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38

睽 小事 吉
【初九】悔亡 喪馬勿逐 自復 見惡人 无咎
【九二】遇主于巷 无咎
【六三】見輿曳其牛掣 其人天且劓 无初有終
【九四】睽孤 遇元夫 交孚 厲 无咎
【六五】悔亡 厥宗 噬膚 往 何咎
【上九】睽孤 見豕負塗 載鬼一車 先張之弧 後說之弧 匪寇婚媾 往 遇雨則吉

  규(睽)괘는 어긋나다는 뜻이니, 단절과 헤어짐을 뜻한다. 12번째의 비(否)괘와의 차이는 비(否)괘는 수치스러워도 숙이고 복종하면 어울림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기에 헤어지는 것이며, 규(睽)괘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단절이다. 예를 들면 이혼을 하여 다른 길을 가는 결별은 비(否)괘이지만 배우자와 사별(死別)하게 되는 것은 규(睽)괘이다. 37번째 가인(家人)괘에 이어서 등장하는 이유는 부인이 지아비를 잃는 상황을 상정한 까닭이다. 과거 전쟁 등으로 사별하는 여인들이 많았기에 과부들도 많았을 것이다.

 

睽 小事 吉
헤어짐(睽)은 작은 일로 받아들여야(小事) 길(吉)하다.

  헤어짐은 하늘의 순리로 편안히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만남은 이별의 시작이며 만남이 있었기 때문에 이별이 있게 되는 것이다. 만나지 않았으면 이별이란 있을 수도 없는 것이니, 주역에서 말한 원형리정(元亨利貞)의 자연의 섭리라고 받아들여야 길하다.

 

悔亡 喪馬勿逐 自復 見惡人 无咎
후회가 없다면(悔亡) 잃어버린 말을 다시 찾으려 하지 마라(喪馬勿逐) 스스로 돌아오기 마련이다(自復) 악인을 외면하지 않아야(見惡人) 허물이 없다(无咎)
  후회가 없어야 한다(悔亡)는 것은 자책은 하지 마라는 말이다. 떠나는 것(사랑)을 막으려 하지 말고 오는 것(惡人)을 거절하지 말아야 한다. 악인(惡人)은 마음속에 살고 있는 악마이니 임을 떠나 보내고 원망이 생기는 것을 뜻한다. 그를 외면하지 말라는 말이니 역설적으로 ‘자책을 하지 말고 하늘을 원망하고 미워하라’는 말이다. 시간이 지나면 원망(惡人)은 저절로 떠나갈 것이기 때문에 허물이 아니다. 옛 성현들께서 강물을 대하시며 생각하시던 ‘그 들고나는 물은 쉼 없이 바뀌지만 강물이 흐르는 것은 변함없이 일정한 모습이구나’하는 뜻과 닮아있다. 사랑은 다시 찾아온다.

 

遇主于巷 无咎
우연히(遇) 거리에서 주군을 만나니(主于巷) 허물이 없다(无咎).

  잃어버린 말은 찾으려 하지 않아도 스스로 돌아오듯 사랑은 다시 찾아온다. 나의 새로운 주인 될 낭군님도 우연히 골목에서 만나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주역은 수절하고 사는 과부를 상정하고 있지 않다.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아내로 맞아들이는 “형사취수”는 동양에서는 여성에게 선택권이 있었다고도 하니(고구려 고국천왕의 부인이었던 우씨의 산상왕 선택) 홀로된 여인을 배려하기 위한 까닭이었을 것이다.

 

見輿曳其牛掣 其人天且劓 无初有終
소가 끌어야 할 수레를 보니(見輿曳其牛掣) 그 사람이 코가 잘리고 죄수의 표식을 하고 수레를 끌고 있다(其人天且劓)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되나(无初) 끝이 있는 것(有終)이다
.
  한 사람의 삶이 너무도 비참한 지경이다. 사람이라면 당연히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있어 안타깝고 가여운 마음에 저절로 눈물이 흐르고 어찌할 줄 모르게 될 것이나 그 사람의 불행한 삶도 하늘(영원한 시간)의 관점에서 보면 찰나일 뿐이다. 하늘 아래의 모든 것은 변하고 끝이 있기 때문에 영원히 불행한 것은 아니다. 모든 것은 끝이 있으며, 모든 만남은 이별이 있다. 죽음의 의미를 깨달으면 어찌할 바를 모를 정도의 큰 일은 아닌 것이다.

 

睽孤 遇元夫 交孚 厲 无咎
이별은 외로움을 낳지만(睽孤) 근원적 아버지를 만나게 되니(遇元夫) 믿음으로 교류하면(交孚) 위태로워도(厲) 허물은 없다(无咎).
  사람이 혼자 남겨지고 고독해지면 깨달음이 생긴다고 한다. 근원적 아버지(元夫)는 종교로 말하면 신이며 철학으로 말하면 깨달음일 것이다. 아프고 괴롭기 때문에 근원적 아버지를 만나고 그를 믿고 따르며 구원을 바라는 것은 냉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의 믿음이라 위태로움은 있을 것이지만 의지해도 허물은 아니라고 한다.

 

悔亡 厥宗 噬膚 往 何咎
후회를 없애면(悔亡) 가족이나 종족이(厥宗) 고기를 씹도록 해 줄 것이니(噬膚) 그렇게 나아감(往)에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何咎)

  후회는 스스로 자책하여 자신을 망치는 것을 말한다. 자책하지 않고 이별의 순리를 인식하고 순리로 받아들여 작은일(小事)이라 여기는 것이 후회를 없애는 것이니, 스스로 포기하지 않는다면 가족과 종족으로부터 위로해주고 보살펴주는 도움의 손길이 있을 것이다. 피는 물보다 진하기 때문이다.

 

睽孤 見豕負塗 載鬼一車 先張之弧 後說之弧 匪寇婚媾 往 遇雨則吉
이별은 외로움이 따르나(睽孤) 진흙을 바른 돼지를 만나게 될 수도 있어(見豕負塗) 한 수레의 귀신처럼 실려온다(載鬼一車) 먼저 화살로서 맞서보면(先張之弧) 후에 활을 내려놓게 될 것이니(後說之弧)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청하러 오는 것이다(匪寇婚媾) 손잡고 나아가면(往) 비를 만나 진흙이 씻겨져 나갈 것이니 길하다(遇雨則吉)
  사별하고 난 후 그 슬픔을 극복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주역은 말한다. 팔을 벌려서 새 인연을 맞아 들이지는 못하더라도 귀신이라 여기고 ‘화살로서 맞서보라’고. 그러면 그가 귀신이 아니라 돼지임을 알게 되고, 결합하러 찾아 오는 새 인연임을 알게 된다는 말이다. 나에게 사랑을 기대하지 말라고 날을 세우면서도 서서히 마음이 열려 새로운 사랑을 찾아가는 드라마의 줄거리가 생각나는 효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2

坤 元亨利 牝馬之貞 君子 有攸往 先迷後得主 利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吉
【初六】履霜 堅冰至
【六二】直方大 不習 无不利
【六三】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六四】括囊 无咎 无譽
【六五】黃裳 元吉
【上六】龍戰于野 其血玄黃
【用六】利永貞

  곤(坤)괘는 자리를 말하며 한계를 말한다. 건(乾)괘의 시간을 대하는 사람은 그 시간속에서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기다릴 때, 나아갈 때, 물러날 때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곤(坤)괘의 자리는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이다. 부자의 자식으로 태어나고, 선진국에 태어나고, 남자로 태어나고, 장애를 갖고 태어나고, 지금 시대에 태어나고 등등, 이미 선택되고 정해진 것도 있는 법이다. 남자로 살기 싫어서 여자로 살려고 하는 것은 주역의 시각에서 보면, 자리의 도를 거스르는 잘못일지도 모른다. 무엇보다 가장 대표적인 인간의 한계는 피할 수 없는 죽음일 것이다. 그럼 이러한 유한성을 인간은 어찌 대해야 하는가? 한탄해야 하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의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어떻게 살 것인가'의 고민은 곧 하늘이 나에게 맡긴 사명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왜 그런 한계를 주었는지에 대한 자리의 도(道)을 헤아리는 것이다. 해야 할 일을 찾았을 때, 즉 제 자리에 앉았을 때 비로소 삶을 가치 있게 이끌 수 있을 것이다.

 

坤 元亨利 牝馬之貞 
제 자리(坤)라야 씨앗(元)으로부터 성장하고(亨) 열매를 맺고(利) 순한암말처럼 죽게(牝馬之貞)된다 
  시간(하늘)만이 원형리정의 순탄한 변화로 이끄는 것이 아니다. 비옥한 땅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씨는 변화의 순리에 따르지 못하고 싹이 트지도 못하고 죽어버린다. 장소(坤) 역시 생성, 성장, 성숙(元亨利)의 변화의 법칙과 관계하게 되지만, 순한 암말처럼 마감 하는 것(牝馬之貞)이 특징적이다. 암말을 뜻하는 빈마(牝馬)는 유순함을 상징한다. 소리를 내거나 과시하지 않는 유순한 성질 때문에 마차를 끄는 말은 어미말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순한 암말처럼 죽는 것은, 이어지는 효사에서 용의 전쟁으로 세상을 피바다로 만들고 죽는 것이 아니라, 천수(天壽)를 다하고 편안히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君子 有攸往 先迷後得主 利
군자(君子)로써 시간이 지나면(有攸往) 처음에는 미혹하였어도 후에 주인을 얻게 될 것이니(先迷後得主) 이롭다(利)
  주인을 얻는 것(得主)은 곧 있어야 할 자리를 깨닫는 것을 말함이니, 군자(君子)가 되어 시간이 흐르면(有攸往) 처음에는 미혹하였어도(先迷) 곧 자리(사명)을 깨닫게 될 것(後得主)라는 뜻이다.

  『순자』「대략」에 다음과 같은 자공과 공자의 문답에 대한 기록이 있다. 자공은 ‘할 일이 많아 힘드니, 군주를 섬기는 것 만이라도 쉬면 안 되는지, 어버이를 섬기는 것 만이라도 쉬면 안 되는지, 처자를 부양하는 것만이라도 쉬면 안 되는지, 친구와 관계하는 것만이라도 쉬면 안 되는지, 논밭을 경작하는 것만이라도 쉬면 안 되는지’ 차례로 공자께 여쭈었다. 공자께서는 쉬어서는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 자공이 한탄하며 "그렇다면 저는 조금도 쉴 수 없는 것입니까?"하고 공자께 하소연을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저 들을 보아라. 흰 듯, 찬 듯, 막힌 듯하지 않느냐? 저 곳이 네가 쉴 곳이다" 자공이 감탄하며 말했다. "위대하구나 죽음이여! 군자도 쉬고 소인도 쉴 수 있도록 해 주는구나!" 하늘이 시간을 주어 세상에 보낸 이유는 할 일을 시키려 보낸 것이다. 쉬도록 해 주려 하였다면 죽음의 공간 속에 남겨두었을 것이다.

  유유왕(有攸往)은 일반적인 해석과 달리 풀었다. <여기를 참조>하시길 바란다.

 

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吉 
서남이면 벗을 얻을 것이요(利西南得朋) 동북이면 벗을 잃으니(東北喪朋) 편안한 마감이어야(安貞) 길(吉)하다.
  동쪽은 해가 뜨는 곳으로 밝은 곳을 상징하니 쉽게 갈 수 있는 곳이다. 반대로 서쪽은 해가 지는 어두운 곳이니 쉽게 갈 수 없는 힘든 곳이다. 남쪽은 따뜻한 곳으로 올바른 곳을 상징하며, 북쪽은 추운 곳으로 도리에 맞지 않는 곳을 상징한다. 그래서 힘들어도 옳은 곳(西南)으로 움직이면 친구를 얻고(得朋), 쉽지만 바르지 못한 곳(東北)으로 움직이면 친구를 잃을 것(喪朋)이라고 하니, 힘들어도 옳은 곳을 향해 나아가라는 뜻이다. 친구는 자리를 찾아 사명을 다하고 편안하게 죽는 것, 순한 암말처럼 죽음(貞)에 임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履霜 堅冰至
서리를 밟게 되어서야(履霜) 단단한 얼음에 도달할 것을 안다(堅冰至)
  늙음을 빗대어 머리에 서리가 내렸다는 표현을 하기도 한다. 흰 머리가 나고 흰 수염이 나는 까닭은 이제 마감을 할 얼음(죽음)으로 다가가고 있다는 하늘의 신호이다. 얼음이 어는 겨울이 올 것임을 방관하고 살다가, 서리를 밟게 되어서야 비로소 생의 무상함에 안타까워 하는 것이 바쁜 오늘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모습일지 모른다. 노랫말처럼 ‘내가 이 세상을 다녀가야 할 그 이유가 무엇일까?’에 대한 고민을 좀 더 일찍 해 보면 좋지 않을까?

 

直方大 不習 无不利
대지(直方大)의 도는 의욕하지 않으니(不習)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직방대(直方大)는 광활한 대지의 덕성을 묘사하고 있다. 땅은 모든 것을 차별없이 포용한다. 대추씨가 들어오건 사과씨가 들어오건 차별하지 않고 양분을 주고 키워준다. 사람의 자리도 마찬가지여야 한다. 주어진 한계를 의욕(習)하여 바꾸려고 하지 않아야 하니, 남자가 여자됨을 의욕하지는 않아야 한다. 배우고 힘써 의욕해야 하는 것은 자리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에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대지처럼 이롭게 해 주는 역할[사명]을 다 하는 것에 두어야 할 것이다.

  유학의 명분론에 대한 의미와도 연결되는데, 명분론(名分論)이 불평등하고 차별적인 계급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하기에 조금 보충하고자 한다. <여기를 참조> 하시기 바란다. 

 

含章可貞 或從王事 无成有終
한계를 아는 현자(含章可貞)는 왕의 일을 따르게 되면(或從王事) 완성없이(无成) 마치려 한다(有終)
  함장(含章)은 바름을 머금은 것이며 가정(可貞)은 정해진 한계를 수용하는 것이니, 곧 자리를 알고 사명을 아는 바른 현자를 말한다. 왕의 일이란 만백성을 교화하고 다스려 바른 세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완성이 없다는 것(无成)은 그 공로가 자신에게 돌아오도록 하지 않는다는 말이며, 마침이 있다(有終)는 뜻은 올바른 결과만을 얻고자 한다는 의미이다.

  『세종실록』에 충녕대군을 잘 단속하라는 원경왕후의 말에 충녕대군 부인이었던 소헌왕후가 주역의 이 효사를 인용하여 대답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곧 충녕대군이 애쓰는 일은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무성유종(无成有終)하기 위함이라는 뜻이었으니, 공로를 탐내고자 하는 일이 아니라 바른 결과만을 원하다는 뜻이었다. 

 

括囊 无咎 无譽
돈주머니를 묶어놓는 것은(括囊) 허물은 아닐 것(无咎)이나 명예롭지도 않을 것이다(无譽)

  돈주머니를 묶는 것은 혹종왕사(或從王事)하지 않고 재능을 쓰지 않는 것을 뜻한다. 혹종왕사하여 유성(有成)하려고 하면 제 자리를 모르는 지나친 것이며, 혹종왕사조차 하지 않는 것은 모자라는 것이니, 모두 중용을 벗어난 것이다. 자공이 아름다운 옥이 있다면 상자에 잘 보관하겠는지 가치를 아는 사람에게 팔 것인지를 여쭈니 공자께서 "팔아야지, 팔아야지! 나도 살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논어 제9편 자한 제13장]고 하셨다. 쓰지 않는 것은 없는 것과 같다. 주역에서 말하는 허물은 내(內)적인 시각이며 길흉(吉凶)과 명예(譽)는 외(外)적인 시각이라고 했었다<여기를 참조>. 돈 주머니를 풀지 않는 것은 안으로, 자기 내적으로 허물은 아니어도 외적으로 명예롭지는 않을 것이다고 한다.

 

黃裳 元吉
황색치마(黃裳)가 근원적으로는 길하다(元吉)
  황색치마(黃裳)는 황제가 입는 치마를 말하는 것이니, 곧 현자가 왕의 일을 대신맡아 세상을 바르게 이끄는 것 보다는 왕이 왕으로서의 일을 해야 근원적으로 길하다는 말이다. 비유하자면 충녕대군이 혹종왕사(或從王事)하기보다 양녕대군이 왕사(王事)하는 것이 근원적으로 길하다는 뜻이다. 양녕대군이 자리의 도리(坤)를 잊고 역할을 하고 있지 않았으니, 충녕대군이 자리를 옮겨 조화를 맞추었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양녕대군이 제 자리에 앉고 충녕대군도 제 자리에 있는 것이 근원적으로 길한 것이다.

 

龍戰于野 其血玄黃
용들이 들판에서 싸우면(龍戰于野) 그 피가 검고 누르게 된다(其血玄黃)
  검고 누른 것(玄黃)은 천자문에도 나오는 하늘과 땅(天地)이 검고 누른것(玄黃)이니 곧, 온 세상을 말한다. 들판에 있는 용 또한 건(乾)괘의 현룡처럼 제자리를 잡지 못한 용이니, 그들이 잘못된 자리에서 다투면 온 세상이 피로 물든다는 말이다. 제 자리[사명]를 모르는 용들이 세상을 혼란으로 이끄는 것이 오늘날의 모습과 닮아있는 것 같기도 하다. 장래희망, 꿈, 사명에 대한 생각을 접고, 오로지 돈을 많이 벌고 부러워하는 곳으로 가고자 하는 물질만능주의가 심각한 듯 하다. 천지에는 풀도 있고 토끼도 있고 호랑이도 있고 곰도 있어 셀수 없는 다른 생명체가 다른 역할을 하며 생태계의 조화를 이룬다. 사람도 모두 공평하고 소중한 생명이지만, 인간 세상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사람마다 맡은 역할은 다르다고 하였으니, 각기 다른 사명이 있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공자께서도 세상을 바른 도리로 세우고자 하였어도 천자의 지위를 얻고자 하지는 않으셨다.

 

利永貞
열매를 맺으려는 것(利)은 끝까지 계속(永貞)되기 때문이다.
  사람이 자기가 맡은 사명을 알고 자기 자리를 찾아 역할분담을 하여 열매를 맺어야 세상이 조화롭게 된다. 열매를 맺으려는 것은 천성(天性)이라 끝까지 지속되는 것인데, 어긋난 자리에서 열매를 맺으려고 하기에 세상의 조화가 파괴되어 피로 물들게 되는 것이다. 즉, 용들이 제 자리를 잡지 못하면 세상이 피로 물드는 근본적인 이유는, 잘못된 자리를 잡고서 그 곳에서 열매를 맺으려 하는 천성 때문이라는 말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건(乾)괘가 '군자'가 되어 스스로 노력하는 주동적인 삶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면,
곤(坤)괘는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인간의 한계에 대한 성찰은 죽음이 다가오는 서리가 내릴 즈음에 더 진지하게 될 지도 모른다.
그래서 서리가 내리면[늙으면] 비로소 꽁꽁 얼음이 어는 시기[죽음]이 있음을 절감한다는
때 늦은 통찰을 언급하며 곤괘는 시작을 한다.
곤괘의 가르침을 짧게 정리하면 한계를 이해하는 것 즉, '정해짐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한계와 정해짐은 자연의 뜻이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자리에도 있는가?
유학에서는 인간이 만든 자리도 그 자리를 거스러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 대신에 누르고 억압하고 부려먹기 위해서 만들어진 우월적인 자리가 아닐 것을 요구한다.

 

윗자리에 있다하여 아랫사람을 무시하라는 것이 아니며,
아랫자리에 있다 하여 윗사람에게 매달리라는 것이 아니니
오직 나를 바르게 할 뿐, 남에게서 구하지 않는다
.[중용 제 14장]

 

유가의 신하는 군주에게 굽신거리는 이가 아니었다.
신하의 지위에 있으므로 신하의 도리를 다 하면서, 군주에게는 군주의 도리를 다 하도록 도와주려던 이였다.
폭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군주의 잘못된 이름을 가진 악한에 불과하니 엎어 버려도 되는 것이었으니,
이름에 앞서, 이름에 맞는 제 도리를 다 하는가 하는 이른바, 정명사상(正名思想)을 중요시했다.
임금에 복종하고, 남편에게 복종하고, 주인에게 복종하고, 양반에게 복종하는
무조건적 ‘복종’만을 강조하기 위해 이 명분론을 이용했던 것은 변질된 유학의 잔재였을 따름이다.

 

사람은 자유롭고 싶어한다.

때로는 아버지라는 자리, 남편이라는 자리, 자식이라는 자리, 엄마라는 자리에서 벗어남을 꿈꾼다.
그러나 자리를 벗어나 욕구가 이끄는대로 제약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
그 자리를 속박이라고 여기지 않는 편안함에 도달하는 것이 유학에서 추구하는 자유이다.
자식으로서는 자식의 도리를, 아버지로서의 아버지의 도리를, 남편이 되어서는 남편의 도리를 다 한다.
그 도리를 다 함은 의무감으로 따르는 길이 아니라 마음이 이끌기에 가고 싶은 행복한 길이다.

 

자리는 하늘이 잡아 놓기도 했고, 유학에 의하면 사람이 잡아 놓기도 했다.
사람이 잡아 놓은 그 자리 역시 명분(名分)에 맞아야 한다. 그러려면 '문화'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그래서, 군주주의 시대에는 그 문화로 정해진 자리가, 민주주의 시대에는 그 문화에 맞는 자리가 다를 것이다.

 

공자께서 새를 보시며 말씀하셨다.
"머물러야 할 곳이 숲인 줄 아니, 사람이 새보다 못해서 되겠는가?" [대학 제3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