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13. 1. 12. 13:44

제2편 위정(爲政) 제20장 간상(赶上)/논어(論語)2013. 1. 12. 13:44

계강자가 묻기를 [季康子問:]
백성이 공경하고 충성하고 이를 권면하게 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使民敬, 忠以勸, 如之何]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엄숙히 임하면 백성이 공경하게 되고[臨之以莊, 則敬]
효도하고 자애하면 백성이 충성하게 됩니다[孝慈, 則忠]
선한 이를 등용하여 그렇지 않은 이를 교화하면 권면하게 됩니다[舉善而敎不能, 則勸]


  앞 장의 애공의 질문과 다를 것이 없는 질문이다. 답도 마찬가지다. "너나 잘하세요."


  왜 《논어》에서 연속으로 실어놓았을까? 시대와 문화가 바뀌어도 계속되는 중요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가 말 잘 듣고 공부 잘하게 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내 마누라가 남편을 무시하지 않게 하려면 어찌해야죠? 내 학생이 선생의 말을 잘 따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런 식의 질문으로 변해서 이어진다. 수백 년이 지나도 비슷한 상담을 받으려 줄을 서지 않을까? "당신 탓이요" 라는 마음이 이런 질문의 본질이기에 그리 예상한다.

  너만 바꾸면 다 좋아질 것이라는 계산. 그러나 나를 떠나서 답을 찾지 말라는 것이 유가(儒家)의 확고한 가르침이다. 문제의 해결은 언제나 '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유학은 말한다.

  군자는 자기에게 요구하고, 소인은 남에게 요구한다[제15편 위령공 제20장]


  가정불화를 겪는 두 남녀가 공자를 찾았다고 하자. 남편이 물으면 남편 도리부터 잘해라, 부인이 물으면 부인 도리부터 잘해라가 답이다. 그렇다면 백성이 계강자를 바르게 하는 방법을 물어도 마찬가지일까? 역시 효도하고 우애하고 공경하라는 답이 예상된다. 하지만 "그것은 가신들에게 맡겨두고"라는 전제를 깔 것이다. 말하자면, 유학의 명분론이다. 백성이라는 이름이 아닌 가신이 되어야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음이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무에 간섭하려 하지 마라[제8편 태백 제14장]


  유학의 이 명분론(名分論)이 오해와 비난을 많이 받곤 한다. 이것은 권위주의인가? 아래에서 편향적으로 보면 그러하다. 그러나 남편 역시 부인의 살림살이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맡은 본분에 충실하고 그 밖의 일은 믿고 맡긴다는 것이 핵심이다. 결코, 권위가 주(主)가 아니다. 공자 역시 향당(부형과 종족이 사는 고을)에 있을 때는 마치 말을 못하는 벙어리처럼 있었다.

공자께서 향당에 계실 때는 신실하셔서 마치 말을 못하는 사람과 같으셨고, 종묘와 조정에서는 분명히 말씀하시되 삼가서 하셨다. [제10편 향당 제1장]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22장  (0) 2013.01.14
제2편 위정(爲政) 제21장  (0) 2013.01.13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0)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0)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0) 2013.01.09
:
Posted by 오빠야닷컴
자유가 효에 관해 묻자 공자 말씀하셨다 [ 子游問孝 子曰:]
오늘날 효라는 것이 봉양을 잘 하는 것이라 얘기하곤 하는데 [今之孝者 是謂能養]
개나 말도 보살핌을 받고 있으니 [至於犬馬 皆能有養]
공경함이 없다면 (개와 말과 부모님이) 어찌 다르다 하겠는가 [不敬 何以別乎]

 

  가볍게 들을 수 없는 말씀이다. 물질적으로 봉양을 잘 한다고 해서 효행을 다했다고 여기는 것은, 부모님을 기르는 개나 말 취급을 하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하신다. 공경하는 마음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다면 공경하는 마음은 어떠한 것일까? 애완견을 잘 먹이면서 사람보다 더한 애정을 주고 받기도 하는데, 그렇다면 그러한 애정과는 또 어떻게 다르다는 뜻일까?

 

  맹자는 이렇게 말했다 [맹자 진심 상 13.37]

사람을 대함에 있어서 먹여주기만 하고 사랑하지 않는다면 짐승으로 기르는 것이요, 사랑은 있으되 공경하지 않는다면 그를 짐승으로 사귀는 것이다.

 
  다소 추상적인 얘기지만
경(敬)에는 신성하고 두려운 정서가 포함된다. 공포가 아니라 존경과 숭배에서 발현되는 두려움의 감정인데, 이것은 이해해야 하기보다 체험해야 할 영역인 것 같다. 유학에서 경(敬)이라는 개념이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소개하려고 하는 것인데, 대강 경외와 숭배의 정서가 담겨있다는 정도의 관념을 가지고 앞으로 경(敬)에 대해서 접근하시면 좋을 것이다.


  이 장의 가르침만 보면 어려울 것이 없다.
부모님께 단지 물질적으로만 잘 봉양했다고 해서 마음이 편한가? 그점을 자문하면 쉬이 가슴으로 공감이 되는 가르침일 것으로 생각한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9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8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6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5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4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맹무백이 효에 관해서 묻자 [孟武伯問孝]
공자 말씀하셨다 [子曰:]
- 부모님께서 오직 (너의) 병만 걱정하게 해 드려야 한다 [父母唯其疾之憂]

 

  마지막 부분의 해설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장이다. 공자의 대답은 묻는 제자들마다 다르셨기에, 저 제자는 어떤 사람인지, 저 상황은 어떤 상황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확실한 기록이 많지 않아서 상상을 할 수 밖에 없는 부분도 많다.

 
  맹무백은 앞 장에서 말한 맹의자의 아들인데, 권력을 전횡하던 3가의 한 명인 맹의자였지만, 공자의 학식은 인정하여 아들을 공자에게 배우게 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맹무백은 시호의 무(武)자에서 짐작할 수 있듯, 자로와 마찬가지로 용맹이 지나쳐 주변을 걱정시키는 제자였다고 한다. 그런 성격 탓에 싸우다 다치지 않을까 늘 걱정을 끼쳤기에 말해준 것으로 해석하는 쪽이 유력한 것 같다. 이 외에 '부모는 (자신의  병이 아니라) 자식의 병만 근심하신다', '부모께 다만 자식의 질병만을 걱정하도록 해 드려야 한다'는 등등의 해설이 있다. 

  어쨌건, 효(孝)의 본질은 ‘부모님의 마음을 내 마음으로 헤아려야 한다’는 인(仁)의 관계함으로 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부모님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 것이다. 부모님께서는 자식에게 연기할 때는 어떤 배우보다도 더 완벽하게 하신다고 한다. 들통나면 자식이 맛있게 먹지 못할까봐, 정말 소화가 잘 안되시는 것처럼 완벽히 연기하시는 힘이 있으시다고 한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8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7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5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4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3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부모님께서 살아계실 적에는 뜻을 살펴보고 [父在 觀其志]
부모님께서 돌아가시면 지나온 행적을 살펴보고 [父沒 觀其行]
3년동안은 바꾸지 않아야 효라고 할 수 있다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

 

   이 장의 핵심은 ‘진실한 마음은 가벼울 수 없는 것’이라는 뜻이다. 삼(三)은 '오래다'는 의미로 고래부터 사용한 하나의 상징과도 같으니, 반드시 숫자적 3년이라고 해석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보여줄 수 있는 사랑은 아주 작습니다'라는 선집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칼릴 지브란과 메리 헤스켈의 러브레터와 일기, 작품등에서 발췌하였다고 하는데, 이 책의 제목은 마치 명언처럼 유명해져 있다.

보여줄 수 있는 사랑은 아주 작습니다
그 뒤에 숨어있는 보이지 않는 위대함에 견주어 보면.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분명히 작고 드러날 수 있는 것은 모든 것일 수 없다. 그럼에도 부모님의 생각과 뜻을 쉽게 바꾸려는 것은 부모님을 가볍게 여기고 무시하는 마음일 지 모른다. 생각이 달라도 살아서는 부모의 뜻을 꺾으려 하지 않고 지켜 보는 것,  돌아가신 후에는 지난 행적을 신중히 관찰해 보는 것, 그리고 단번에 바꾸지 않고 깊이 심사숙고 해보는 것은 모두 부모님의 일생의 뜻을 가볍게 여기고 경시하지 않는 것이기에 효(孝)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효(孝)는 마음이 실질이기에, 드러나는 외형적 행위에 집착하라는 뜻이 아니다. 반드시 3년을 그리해야 한다고 못박아 버리면 맹신적인 종교가 된다. 지켜야만 하는 법률 같은 효(孝)가 되어버린다. 한편, 그 시대에는 아버지의 역할이 주도적이기 때문에 부(父)라고 하고 있겠지만, 오늘날에는 부모님을 통칭하는 의미로 읽으면 될 것이다. 전하고자 하는 뜻이 남녀차별이 아니므로 그런 것에 민감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1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0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젊은이들은 집에서는 효도하고 [弟子入則孝]
밖에서는 어른을 공경하고 [出則悌]
행동은 신의로우며 [謹而信]
널리 사람들을 사랑함으로써 [汎愛衆]
인(仁)으로 다가가야 한다 [而親仁]
그리 행하고 힘이 남는다면 [行有餘力]
글을 배우는 것이다 [則以學文]

 

  마지막 구절에 무게를 싣고 있다. 행동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글을 읽는 것은 가장 나중에 해도 충분하다는 의미이니, 『논어』를 독서하는 가치를 낮추어 버리는 말씀이기도 하다.

  
  내용이 훌륭한 책보다 잘 팔릴 책을 우선 출판하는 이 시대에는 이런 글이 초반부에 배치된다면 출판사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지 모른다. 그러나 따져보면 참 이치에 맞는 말씀이다.

 

  오늘날의 우리 시대는 글을 모르기에 도리(道理)를 모르고 있는 시대인가? 글을 알고 도리(道理)를 알아도 '그렇게 실천하지는 못하겠다'는 시대인가? 아는 것과 실제 행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요, 유학은 실천을 강조하는 학문이다.

 

  한편, 널리[汎] 사랑한다는 의미는 잘난사람 못난사람, 빈부귀천을 떠나서, 사람 대 사람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월급이 얼마요, 직업이 무엇이요, 학벌이 어떠한지 등등 그러한 외부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사랑이 아니라, 사람 그 자체만으로 함께하는 진실된 사랑이다. 

  그러한 '참된 사랑으로 교감’하는 것이 인(仁)으로 가깝게 다가가, 인(仁)과 친해지는[親仁] 것이라고 하신다. 그래서 난해하게 인(仁)을 설명하지 않고 ‘인(仁)=진실한 사랑’으로 단순하게 정의하는 학자들도 많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증자 말씀하셨네 : [曾子曰:]
나는 날마다 세가지로 내 스스로를 반성한다 [吾日三省吾身]
남을 위해 힘씀에 최선을 다하였던가 [為人謀而不忠乎]?
벗과 더불어 사귐에 신의를 다하였던가 [與朋友交而不信乎]?
전해준 것이 익히지 못한 것은 아니었던가 [傳不習乎]?

 

『논어』에서 공자와 함께 「선생님」을 뜻하는 자(子)라는 호칭을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에 사용하므로, 『논어』는 유자와 증자 문하에서 편찬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어쨌건 증자(曾子) 곧, 증 선생님이 말한 것은 ‘너희들은 이렇게 세가지로 반성해라’가 아니고, ‘내가 이렇게 반성한다’이다. 이 화법은 숨겨진 뜻이 있다. 비교적 쉽게 보이는 것은 ‘나에게 요구한다’는 유학의 '자기 실천성'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한편, 증자 자신도 어떨 때는 대충 힘쓰기도 하며, 어떨 때는 친구를 의심하기도 하며, 어떨 때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전하기도 한다는 반성이 숨겨져 있다. 이미 그러지 않는 경지에 올랐다면, 날마다 자기를 돌아보며 반성할 까닭이 없으니, 이 장은 증자가 선생인 자기도 때때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는 고백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유학이 요구하는 사람인 군자는 ‘완전한 성자’가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고 고치려고 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다. 정말로 잘못은 지나간 잘못이 아니라, ‘잘못을 숨기고 감추려고 애쓰는 꾸밈’이라고 했다.

  내용으로 돌아와보면, 증자의 세가지 반성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의 내면의 진실성’이다. 다른 사람과 관계할 때 자기를 더 내세우고 싶은 욕구가 이는 것이 사람이다. 이것을 ‘이중인격’이라고 비난해 버린다면, 이 세상에 이중인격자가 아닌 사람이 몇이나 될까?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식이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더 진실된 ‘나’를 이루라고 다그쳐야 한다. 그 반면에 다른 사람에게는 나무랄 것이 아니라, 그런 욕구가 있음을 이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유자 말씀하셨네 : [有子曰: ]
그 사람됨이 효성과 공경이 있는데 [其為人也孝弟]
윗사람을 범(犯)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더라 [而好犯上者 鮮矣]
윗사람을 범(犯)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不好犯上]
난리를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而好作亂者]
아직 없었다 [未之有也]
군자는 근본에 힘써야 하며 [君子務本]
근본이 바로서야 도(道)가 생겨난다 [本立而道生]
효성과 공경이라는 것 [孝弟也者]
그것이 인(仁)을 행하는 근본이다 [其為仁之本與]


효(孝)는 부모를 공경으로 대하는 것이며,
제(弟)는 집안어른을 공경으로 대하는 것이다.
부모에 무조건 '복종'하고, 집안 어른에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일어나는 고마운 마음을 거부할 수 없어 저절로 그리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엄마 아빠가 해 준게 뭐가 있어? 순이 엄마는 X도 해 주고 Y도 해 주는데' 흔히 들을 수 있는 소리다. 고 김수환추기경께서 생전에 '내 탓이요'라는 운동을 하셨던 적이 있다. 세상이 '원망'으로 채워져 가는 것을 그저 두고 보실 수 없으셨던 까닭이었을까?

 

이미 가진 것보다 가지지 못한 것을 탐하는 것이 인생의 한 단면이기도 하기에, 고마움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따져보면 세상은 한없이 감사해야 할 것으로 가득가득 채워져 있다. 아침에 눈을 뜨면서 자신을 살려주고 있는 자연에 감사하는 마음부터 가지는 사람! 그런 사람이 그리운 시대이다. 

만약, 어느 순간 자연이 공기를 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자연을 욕해야 할까? 
'이 XX 자연아! 당연히 니가 공기를 줘야지, 왜 안주냐?' 하고 욕해야 옳은 걸까?

현대인들이 가장 잘못 사용하는 말이 '고맙습니다'를 '당연하지'로 바꾸는 것이라 생각한다.

'부모니깐 당연히 그래야지...

 

산다는 것은, 내 의지로만 장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부모가 젖을 먹여 살수 있게 도와 주었고,
자연이 햇살과 공기와 물을 주고
하늘이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도와주어
나를 살려주고도 있다.
 

사람은 일체의 도움이 없어도, 저절로 살 수 있는 독립된 존재가 아니다. 
그래서 사람 인(人) 이라는 한자어는 하나(I)가 하나(I)를 받쳐주는 모습이다.

효(孝)와 제(弟)를 아는 마음은,
내가 나 저절로 잘나서 내가 아니라
나의 생(生)을 도와주었고 도와주고 있음을 아는 안목을 가졌다는 것이다.

'남'을 다 죽이면 나는 살 수 있을까?
'자연'을 다 없애면 나는 살 수 있을까?

  

그래서 진정으로 효(孝)와 제(弟)를 아는 사람은
아버지의 아들에서 단절될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삼촌의 조카에서 떨어질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남'으로 부터 떨어질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그런 일련에 구속된 '나'가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연결되어 있어 고마움을 아는 사람이다.

'더불어 하나'임을 아는 사람이
나만 보고 남을 범(犯)하려 하고,
나만 보고 난리(亂)를 피우려 하겠는가?

 

유자의 가르침은 한마디로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고마움을 참으로 아는 것이 인(仁)의 근본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