반면 절(節)은 중용의 도에 비추어 멈추어야 마땅한 적시(適時)에 멈추는 것을 말한다. 간(艮)은 여러 번의 기회가 주어진다. 애당초 시작하지 않는 멈춤, 초창기의 멈춤, 허리까지 나아갔으면 끝을 내고 멈춤, 그러나 절(節)괘에서 말하는 절제는 관계를 고려한 멈춤이 아니라 스스로의 멈춤이다. 그 때는 상대를 배려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중용의 바른 도(道)에 맞추어 끊는 것을 말한다. 공자께서는 “노년기에는 기운이 쇠퇴하므로 지키려는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논어 제16편 계씨 제7장]고 하셨다. 오래지 않아 모든 것을 내놓아야 할 시기가 기다리고 있음에도 잃는 것이 싫어 집착하는 것을 ‘노추’라고 하였으니 곤(坤)괘에서 말한 순한 암말처럼 편안히 순종하여 받아들여야 한다.

 

節 亨 苦節 不可貞

절제(節)는 성장이니(亨) 고통스런 절제(苦節)는 끝까지 이를 수 없다(不可貞)

  절제를 하는 것은 중용의 치우치지 않는 바른 도(道)를 따르는 것으로서 겉 모습은 끊는 것이지만, 내실은 성장하는(亨) 것이다. 동물들이 따뜻한 곳을 본능적으로 찾아가는 것과 같은 길이어야 한다. 고통스런 절제는 추운 곳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니 끝까지 이를 수 없다. 억지로 고통을 감내하면서 참아내는 것이 아니라 마땅히 멈출 시기임을 편안히 받아들여 멈추는 것이다.

 

不出戶庭 无咎

집안마당을 나가지 않아도(不出戶庭) 허물은 없다(无咎).

  집안마당을 나가지 않는 것은 가정을 도탑게 하여 사는 것을 말한다. 가정에 충실하여 처자와 금술이 좋고 형제와 화목하며 어른을 공경하면서 그렇게 사는 삶도 허물은 없다. 군자의 사명을 받은 이가 그 명(命)을 벗어나 집 안에 머물면 흉할지는 몰라도 허물은 없을 것이다. 길흉(吉凶)은 외부적인 시각이요, 허물(咎)은 내면적인 시각이기 때문이다.

 

不出門庭 凶

집앞마당에서 나가지 않으면(不出門庭) 흉(凶)하다.

  집을 나서서 그 집 앞의 마당으로 나아갔는데 더 나아가지 않고 있으니 흉하다. 간(艮)괘에서 말하는 허리에서 멈추는 것과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집앞마당은 소인도 군자도 멈추어야 하는 곳이 아니다. 소인은 집안으로 돌아가야 하니 지나친 것이요, 군자는 나아가야 하는 곳이니 모자란 곳이다. 절제가 필요하지 않음에도 절제하고 있는 것을 말하니 흉하다.

 

不節若 則嗟若 无咎

절제를 하지 못한 고통으로(不節若) 곧 탄식이 있다면(則嗟若) 허물은 없다(无咎)

  소인이 절제하지 못하고 집 문을 나섰지만 빨리 그 잘못을 깨닫고 탄식하게 된다면 허물은 없다는 말이다. 탄식을 하는 것은 마음이 편하지 않기 때문이다. 탄식이 있음은 과했다는 깨우침이니 허물이 없을 것이다. 크게 지나치지 않았으니 집안으로 돌아가면 되기 때문이다.

 

安節 亨

편안하게 절도를 지키면(安節) 형통(亨)하다.

  과했다는 깨우침을 얻어 제자리로 다시 돌아가는 그러한 부산한 과정을 겪어서 절제를 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편안하게 절제를 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甘節 吉 往 有尚

기쁘게 절제해야(甘節) 길(吉)하고 그렇게 나아가야(往) 자랑이 있다(有尚).

  달콤한 절제(甘節)는 곧 탄식하여 깨닫고 절제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즐거움으로 멈추는 것이다. 멈추어야 할 때임을 깨닫고 기쁜 마음으로 웃으며 멈추는 것이니 그런 멈춤이어야 한다.

 

苦節 貞 凶 悔亡

고통스런 절제(苦節)는 끝까지(貞) 흉(凶)하나 후회는 없다(悔亡)

  억지로 절제함은 마음으로 나아간 것이 아니기에 끝까지 흉하지만 멈춰야만 하는 곳에서 억지로라도 멈추었으니 그 결과는 나쁘지 않은 것이다. 그러하기에 후회를 남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한다. 길흉(吉凶)은 외부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찡그리며 멈추는데 흉하지 않을 수는 없다. 반면 후회(悔)는 결과가 좋지 않았을 때의 아쉬움이며 결과를 고려한 외면적 시각이다. 그래서 흉하지만 후회가 없을 수도 있는 것이다. 흉(凶)과 회(悔)에 관해서는 <여기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58

兌 亨利貞
【初九】和兌 吉
【九二】孚兌 吉 悔亡
【六三】來兌 凶
【九四】商兌 未寧 介疾 有喜
【九五】孚于剝 有厲
【上六】引兌

  태(兌)괘는 즐거움을 뜻하는 괘이다. 태(兌)괘는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한 것은 아니다. 즐거움을 느끼는 유형을 제시하고 그 각 유형들에 대해서 바람직한지의 여부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兌 亨利貞
즐거움(兌)은 성장(亨), 결실(利) 마침(貞)기의 일이다.

  즐거움은 원형리정의 단계에서 원(元)의 시기를 제외한 일이니 즉, 의식이 있는 상태에의 인식이다. 즐거움을 따르는 것은 동물이 따뜻한 곳으로 찾아가는 것과 같다. 힘들어 보이고, 고통스럽게 살고 있는 듯 여겨지는 수도승(修道僧)도 결국은 고통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즐거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천도(天道)이며 인도(人道)이다.

 

和兌 吉
조화로워 즐거우니(和兌) 길(吉)하다.

  자연(自然)처럼 조화롭기 때문에 즐거운 것을 말한다. 아름다운 강산을 바라보는 것이 즐거운 이유는 조화롭고 평화롭고 따뜻하기 때문이다. 시경에서 “처자(妻子)와 잘 화합하는 것이 금(琴)과 슬(瑟)의 연주와 같으니 형제가 화목하여 조화롭고 즐겁구나(和樂). 네 집안 제대로 다스리려면 네 처자식 즐겁게 하라”[시경 소아.상체편]고 하였다. 악마는 고통스럽고 눈물이 흐르고 피가 흐르고 파괴되는 것을 보고 즐거워하며 웃는다고 하였다. 조화롭지 않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은 흉하다.

 

孚兌 吉 悔亡
신념이 있어 즐거우니(孚兌) 길(吉)하고 후회가 없다(悔亡)
  유학의 최고 경전이라 말하는 『논어』는 기쁨과 즐거움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자의 말씀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람의 도를 배우고 체득해가니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알아주는 이 있어 멀리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생길 리 없으니 또한 군자답지 않겠는가?”[논어 제1편 학이 제1장]

  공자께서 말씀하시는 이러한 즐거움이 신념이 있어 즐거운 것이다. 공자께서는 안회를 칭찬하며 “거친 밥과 한 바가지 물로 누추한 거리를 살아도 그의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구나. 참으로 현명하도다 안회여!”[논어 제6편 옹야 제11장]라고도 말씀하셨다. 이러한 즐거움은 물질의 부귀나 지위의 귀천에 전혀 구애되지 않는 즐거움이다.

 

來兌 凶
오는 것이 있어 즐거우니(來兌) 흉(凶)하다.

  오는 것(來)이 있어 즐거운 것은 오직 얻어서 즐거운 것을 말한다. 잃는 것 없이 얻어서 그것을 즐거워 하는 것을 말한다. 뒤에 이어지는 상태(商兌)와 달리 제 것은 하나도 내 놓지 않고 받기만 하려는 이기적 즐거움이니, 술값 계산할 때 항상 숨어버리고 얻어 먹은 것을 즐거워 하는 그런 부류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다.

 

商兌 未寧 介疾 有喜
거래하여 즐거우나(商兌) 편안한 것은 아니니(未寧) 병이 되는 것을 막아야(介疾) 기쁨이 있다(有喜)

  상태(商兌)는 거래를 하여 즐거움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즉 주고받는 GIVE AND TAKE의 즐거움이다. 래태(來兌)는 내 것은 하나 내 놓는 것 없이 오직 이익만 실속만 차리려는 즐거움이라면, 상태(商兌)는 주고받는 즐거움이다. 그래서 래태(來兌)는 흉하다고 했지만 상태(商兌)는 병이되는 것이 아니면 괜찮다고 한다. 주역과 논어의 입장은 정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배척하지는 않는 까닭이다. 그러나 병이 되는 수준에 이르지는 말아야 한다고 하니, 돈이 안되는 일은 애초에 하려고 하지 않는 생각을 나무라는 것이다. 공자께서도 “먼저 일하고 뒤에 그 대가를 얻으려 하는 것이 덕을 높이는 것이다”[논어 제12편 안연 제21장]라고 하셨으니, 이미 선사후득(先事後得)은 고사성어가 되었다.

 

孚于剝 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면(孚于剝) 위태로움이 있다(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는 것은 사람의 길을 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곧 기인(奇人)의 행세를 하는 것을 즐거워 하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궁벽한 이치를 찾고 괴이한 일을 하는 것을 후세에 칭송할 수 있겠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중용 제11장]고 하셨다. “도(道)는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니 사람이 도를 행하고자 하면서 사람의 길을 멀리하면 도라고 할 수 없다”[중용 제13장]고 하셨다. 화태(和兌)처럼 조화로움이 즐거움이어야 한다. 어쩌면 이러한 가르침이 중국에서 불교가 뿌리를 잘 내릴 수 없었던 이유일 지도 모른다. 머리를 깎고, 고기를 먹지 않고, 부부관계를 하지 않는 수도승을 유별나게 유난을 떠는 것으로 생각했음직도 하다. 마음으로 관통할 수 있다면 진리를 추구하는 길이 유별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성인 석가모니의 잘못이 아니라 따르는 자들이 구속하고 막아놓은 까닭일지도 모른다. 

 

引兌
이끄니 즐겁다(引兌)
  화태(和兌) 부태(孚兌) 래태(來兌) 상태(商兌)와 달리 인태(引兌)는 주역에서 길흉, 여타의 판단을 하고 있지 않다. 이끌고 오니 즐거운 것은 소위 조종하는 즐거움이다. 이끄는 즐거움에 대해서 주역이 판단하지 않은 이유는 중용을 벗어나면 흉(凶)할 것이요, 중용을 지키면 길(吉)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조종 하려고 하는 마음은 조심하고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덕이 높은 현자가 어리석은 백성들을 이끌고 오는데 즐거움을 느낀다면 길하겠지만, 마마보이의 어머니가 자식을 이끌고 와야 즐거운 것은 흉할 것이기 때문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