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0. 3. 5. 14:28

부잉불육(婦孕不育)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5. 14:28

  부잉불육(婦孕不育)은 『주역』점(漸)괘의 셋째 효사에 나옵니다. 직역하면 ‘부인이 임신을 했지만 키울 수 없다’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누릴 수 없는 혜택’이 생기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인용합니다. 예컨대, 좋은 땅이 생기게 되었지만, 경작할 수 없으니 세금이 더 부담스러운 상황입니다. 좋은 카메라가 생겼지만 비싼 필름값을 감당할 수 없어 쓸모가 없는 경우, 좋은 자동차가 생겼지만 유지비를 감당할 수 없어 쓸 수 없는 경우 등등, 이와 유사한 경우도 종종 생기기도 하는 것이 인생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축하한다고 할 경우에 ‘부잉불육이라 오히려 짐이야’라는 식으로 인용하는 것입니다.

 

종종 ‘능력없는 남편을 두었다’는 뜻으로 인용하기도 합니다. 아이를 키울 수 없는 것은 남편이 경제적인 부양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임신을 해도 키우지도 못할건데’하는 조소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상전의 해석을 따라서 ‘부도덕한 여인’의 의미로 인용하기도 합니다. 부인이 키울 수 없는 것은 ‘남편의 아이가 아니기 때문이다’ 혹은 ‘결혼도 하지 않고 아이가 생겼다’ 라고 하는 등등의 주역해설이 모두 『상전』의 도를 잃었다[失其道也]는 해설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따르고 싶지 않은 해석입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음등천(翰音登天)  (2) 2010.03.05
무초유종(无初有終)  (0) 2010.03.05
불상비창(不喪匕鬯)  (0) 2010.03.05
군자표변(君子豹變)  (0) 2010.03.05
구정무금(舊井无禽)  (0) 2010.03.05
:
Posted by 오빠야닷컴
53

漸 女歸 吉 利貞
【初六】鴻漸于干 小子 厲 有言 无咎
【六二】鴻漸于磐 飲食衎衎 吉
【九三】鴻漸于陸 夫征不復 婦孕不育 凶 利禦寇
【六四】鴻漸于木 或得其桷 无咎
【九五】鴻漸于陵 婦 三歲不孕 終莫之勝 吉
【上九】鴻漸于陸 其羽 可用爲儀 吉

  기러기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이유는 사람이 질투할 만큼 금슬이 좋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남자가 장성하여 혼기가 되면 박달나무를 직접 깎아 기러기를 조각하여 그 교훈을 가슴깊이 새기도록 가르쳤다고 한다. 그리고 그 깎은 기러기 한 쌍을 들고 신부 집을 찾아가 혼인을 청하는 예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기러기는 짝을 찾으면 죽을 때까지 다른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새끼가 있으면 새끼를 키우며 살고 새끼가 없으면 따라 죽는다고 한다. 수컷 기러기는 아무리 먼 거리라도 날아가서 먹이를 구해오므로 멀리 떨어져 부양을 하는 '기러기 아빠'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요즘 같은 이혼이 빈번하고 불륜이 무덤덤하게 받아들여지는 시대에 사람들을 부끄럽게 만드는 새이기도 하다. 주역에서 말하는 점(漸)괘는 여인의 나아감을 뜻한다.

 

漸 女歸 吉 利貞
나아감(漸)은 여인이 시집가는 것(女歸)이니 길(吉)하고 끝까지 이롭다(利貞).
  주역은 여인은 시집을 가야 길하다고 한다. 사람의 상상력은 기발하기에 '처녀귀신'이 생겼던 것 같다. 죽어서 보니 가장 원통한 여인은 시집가서 남편과 아이와 함께하는 가정생활을 경험하지 못한 여인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까닭일 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요즘시대에는 이혼한 사람들도 많고 독신자들도 많다.

 

鴻漸于干 小子 厲 有言 无咎
기러기가 물가로 나아가니(鴻漸于干) 어린자녀(小子)가 위태로워(厲) 말들이 있겠지만(有言) 허물은 없다(无咎).
  기러기는 사랑으로 맺어진 혼사를 하러 시집가는 여인을 뜻한다. 정략결혼이 아니기에 사랑을 상징하는 기러기인 것이다. 그런데 물가로 나아가는 것은 자신도 쉽게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곳으로 나아간 것이다. 자연히 사랑하는 남편을 위해 가정 일에 소홀해질 수 있어 어린자녀가 위태롭고 말들이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허물은 아니다. 사랑이 살아 있기 때문이다.

 

鴻漸于磐 飲食衎衎 吉
기러기가 반석으로 나아가니(鴻漸于磐) 마시고 먹는 것이 풍족하여(飲食衎衎) 길(吉)하다.
  시집가는 여인이 경제적인 걱정을 전혀 할 필요 없는 부유한 곳으로 시집을 간 것이니 길하다. 부유한 곳으로 시집간 것 때문에 길한 것이 아니라, 금슬 좋은 기러기 한 쌍인데 부수적으로 경제적인 근심까지 없으니 길한 것이다.

 

鴻漸于陸 夫征不復 婦孕不育 凶 利禦寇
기러기가 뭍으로 나아가니(鴻漸于陸) 남편이 멀리 나가서 돌아오지 못하고(夫征不復) 부인은 임신해도 키우기 어려워(婦孕不育) 흉(凶)하다. 궁핍해도 도적을 막아야 이롭다(利禦寇).
  여인이 사랑의 마음으로 힘들고 곤궁한 곳으로 시집을 간 것이다. 기러기는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주위를 경계하여 지키는 새이다. 그러나 암컷을 지켜주고 있기에는 경제적 형편이 되지 못하고 물고기를 잡아올 곳은 멀리 있어 쉽게 돌아오지 못하니 곧, 벌이도 시원찮은 것이다. 힘들고 고생스러운 곳으로 시집을 간 것이어서 외부에서 보기에는 흉(凶)하지만 궁핍할지라도 도적을 막으면 이롭게 된다. 도적은 바른 마음을 훔쳐가는 내면에 잠재한 악마이다. 미움이 생겨 원망하여 사랑의 마음을 잃는 것을 말한다. 그런 도적을 막아 사랑의 마음을 잃지 않는다면 결국은 이롭게 된다.

 

鴻漸于木 或得其桷 无咎
기러기가 나무로 나아가니(鴻漸于木) 혹 그 가지를 얻는다면(或得其桷) 허물이 없다(无咎).

  나무로 나아간 것은 함께 거주할 수 있는 주거가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시작을 한 것이다. 그러나 나무로 나아갔으니 그 가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니다. 조금만 노력하면 그 가지를 얻을 수 있는 곳으로 나아간 것이니 허물이 없다. 시작부터 지나치게 반석으로 나아간 기러기나 시작이 너무 초라한 뭍의 기러기보다는 쉽게 만날 수 있는 결합일 것 같다.

 

鴻漸于陵 婦 三歲不孕 終莫之勝 吉
기러기가 왕실로 나아갔으나(鴻漸于陵) 부인(婦)이 오랫동안 임신하지 못했다(三歲不孕) 그러나 끝내는 이기지 못할 것이니(終莫之勝) 길(吉)하다. 
  손을 보는 것이 귀한 왕실같은 엄청난 집안으로 시집갔으나 오랫동안 임신을 못하고 있다. 기러기는 강조한대로 금슬이 좋은 부부를 상징하니, 금슬이 좋기에 결국은 임신을 하게 될 것이라는 말이다. 금슬이 좋은 부부는 하늘이 시샘해도 소용없다는 뜻이다.

 

鴻漸于陸 其羽 可用爲儀 吉
기러기가 뭍으로 나아가나(鴻漸于陸) 그 날개짓을(其羽) 본보기로 삼을 만하니(可用爲儀) 길(吉)하다.

  위의 기러기 중에서 가장 가엾어 보이는 기러기는 뭍으로 나아간 기러기이다. 힘들고 고생스러운 곳으로 시집을 갔어도 그 어려움으로 인해 사랑의 마음을 잃지 않고(도적을 받아들이지 않고) 힘차게 날개짓을 하니 가히 그 사랑의 힘이 본보기로 삼을 만한 정도에 이르렀다. 곧 남편이 벌이가 힘들다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힘찬 날개짓을 하겠다는 여인의 사랑이니 이겨내지 못할 것이 없을 것이다고 한다. 좋은 일만 함께 하겠다는 사랑이 아니라 굳은 일도 함께 하겠다는 사랑이기 때문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9

小畜 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初九】復自道 何其咎 吉
【九二】牽復 吉
【九三】輿說輻 夫妻反目
【六四】有孚 血去惕出 无咎
【九五】有孚 攣如 富以其鄰
【上九】既雨既處 尚德 載 婦貞厲 月幾望 君子 征 凶

  여러 번 언급했지만 소(小)는 가정(家)을 의미한다. 그래서 소인(小人)은 한 가정 꾸리기에 온 힘을 다하는 필부필부(匹夫匹婦)하는 보통의 백성을 가리키는 의미라고 했었다. 소축(小畜)의 괘는 가정에서의 중요한 이룸이니 곧 임신을 뜻한다. 『효경』에서 '신체를 상하게 하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라고 하였으니, 그 뜻은 선조의 생명을 건강한 상태로 연속시켜야 한다는 의미였다. 『맹자』에서 '대를 잇지 못하는 것은 가장 큰 불효'라고 하는 것도 역시 비슷한 의미이다. 과거에 소인유(小人儒)들이 불임의 책임을 여성에게로 떠넘겨 부인을 핍박하고 축첩의 명분으로 삼았던 창피했던 역사가 있었다. 임신은 가족의 축복임과 동시에 또한 사회와 국가에 대한 축복이기도 하다. 주역이 9번째 순서로 소축(小畜)을 언급한 것은 그만큼 과거 사람들에게 중요한 의미였기 때문일 것이다.

 

小畜 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임신(小畜)은 성장기(亨) 때의 일이다. 구름이 빽빽하나 비가오지 않는 까닭은(密雲不雨) 스스로(自) 서쪽교외에서 주저하고 있기 때문이다(我西郊).
  무슨 일이건 때에 맞아야 한다는 것이 주역의 첫번째 가르침이었다. 자식을 보는 소축(小畜)은 젊었을 때 이뤄야 할 일이다. 반면에 33번째의 사회적 성취를 뜻하는 대축(大畜)은 결실기(利)와 마감기(貞)의 일이다. 삶을 마감할 시점에 자식을 보려고 하는 것은 시간의 도(道)를 어긴 것이니, 마땅히 때에 맞게 힘써야 할 일이 달리 있다. 서쪽은 해가 지는 곳으로 곧 어두움, 어려움을 상징하는 방향이다. 구름이 빽빽한데도 비가 오지 않는 이유는 어떻게 하면 비가 오는지 어두워 모르기 때문이다. 요즘에는 성교육을 하고 접할 수 있는 정보량이 많지만, 옛날에는 그러하지 못했던 까닭이었을까?

 

復自道 何其咎 吉
스스로 그 도를 깨닫고 돌아오면(復自道)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何其咎)? 길할 것이다(吉)
  본능적으로 음양조화 도(道)를 따라 알게 된 것이다. 즉 어떻게 하면 부부관계를 잘 할 수 있는 지를 스스로 깨닫고 밝은 동쪽으로 돌아왔으니 길하다.

 

牽復 吉
스스로 돌아오지 못하고 이끌려 돌아와도(牽復) 길하다(吉).
  타인의 손에 이끌려 제자리(동쪽)으로 돌아오는 것도 길하다. 묻지도 않고 혼자 끙끙 앓는 것이 가장 좋지 못한 것이니, 부끄러워 하지 말고 타인의 조언과 도움을 구해도 좋으니, 곧 리견대인(利見大人)하라는 뜻이다.

 

輿說輻 夫妻反目
수레바퀴가 틀어지면(輿說輻) 부부가 반목하기 마련이다(夫妻反目).
  수레바퀴가 틀어지는 것은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함이다. 스스로 제 자리로 오건, 도움으로 제 자리로 오건 돌아와야 한다. 수레바퀴가 틀어져 있으면 결국 부부가 반목하게 된다.

 

有孚 血去惕出 无咎
마음이 있고(有孚) 피가 흘러(血去) 부부관계의 두려움이 사라져야(惕出) 허물이 없다(无咎)
  첫 경험이 지난 후라는 의미이거나, 월경을 지나 가임기가 되었을 때라는 의미이거나 모두 해석이 가능하나 어떻게 해석해도 주역의 뜻을 심각하게 해치지는 않을 것 같다. 소축(小畜)을 이루는 것도 때가 있는 법이다. 거시적으로는 젊을 때(亨)여야 하고 미시적으로는 가임기여야 한다.

 

有孚 攣如 富以其鄰
마음으로(有孚) 단단히 묶어두면(攣如) 그 이웃과 더불어 그 부를 나누게 될 것이다(富以其鄰).
  마음 즉, 돈독한 사랑으로 단단히 묶여져 있다면 축복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씨족, 부족단위의 공동체로 이루어졌던 과거에는 임신은 더욱 동네의 경사로 여겨 이웃이 함께 기뻐하고 축복해주었을 것 같다.

 

既雨既處 尚德 載 婦貞厲 月幾望 君子 征 凶
이미 비가 오고 그치기가(既雨既處) 계속되니 자랑할 덕(尚德)이 생긴다. 부인을 업고 기뻐하지만(載) 부인은 아이의 출생까지 염려가 계속된다(婦貞厲) 배가 불러 보름달이 되었는데(月幾望) 군자(君子)가 부부관계로 계속 나아가면(征) 흉하다(凶)
  비가 오고 그치는 것은 부부관계가 계속적으로 원활히 이뤄지고 있음을 말함이다. 당연히 오래지 않아 임신이 될 것이고, 남편은 부인을 업고 기뻐하게 되는데, 오히려 부인은 염려가 계속된다. 아이가 무탈하게 태어날 때까지 근심이 계속되는 것을 말하는 것일게다. 월기망(月幾望)은 보름을 넘긴 것을 말함이니, 곧 배가 불러온 것을 상징한다. 그런데도 군자가 계속 나아가니 흉하다. 현대 의학에서도 태아에게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져지고 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