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07

師 貞 丈人 吉 无咎
【初六】師出以律 否臧 凶
【九二】在師 中吉 无咎 王三錫命
【六三】師或輿尸 凶
【六四】師左次 无咎
【六五】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師師 弟子輿尸 貞 凶
【上六】大君有命 開國承家 小人勿用

  전쟁이 초래하는 참담함이 어떠한지 굳이 언급할 필요가 있을까? 6.25전쟁으로 인한 그 참상이 오래 전의 일이 아니다. 3년이 넘는 전쟁으로 수많은 국민들은 피를 흘리며 죽어갔고 시설이 파괴되고 강산이 폐허가 되어버렸다. 그리고 여전히 우리는 휴전 중에 있을 뿐이다.

 

師 貞 丈人 吉 无咎
전쟁(師)은 파멸(貞)을 가져온다. 부득이 전쟁을 벌여야 한다면 건장한 남자(丈人)여야 길하고(吉) 허물이 없다(无咎)
.
  전쟁을 피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가 말한 '정의로운 전쟁(bellum justum)'처럼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부득이 맞설 수 밖에 없는 전쟁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건장한 남자들로 전쟁을 치르라고 주역은 말한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백성들을 7년 동안 가르쳐 전쟁에 나아가게 해야 한다” “백성들에게 군사훈련을 지속적으로 시키지 않음은 백성들을 버리는 것이다”[논어 제13편 자로 제29장,제30장]라고 한 말씀과 뜻을 같이 한다. 적을 사상 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쟁에서 방어력을 갖추어 생명의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는 뜻이다. 장인(丈人)의 의미에 대해서는 유능한 장군, 능력있는 지휘관을 뜻한다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지만, 주역의 사상과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 장군의 명성이 커진 만큼 죽어간 생명은 많은 법이다.

 

師出以律 否 臧 凶
전쟁을 위해 출정을 하면(師出) 군율로써(以律) 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否) 큰 군대(臧)라도 흉하다(凶)
.
  군율이 세워지지 않은 오합지졸의 군대 역시 생명을 빼앗는 것과 다름이 없다. 그 보다 더 큰 문제는 군율이 세워지지 않은 군대는 백성을 지키기 위한 군대가 아니라, 백성을 해치는 군대로 탈바꿈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생명이 위태롭게 되는 전쟁은 인간의 숨은 야성을 드러나게도 한다. 전쟁 통에 학살, 강도, 강간등을 비롯 인간이 얼마만큼 잔학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일들을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었다. 군율을 세우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승리를 위해서 기술해 놓은 것이 아닐 것이다. 전쟁도 인간사랑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 까닭일 것이다.    

 

在師 中 吉 无咎 王三錫命
전쟁에 임할 때(在師) 중용을 지키면(中) 길하고(吉) 허물이 없어(无咎) 임금이 세 번이나 상을 내릴 것이다(王三錫命).

  전쟁에 임할 때도 중용의 도(道)를 지켜야 한다. 대치하고 있음으로써 족한데 싸움을 하고, 생포할 수 있는데 사살해 버리고, 말머리를 돌려 배반을 하는 등등, 전쟁은 위험하고 긴장된 상황으로 나가기 때문에 냉정(중용의 바른 길)을 지킬 수 없는 위험이 크다. 임금도 장수도 군사도 백성도 전쟁에 임하게 될 때에는 중용을 지켜야 길하다. 공자께서 위험에 처했을 때 "군자는 어쩔 수 없는 때에도 원칙을 벗어나지 않지만, 소인은 어쩔 수 없게 되면 곧 함부로 한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장]고 하셨다. 상황이 위급하고 급박하게 변하면 냉철함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법이다.
 

師或輿尸 凶
승리와 관계없이 전쟁으로 수레에 밟힐 정도의 시체가 생긴다면(師或輿尸) 흉하다(凶)

  주역이 공맹의 사상을 접목하여 읽을 수 있는 까닭은 공자가 주나라 시대의 올바른 문화를 전승하겠다는 것을 사명으로 여겼고, 주나라의 주공을 흠모했다는 것에서 그 까닭을 찾을 수 있다. ‘공자께서는 제사, 전쟁, 질병을 신중하게 대하셨다’[논어 제7편 술이 제13장]는 뜻은 ‘죽은 생명, 위태로운 생명, 고통 받는 생명’을 신중하게 대했다는 생명존중을 의미하는 것이다. 수레에 밟힐 정도로 많은 시체가 생긴다면 어떤 변명도 필요없다. 흉하다.  
 

師左次 无咎
그렇게 사상자가 생길 전쟁이라면 전쟁을 멈추거나 후퇴하는 것(師左次)이 허물이 없다(无咎)

  왼쪽을 뜻하는 좌(左)는 후퇴를 의미하고 차(次)는 다음을 기약하는 것을 뜻한다. 승리하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수레에 밟힐 정도의 시체가 생기게 될 것이라면 후퇴하거나 멈추라는 뜻이다. 아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엄청난 사상자가 생기게 되는 전쟁을 주역은 반대하고 있으니, 적장만 처단하고 부하들을 놓아주라는 30번째 리(離)괘의 ‘우두머리는 참수해도 그 부하들은 죽이지 않아야 길하다'는 생명존중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주역은 많이 죽이고 승리하는 전쟁을 찬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師師 弟子輿尸 貞 凶
사냥감이 밭에 있다면(田有禽) 입으로 잡아야 이롭고(利執言) 허물이 없다(无咎). 지휘관이 잘 통솔하더라도(長子師師) 부관이 수레에 밟힐 정도의 시체를 만든다면(弟子輿尸) 결국(貞) 흉하다(凶)

  사냥감이 밭에 있음은 적이 사냥할 수 있는 장소에 나타난 것을 뜻한다. 활을 쏘아 잡을 수 있어도 말(言)로 잡아야 이롭다는 뜻은, 피를 흘리는 싸움이 아니라 항복을 받는 싸움을 의미한다. 지휘관이 잘 통솔하는 것은 이렇게 항복으로 유도하는 지휘를 말하는데, 부관이 시체를 쌓이게 만드는 것은 군율이 바로 서 있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부관만 흉한 것이 아니고 지휘관도 흉하고 군주도 흉하고 백성도 흉하고 결과적으로 모두가 흉하게 된다. 
 

大君有命 開國承家 小人勿用
승리한 임금은 명을 내려(大君有命) 나라를 다시 정상적으로 열고(開國) 생업으로 돌아가게(承家) 해 주어야 한다. 소인(농사꾼)을 계속 전쟁에 사용하려 해서는 안 된다(小人勿用).
  주역이나 논어나 소인은 사람을 차별하기 위해 나눈 개념은 아니다. 소(小)는 사(私)를 말함이고 대(大)는 공(公)을 말함이니, 곧 소인은 집(家)을 중히 여기는 사람, 필부필부 하는 과거의 농사꾼을 말한다. 전쟁이 끝났다면 다시 생업에 편안히 종사하게 해 주어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6
訟 有孚 窒惕 中 吉 終凶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初六】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九二】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六三】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九四】不克訟 復即命 渝 安貞吉
【九五】訟元吉
【上九】或錫之鞶帶 終朝三褫之

  송(訟)괘는 다툼을 의미한다. 싸움은 필요악이다. 공자께서도 "좋구나 좋구나를 연발하는 사람은 덕을 해치는 사람이다"[논어 제17편 양화 제13장]고 하셨으니, 싸울 때는 싸워야 한다. 그러나 싸우지 않아야 할 때 싸우고, 싸움이 지나쳐서 문제가 된다. 본래 유학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군자는 옳고 그름의 잣대를 자기에게 요구하며, 다른 사람에게 요구하여 억지로 끌고 오려는 이는 아니다. 감화되어 저절로 따라오면 함께 벗이되어 즐겁고, 따라오지 못하면 보살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즐거운 자이다. 그런데도 왜 싸워야 할 때가 생기는가?

  강도가 약자들의 재물을 뺏고 죽이려 할 때는 맞설 힘이 있다면 맛서야 한다. 강도에게 옳고 그름의 잣대를 강요하여 강도와 싸우려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라, 해를 당하게 될 사람을 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람을 흉기로 찔러 살해하는 행위만이 죽이는 것이 아니다. 우물에 빠질려는 아이를 방치하는 방관도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그래서 자기에게 요구하는 것과 남에게 맞서는 것이 모순은 아니다. 본질적인 문제는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그에 간섭하려고 싸울려는 것인지, 물리쳐야 할 해악인지 구별하지 못하는 분별력에 있을 것이다.  

 

訟 有孚 窒惕 中 吉 終凶
다툼(訟)은 추구하는 가치가 있어야(有孚) 하는 것이니, 사사로운 이익을 배척하여(窒惕) 중용의 도(中)를 지키면 길하나(吉) 패자가 생기면 흉하다(終凶)
  어떤 신념을 위해서 다투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람이 미워서 사람을 누르고 패배 시키기 위한 그러한 다툼은 좋지 못하다. 공자께서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좋아하고 사람을 미워할 자격이 있다”[논어 제4편 이인 제3장]고 하셨다. 사사로운 감정에 의거하여 나와 같으면 좋고, 나와 다르면 미워하는 그러한 호악을 경계한 까닭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사람이 좋지 않다고 해서 그의 바른 말을 부정해서는 안 된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3장]는 것처럼 사사로움을 배척하여 중용의 도를 지켜야 길하다고 한다. 종흉(終凶)이란 마침(終) 곧, 끝장나는 자가 생기는 것을 말함이니 그것은 흉(凶)하다는 말이다. 비유하자면, 승자가 쓰러진 자를 내버려 두고 승리만 돌아보는 것이니, 마땅히 쓰러진 자에게 손을 내밀어 일으켜 주어야 하는 다툼이어야 한다. 모두 함께 잘 되기 위해 신념을 다툴 수는 있겠지만, ‘나 살고 너 죽어라’는 다툼은 곤란한 것이다.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대인을 만나봄이 이로우니(利見大人) 큰 강의 건너듯 과단성을 가지고 밀어부침은 이롭지 못하다(不利涉大川).
  신념도 그것이 아집일 수 있으니 자문을 구해보기도 하고 더 깊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공자께서는 “무의무필무고무아(毋意毋必毋固毋我)”하셨다고 하는데 즉, ‘맘대로 해석하는 것, 반드시 하려는 것, 절대로 하지 않으려는 것, 자신만 옳다고 하는 것’ 이 네 가지를 결코 가까이 하지 않으셨다고 한다.[논어 제9편 자한 제4장]

 

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다툼은 오래 지속하지 않으면(不永所事) 소소한 말은 들을지라도(小有言) 마침내 길하다(終吉).
  질질 끌어서 가장 좋지 못한 것 중의 하나가 다툼일 것이다.

 

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다툼에 굴복하여(不克訟) 돌아가 숨으면(歸而逋) 그 고을사람 3백호가 편안해지니(其邑人三百戶) 재앙이 없어진다(无眚)
  다툼에서 도망치는 것이 결과적으로는 주변사람 모두를 고통에서 해방시켜 주는 것이 되기도 한다. 도망치는 자가 비겁하고 수치스러운 사람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더 큰 용기를 가진 사람일 수 있다. 공자께서는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논어 제14편 헌문 제28장]고 하셨다. 결국 용기도 내면적 정서이니 사람의 시선을 두려워 한다면 그것은 참 용기가 아닌 것이다. 단속해야 할 것은 『중용』에서 말하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내면의 마음의 움직임’일 뿐이다. 사람을 향한 부끄러움이 아니라, 하늘(자기양심)을 향한 부끄러움이 없어야 그 자가 용자(勇者)이다.

 

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다투고자 하는 본성이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면(食舊德) 끝까지 극복하기 어려운 성향이지만(貞厲) 끝낼 수 있어야 길하니(終吉) 왕의 일을 맡는 큰일을 담당하여도(或從王事) 왕이 되려 하지 않을 것이다(无成)
  성선설을 주장하는 맹자께서도 ‘본연지성’은 선하지만 태어나면서 받은 ‘기질지성’이 달라 선악의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하셨으니, 태어난 사람마다 품성의 차이가 있음은 인정하신 것 같다. 유전적으로 강한 호전성을 물려받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유전적인 호전적 성향은 끝내어야 길하다고 한다. 그래야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무성(无成) 유종(有終) 할 수 있다고 한다. 곤(坤)괘에서 나온 것처럼 ‘왕의 일을 대신하여 공로를 탐하는 것이 아니라 바른 결과만을 원한다’는 뜻이다. 공자께서는 “군자가 용감하면서 의로움이 없으면 난리를 일으키게 되고, 소인이 용감하면서 의로움이 없으면 도둑이 된다”[논어 제17편 양화 제23장]고 하셨으니, 호전성을 의로움으로 다스릴 수 없다면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왕이 되려 할 것이다.

 

不克訟 復即命 渝 安貞吉
다툼에서 패하더라도(不克訟) 돌아오라는 요청을 받아(復即命) 승복(渝)하면 끝까지 편안하고(安貞) 길(吉)하다
  패자의 깨끗한 승복은 계속 다투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다툼은 악을 물리치고, 신념을 펼치기 위한 것이어야지 서로 원수로 갈라서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툼의 결과에 승복할 수 있는 것은 용기를 의로움으로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도전의 장남이었던 정진은 아버지를 역적으로 내몰아 죽였던 태종 이방원으로부터 관직을 제수받고 훗날 형조판서까지 지냈다. 정진의 진심을 속단 할 수는 없지만, 호랑이가 토끼를 낳지는 않는 법이니, 구차하게 살고자 한 까닭은 아니었으리라 생각한다.   

 

訟元吉
다툼(訟)은 근원적(元)으로는 길한 것(吉)이다.
  다툼은 필요악이다. 발전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싸우지 않아야 할 때 싸우고, 싸움이 지나쳐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당연히 유전적인 용감함도 근원적으로 좋은 것이다. 다만, 의로움으로 바로 세울 수 있어야 한다.

 

或錫之鞶帶 終朝三褫之
호전성이 지나치면 왕으로부터 큰 상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지만(或錫之鞶帶) 마침내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그 상을 세 번 빼앗기게 될 것이다(終朝三褫之).
  왕의 마음을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세 번이나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까닭은 호전성이 지나치기 때문이다. 죽음도 불사하는 거침없는 용기는 근원적으로는 길하고 왕에게 큰 상을 받을 만큼 훌륭한 자질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툼 이후에는 왕을 비롯하여 세상 모두가 평화롭기를 원할 것이다. 그렇지만 유전적 호전성을 억누르지 못하기에 아침이 끝나기도 전에 상을 세 번이나 빼앗기게 되는 것이니, 용감함을 의(義)로서 다스리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