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59

渙 亨 王假有廟 利涉大川 利貞
【初六】用拯馬壯 吉
【九二】渙 奔其机 悔亡
【六三】渙其躬 无悔
【六四】渙其群 元吉 渙 有丘 匪夷所思
【九五】渙 汗其大號 渙 王居 无咎
【上九】渙其血 去 逖出 无咎

  환(渙)괘는 물이 거침없이 흘러감이니, 막힌 것이 풀어지는 것, 물꼬가 트임을 의미한다. 막히는 시기가 있다. 나의 잘못이 아니라 하늘이 막아놓은 것이니 곧 도리가 없어진 세상 36번째의 명이(明夷)의 세상을 만나 막혀있었던 것이다. 도가 무너진 명이(明夷)의 세상에는 은둔하여 자기수양을 하고 있으라고 하였다. 언젠가는 비가 그치는 법이니 반드시 맑은 날을 만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환(渙)괘는 명이의 세상이 끝나고 거침없이 바른 도가 흘러넘치는 세상을 만나게 된 것을 의미한다.

 

渙 亨 王假有廟 利涉大川 利貞
트여서(渙)는 형통하니(亨) 왕이 가서 제사 지낼 종묘가 있으면(王假有廟) 과감히 큰 강을 건너면 이로우리니(利涉大川) 끝까지 이롭다(利貞)

  꽉 막혀 있던 것이 트이는 것은 씨(元)로부터 바야흐로 싹이 트는 것이니 성장(亨)을 시작한 것이다. 왕이 제사 지낼 종묘가 있다는 말은 곧 전통이 있다는 말이니, 곧 씨(元)가 좋았다는 말이다. 좋은 씨가 비로소 싹을 틔운 것이니 좋은 결실을 얻을 것은 자명하다. 과단하게 강을 건너도 이롭다. 좋은 결실을 맺고(利) 마감(貞)할 수 있다.

 

用拯馬壯 吉
기운이 강한 말의 도움을 구하면(用拯馬壯) 길(吉)하다.
  용증마장(用拯馬壯)은 36번째 명이(明夷)괘에서도 만날 수 있었다. 도가 무너진 명이의 시절에 왼쪽 허벅지에 활을 맞은 사람이 기운 센 말을 만나서 구원을 얻었다. 그 뜻은 도망가야 할 때는 센 기운으로 도망가라는 뜻도 담겨있다. 이제 술술 풀리는 환(渙)의 시기에도 기운센 말의 도움을 받아야 길하니, 도망을 가야 할 때도 나아가야 할 때도 기운이 왕성한 말처럼 힘차게 내달려야 한다는 뜻이다.

 

渙 奔其机 悔亡
트였으니(渙) 그 궤로 빨리 내달려야(奔其机) 후회가 없다(悔亡)
  말의 힘찬 기운으로 나아가야지, 시간을 지체하지 말라는 뜻이다. 궤(机)는 베틀이니 곧장 근본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말이다. 물고기보다 낚시대가 중하며, 삼베보다 베틀이 중하다. 기운이 강한 말을 타고 빨리 내달려 베틀을 차지하라는 말이다. 엉뚱한 길로 빠지지 말고 근본을 향해서 나아가야 한다.

 

渙其躬 无悔
그 몸이 거침없어야(渙其躬) 후회가 없다(无悔)
  그 몸이 거침이 없는 것은 꽉 막혔을 때 풀리는 시기를 대비하여 자기관리를 잘 해 둔 것을 말한다. 군자는 은둔하더라도 몸과 정신을 잘 가꾸어 풀리는 시기를 대비하고 있었을 것이다. 때를 기다리지 못하고 몸을 망치고 정신을 망치는 사람은 때가 바뀌어 술술 풀리는 시기가 도래하였어도 쓸모없는 사람이 되어 있을 것이다.

 

渙其群 元吉 渙 有丘 匪夷所思
무리를 이루어 거침없이 나아가야(渙其群) 근원적으로 길하다(元吉) 거침없이(渙) 언덕으로 모이는 것을(有丘) 오랑캐들은 생각하지 못한다(匪夷所思)
  오랑캐(夷)는 도가 무너진 명이(明夷)의 시기였기에 힘으로 세상을 지배할 수 있었던 집단을 뜻한다. 그래서 덕보다 힘을 숭상하는 무리를 상징한다. 그러나 그 힘이 통했던 까닭은 힘이 정답이였기 때문이 아니라 시기가 명이의 시기였기 때문이었다. 그러한즉 힘을 숭상하는 오랑캐들은 힘이 전부인 줄 알 것이니 덕이 힘을 꺾을 것을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물꼬가 트여 거침없는 때에도 혼자서는 도모할 수 없다. 무리를 이루어 나아가야 한다.

 

渙 汗其大號 渙 王居 无咎
막힌 것이 트이니(渙) 오랑캐들은 땀을 흘리며 크게 울부짖지만(汗其大號) 트였어도(渙) 왕이 자리를 지켜야(王居) 허물이 없다(无咎)
  힘만 숭상하던 오랑캐들이 전전긍긍(戰戰兢兢)하며 크게 울부짖고 후회를 하니, 때가 도래하였지만 왕이 제 자리에 위치하여 이끌어야 허물이 없다. 왕이 냉정을 잃고 선두에 서서 공격을 하는 것은 아니어야 한다는 말이다. 소위 두고보자는 식으로 가슴앓이를 하다가 트이니 냉정을 잃고 나아가는 것을 말함이다. 왕은 흔들리지 말고 흥분하지 말고 제 자리를 지켜야 한다.

 

渙其血 去 逖出 无咎
그 피가 거침없이 흐르며(渙其血) 지나가더라도(去) 멀리 멀어지면(逖出) 허물이 없다(无咎).
  오랑캐들이 죽어 그 피가 거침없이 흐르게 되니, 힘을 숭상하던 오랑캐들이라 큰 희생이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생명의 다침은 참으로 안타까우나 시간이 멀리 지나가 먼 옛날 이야기가 되면 허물은 없어진다고 한다. 정의가 살아있음을 알리기 위한 불가피한 희생이며 천명(天命)인 까닭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58

兌 亨利貞
【初九】和兌 吉
【九二】孚兌 吉 悔亡
【六三】來兌 凶
【九四】商兌 未寧 介疾 有喜
【九五】孚于剝 有厲
【上六】引兌

  태(兌)괘는 즐거움을 뜻하는 괘이다. 태(兌)괘는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한 것은 아니다. 즐거움을 느끼는 유형을 제시하고 그 각 유형들에 대해서 바람직한지의 여부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兌 亨利貞
즐거움(兌)은 성장(亨), 결실(利) 마침(貞)기의 일이다.

  즐거움은 원형리정의 단계에서 원(元)의 시기를 제외한 일이니 즉, 의식이 있는 상태에의 인식이다. 즐거움을 따르는 것은 동물이 따뜻한 곳으로 찾아가는 것과 같다. 힘들어 보이고, 고통스럽게 살고 있는 듯 여겨지는 수도승(修道僧)도 결국은 고통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즐거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천도(天道)이며 인도(人道)이다.

 

和兌 吉
조화로워 즐거우니(和兌) 길(吉)하다.

  자연(自然)처럼 조화롭기 때문에 즐거운 것을 말한다. 아름다운 강산을 바라보는 것이 즐거운 이유는 조화롭고 평화롭고 따뜻하기 때문이다. 시경에서 “처자(妻子)와 잘 화합하는 것이 금(琴)과 슬(瑟)의 연주와 같으니 형제가 화목하여 조화롭고 즐겁구나(和樂). 네 집안 제대로 다스리려면 네 처자식 즐겁게 하라”[시경 소아.상체편]고 하였다. 악마는 고통스럽고 눈물이 흐르고 피가 흐르고 파괴되는 것을 보고 즐거워하며 웃는다고 하였다. 조화롭지 않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은 흉하다.

 

孚兌 吉 悔亡
신념이 있어 즐거우니(孚兌) 길(吉)하고 후회가 없다(悔亡)
  유학의 최고 경전이라 말하는 『논어』는 기쁨과 즐거움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자의 말씀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람의 도를 배우고 체득해가니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알아주는 이 있어 멀리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생길 리 없으니 또한 군자답지 않겠는가?”[논어 제1편 학이 제1장]

  공자께서 말씀하시는 이러한 즐거움이 신념이 있어 즐거운 것이다. 공자께서는 안회를 칭찬하며 “거친 밥과 한 바가지 물로 누추한 거리를 살아도 그의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구나. 참으로 현명하도다 안회여!”[논어 제6편 옹야 제11장]라고도 말씀하셨다. 이러한 즐거움은 물질의 부귀나 지위의 귀천에 전혀 구애되지 않는 즐거움이다.

 

來兌 凶
오는 것이 있어 즐거우니(來兌) 흉(凶)하다.

  오는 것(來)이 있어 즐거운 것은 오직 얻어서 즐거운 것을 말한다. 잃는 것 없이 얻어서 그것을 즐거워 하는 것을 말한다. 뒤에 이어지는 상태(商兌)와 달리 제 것은 하나도 내 놓지 않고 받기만 하려는 이기적 즐거움이니, 술값 계산할 때 항상 숨어버리고 얻어 먹은 것을 즐거워 하는 그런 부류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다.

 

商兌 未寧 介疾 有喜
거래하여 즐거우나(商兌) 편안한 것은 아니니(未寧) 병이 되는 것을 막아야(介疾) 기쁨이 있다(有喜)

  상태(商兌)는 거래를 하여 즐거움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즉 주고받는 GIVE AND TAKE의 즐거움이다. 래태(來兌)는 내 것은 하나 내 놓는 것 없이 오직 이익만 실속만 차리려는 즐거움이라면, 상태(商兌)는 주고받는 즐거움이다. 그래서 래태(來兌)는 흉하다고 했지만 상태(商兌)는 병이되는 것이 아니면 괜찮다고 한다. 주역과 논어의 입장은 정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배척하지는 않는 까닭이다. 그러나 병이 되는 수준에 이르지는 말아야 한다고 하니, 돈이 안되는 일은 애초에 하려고 하지 않는 생각을 나무라는 것이다. 공자께서도 “먼저 일하고 뒤에 그 대가를 얻으려 하는 것이 덕을 높이는 것이다”[논어 제12편 안연 제21장]라고 하셨으니, 이미 선사후득(先事後得)은 고사성어가 되었다.

 

孚于剝 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면(孚于剝) 위태로움이 있다(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는 것은 사람의 길을 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곧 기인(奇人)의 행세를 하는 것을 즐거워 하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궁벽한 이치를 찾고 괴이한 일을 하는 것을 후세에 칭송할 수 있겠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중용 제11장]고 하셨다. “도(道)는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니 사람이 도를 행하고자 하면서 사람의 길을 멀리하면 도라고 할 수 없다”[중용 제13장]고 하셨다. 화태(和兌)처럼 조화로움이 즐거움이어야 한다. 어쩌면 이러한 가르침이 중국에서 불교가 뿌리를 잘 내릴 수 없었던 이유일 지도 모른다. 머리를 깎고, 고기를 먹지 않고, 부부관계를 하지 않는 수도승을 유별나게 유난을 떠는 것으로 생각했음직도 하다. 마음으로 관통할 수 있다면 진리를 추구하는 길이 유별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성인 석가모니의 잘못이 아니라 따르는 자들이 구속하고 막아놓은 까닭일지도 모른다. 

 

引兌
이끄니 즐겁다(引兌)
  화태(和兌) 부태(孚兌) 래태(來兌) 상태(商兌)와 달리 인태(引兌)는 주역에서 길흉, 여타의 판단을 하고 있지 않다. 이끌고 오니 즐거운 것은 소위 조종하는 즐거움이다. 이끄는 즐거움에 대해서 주역이 판단하지 않은 이유는 중용을 벗어나면 흉(凶)할 것이요, 중용을 지키면 길(吉)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조종 하려고 하는 마음은 조심하고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덕이 높은 현자가 어리석은 백성들을 이끌고 오는데 즐거움을 느낀다면 길하겠지만, 마마보이의 어머니가 자식을 이끌고 와야 즐거운 것은 흉할 것이기 때문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