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엄친아'에 해당되는 글 2

  1. 2010.03.04 삼인손일(三人損一)
  2. 2010.02.20 맛을 제대로 안다는 것 - 다름의 분별
2010. 3. 4. 14:46

삼인손일(三人損一)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4:46

  사자성어를 선호하기 때문에 줄여표현 하곤 하는데 원문은『주역』 손(損)괘의 세번째 효사입니다. 전체 원문을 소개하면 「삼인행즉(三人行則) 손일인(損一人), 일인행즉(一人行則) 득기우(得其友)」입니다. 이것을 줄여 삼인손일(三人損一) 일인득우(一人得友)라고 합니다. 해석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세명이 나아가면 한명을 잃고, 한명이 나아가면 친구를 얻는다’는 말입니다.

 

보통은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지 말라’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인용합니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더 가까워지는 두 사람 때문에 한 사람은 떨어져 나가기 마련입니다. 실재의 사람이 3명이 아니라 가상의 사람이 등장해도 그러할 것 같습니다. 요즘 젊은층에서 유행하는 엄친아(엄마 친구의 아들)라는 말도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요? 엄마와 딸의 대화에 잘난 엄마친구의 아들이 끼어들면 딸아이는 엄마에게서 떨어져 나갑니다.

일인득우(一人得友)까지 언급하고 가겠습니다. 엄마와 딸의 대화에 엄마가 스스로를 잊고 딸과 한마음이 되면(1人)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털어놓은 딸이 엄마를 찾으려 옵니다. “엄마는 속상하는 일 없어?” 그래서, 엄마는 친구를 얻었습니다(得友).

 

종종, ‘작은 희생은 감수해야 한다’는 뜻으로 인용합니다. 3은 고래로부터 많음을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3인은 많은 사람이 모인 큰 조직을 상징합니다. 거대한 단체는 의견이 분분하기 마련이고, 1인(소수)의 목소리를 무시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도 합니다. 모든 입장을 다 수용하고는 나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석할 경우에는 일인득우(一人得友)는 작은 조직은 동지를 얻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즉, 큰 집단은 덜어내면서 내실을 다져야 하는 것이고, 작은 집단은 우선 규모를 키우는 것이 나아가는 순서라는 의미로 연결됩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악위소(一握爲笑)  (2) 2010.03.05
문언불신(聞言不信)  (2) 2010.03.05
대건붕래(大蹇朋來)  (0)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0)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0) 2010.03.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마시고 먹지 않는 사람이 없는데 [人莫不飮食也]
맛을 아는 사람이 드물구나 [鮮能知味也]

중용 제4장에 나오는 공자 말씀입니다.

그래서 밥먹는 중용을 한번 생각해 볼까 합니다.


  왜 밥을 먹어야만 하나요? 그건 내가 정한 것이 아닙니다. 하늘이 그렇게 하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 순리를 따르지 않으면 배가 고픈 고통을 주어 결국은 먹도록 합니다. 짜증나고 화나고 미칠것 같을 수 있습니다. 하늘이 나를 구속하니까요. 울면서 그 구속에 따를 수 밖에 없겠지만, 남는 것은 고통입니까? 기쁨입니까? 천도를 따르는 것, 곧 정해준 성(性)을 따르는 것은 기쁨입니다.

  왜 변을 누어야만 하나요? 그건 내가 정한 것이 아닙니다. 하늘이 그렇게 하도록 해 놓았습니다. 그 순리를 따르지 않으면 고통을 주어 결국 화장실로 향하도록 합니다. 짜증나고 화나고 미칠 것 같을 수 있습니다. 하늘이 나를 구속하니까요. 울면서 그 구속을 따를 수 밖에 없겠지만, 남는 것은 고통입니까? 기쁨입니까? 천도를 따르는 것, 곧 정해준 성(性)을 따르는 것은 기쁨입니다.

 

  성(性)을 따르는 것이 기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밥을 먹어 기쁨을 찾기 위해 훔쳐옵니다. 변을 누어 기쁨을 찾기 위해 화장실에 있는 놈을 끌어냅니다. 왜요? 천도를 따르는 것은 기쁨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천도를 따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내가 성(性)을 따름을 고집함으로써 성(性)을 따르지 못하는 사람이 생겼습니다.
  나와 너는 다른가요? 도(道)의 정의를 연결시켜보겠습니다. 나와 너는 ‘떨어 뜨릴 수 없는 것’입니다.
태초이래로 '너'가 없는 '나'만 존재할 수 있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내가 천도를 따라 기쁘고, 너도 천도를 따라 기쁘고, 그럼으로써 함께 즐거움을 추구해야 합니다.
논어 첫장의 가르침’을 통해 연결해보시면서 그림을 그려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맛을 안다는 것'으로 넘어오겠습니다.

맛이란 것은 주관입니까? 객관입니까?
사람마다 달리 느끼는 것입니다. 사람마다 똑같을 수 없습니다.
살던 지역, 문화, 먹어왔던 음식 등등에 따라서 모두가 다릅니다. 
나에게도 언제나 같지 않습니다. 배가 고플 때, 배가 부를 때, 기분 좋을 때, 오랫만에 먹을 때, 언제나 틀립니다.

 

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고,

사람의 갇힌 머리는 맛을 일반화시키려 하고 객관화 시키려 합니다.
내가 맛있다고 느낀 음식을 상대가 맛있다고 하지 않으면 화를 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다른 것이 당연한 것인데도, 반드시 같아야 한다고 고집하는 경우가 사실은 너무 많습니다.

‘안다는 것’도 그렇습니다. 사람이 똑같이 알 수가 없습니다. 모든 것을 알 수도 없습니다.

더 많이 아는 것도 있고 적게 아는 것도 있고, 사람마다 모두 틀린게 정상입니다.

엄친아(엄마친구의아들) 보다 못한 아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못나게 만들어 버린 것입니다.
나와 똑같을 수 있는 사람은 인류가 태어난 이래로 아무도 없었습니다.

잘나고 못난게 아니라 다른 것입니다.

 

맛을 안다는 것은 사람마다, 때마다 ‘다르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다르다는 분별 이후에는 공자께서 말씀하신 '화이부동(和而不同)'의 가르침으로 옮겨와야 합니다.
“다르다는 것을 분별하여 조화를 이룰려고 하는 것이지, 같게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군주의 도(道)가 우월하고, 남편의 도(道)가 우월하고, 군자의 도(道)가 우월한 것이 아닙니다.

하늘이 만든 것은 우위가 아니라 다름입니다.
우위는 사람이 만들어낸 것입니다.

 

논어 제11편 선진 제15장을 통해서, 유학의 공경을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자께서 "유(由)는 어찌하여 내 집에서 비파를 타느냐?"
이 말에 다른 제자들이 자로를 공경하지 않았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유(由)의 성취는 대청에 올랐고, 방안에 들어오지 못했을 뿐이니라”

자로는 공자에 9살 적은 나이 많은 맏형입니다.
그런데도, 한소리 들었다고 까마득한 학생들이 우습게 대하기도 합니다.
보다 못한 공자께서 조정에 나섭니다.
형편 없어서가 아니라, 대청에서 방안으로 들어오게 하려했던 것이니, 너무 그러지들 말라고 합니다.

 

자로가 나이를 내세우며 호통을 치고 복종시켜야 정상이지 않을까요?

공자께서 다른 제자들을 혼내줘야 정상이지 않을까요? 
유학에서의 분별은 '복종' 시키려는 것이 아닙니다.
나이, 성별, 지위 등등의 분별은 언제나 '조화'를 향해 지향하고 있습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