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3/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80

  1.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2. 2013.01.09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2013. 1. 10. 20:44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간상(赶上)/논어(論語)2013. 1. 10. 20:44

자장이 간록을 배우려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子張學干禄. 子曰:]
 - 많이 들어 의문을 없애고, 의문없는 바를 신중히 말하라 [多聞闕疑 慎言其餘]
 - 그러면 허물이 적을 것이다 [則寡尤]
 - 많이 보아 위험을 없애고, 위험없는 바를 신중히 행하라 [多見闕殆 慎行其餘]
 - 그러면 후회가 적을 것이다 [則寡悔]
 - 말을 조심해 허물을 줄이고 행동을 조심해 후회를 줄이면[言寡尤 行寡悔]
 - 그 속에 녹(禄)이 있을 것이다 [禄在其中矣]


  간록(干禄)은 벼슬자리라는 견해가 있고, 《시경》편의 간록(복을 구한다는 의미)이라는 견해가 있다. 어쨌거나 군자가 되는 게 아닌 현실적 질문이다.


  하지만 공자의 대답은 다를 바 없다. 수신(修身)하라. 군자(君子)가 되라고 하신다.

 

  전쟁이 끊이지 않던 춘추전국시대. 공자는 그런 세상에 도덕을 설하여 군자를 꿈꾸게 하였다. 교주가 연상되는 그 능력을 이해할 수 없다면 공자의 답은 짜증 날 수준이다. 반대로 자장 역시 신기한 인물이다. 단순하고 과격한 자로였다면 엎어버렸을지 모르는데... ^^

 

  이 장은 대학(大學)의 '삼강령'을 빌려 오는 게 좋겠다.

사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마침과 시작이 있다
먼저 해야 할 것과 뒤에 해야 할 것을 알면
도에 가까울 것이다.

  공자학은 근본(根本)을 지향한다. 조상을 돌아보는 제사 또한 뿌리와 근본(根本)을 돌이키는 의식이다. 나라의 역사를 배우기에 앞서, 내 집안의 역사부터 아는 것이 순서라 했다. 세종대왕이 좋아했던 음식이 무엇이었을까? 그보다 내 부모님께서 좋아하는 음식을 아는 것이 먼저라 했다.

 

  자장에 대한 공자의 대답을 이렇게 줄여볼까?

'자장아! 먼저 해야 할 근본에 더 힘쓰려무나'

 

  한편, 공자는 '자하는 부족하지만 자장은 지나치다'는 평가를 내렸다. 그는 거침없는 언행을 보였다고 알려졌다. 남의 말을 잘 들어주지 못하고 남의 행동을 지켜봐 주지 못했던 듯하다. 인(仁)이란 사람(人)이 둘(二)이라는 뜻이다. 소통이고 어울림이며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자장에게는 인(仁)이 부족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개선을 했을까? 《자장》편을 보면 고치지 못했다는 의심이 들 수 있다.

 

자유가 말하길 : 자장은 능히 어려운 일을 해내지만 아직 어질지는 못하구나. [15장]

증자가 말하길 : 당당하다 자장이여. 그러나 함께 인을 행하기는 어렵구나. [16장]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20장  (0) 2013.01.12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0)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0) 2013.01.09
제2편 위정(爲政) 제16장  (3) 2013.01.07
제2편 위정(爲政) 제15장  (0) 2013.01.04
Posted by 오빠야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 유야, 내가 안다는 게 무엇인지 가르쳐주겠다 [由, 誨女知之乎]
- 아는 것을 아는 것으로 알고 [知之為知之]
- 모르는 것을 모르는 것으로 아는 것 [不知為不知]
- 그것이 진실로 아는 것이다 [是知也]


  유(由)는 자로이다. 힘을 숭상하고 다혈질에 직설적이며 참을성이 부족한 캐릭터다. 공자의 직계제자 중에 가장 소인다운 모습으로 등장하고 여러 차례 공자에 맞서곤 했다. 그렇지만 실제로는 공자를 너무 존경한 것이 아니었을까? 장수가 더 어울리는 그였지만, 공자의 가르침에 따라 '선비'로서 의연하게 죽음을 맞았고, 공자는 통곡하며 절인 고기를 더 이상 먹지 않았다는 게 기록이다.


  어쨌건, 이 장에서 공자는 절제력이 부족했던 유(由)에게 지(知)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인(仁) 의(義) 예(禮) 지(知) 신(信)으로 구분하곤 하는 공자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자로가 모르면서 아는 척 까불거리다가 혼난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공자학은 스스로를 갈고 닦는 수신(修身)과 스스로를 이겨내는 극기(克己)에서 출발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뿌리가 신독(愼獨)과 무자기(毋自欺)다. 자신을 아무도 볼 수 없고, 아무도 들을 수 없는 자리로 옮겨놓으라 한다. 그 지점에서 울려나오는 참된 소리를 두려워하고 삼가는 것이 신독(愼獨)이다. 그 소리를 듣고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 무자기(毋自欺)다. 


  논어에는 공자가 하늘을 날아다녔다는 기록이 없다. 오히려 모른다는 고백, 안회에 미치지 못한다는 고백을 담고 있다. 심지어 부족해서 배운다는 걸 자랑하기까지 한다. '나보다 배움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라고. 모자라고 모르고 배워야 했던 공자를 성인이라 칭하며 존경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자로가 공자에게 죽음에 대해서 물었다. [제11편 선진 제11장]

삶도 아직 모르는데 죽음을 어찌 알겠느냐? [未知生 焉知死]


  모르는 것을 안다고 하면 크게 두 가지 병폐에 빠진다. 첫째,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으려 하고 스스로도 배우려 하지 않기에 성장이 멈춘다. 둘째, 가르치려고만 하게 된다. 맹자의 표현을 빌리면 '내 밭은 버려두고 남의 밭만 김매려고 애쓴다'는 그 늪에 빠지게 된다.  


  유학만 그런가? 노장도 지(知)에 대해 마찬가지로 가르치고 있다. [도덕경 제71장]

알지 못하는 것을 아는 것이 최고의 지혜다[知不知上]
알지 못하면서 안다고 하는 것은 병이다[不知知病]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0)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0)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6장  (3) 2013.01.07
제2편 위정(爲政) 제15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14장  (0) 2013.01.04
Posted by 오빠야닷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