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80

  1.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2.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천승지국을 다스리는 방법은 [道千乘之國]
일을 신중히 하여 신임을 얻는 것이니 [敬事而信]
알뜰히 사용함으로써 백성들을 사랑하고 [節用而愛人]
시기를 고려하여 백성들을 부려야 한다 [使民以時]

 

  천승지국은 전쟁을 치룰 때 천대의 수레를 동원할 수 있는 나라 즉, 제후국을 말한다. 과거 유가(儒家)의 배움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주요한 이상으로 삼았기에 정치가로서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지만, 오늘날 직장에서 지위가 높아졌을 때, 가정에서 부모로서 위치 등등 에서도 그 의미는 통한다.  

  알뜰히 사용하는 것은 왜 백성들을 사랑하는 일일까? 재정을 낭비하면, 백성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둬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은 경영자가 알뜰히 경영하면, 직원들과 더 나눌 수 있어 좋을 것이다. 물론 쓰는 것을 무작정 삼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낭비되는 것이 없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시기에 맞게 백성들을 부리는 것은, 당시의 사회에서는 농한기를 택하여 부역을 시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충분할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에게는 '군역'이라는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 청년들은 가장 소중하고 바쁜 시간을 국가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 그러니 군역을 회피하기 위해 온갖 비리들이 생겨나는 것이 이상하지도 않다. 모병제와 대체복무등 다원화된 사회에 발맞추어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하지 않을까?

 

  이 장에서 가르침도 본질은 인(仁)이다. 재정의 필요없는 낭비를 줄이고 농한기에 백성을 부리는 것은 ‘내 마음으로 백성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다. 세금을 내는 백성들의 마음과 진정으로 함께하는, 군역을 이행하는 백성들의 마음과 진정으로 함께하는, 그 마음이 곧 사람(人)이 진정으로 만나는(二) 것에서 나온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증자 말씀하셨네 : [曾子曰:]
나는 날마다 세가지로 내 스스로를 반성한다 [吾日三省吾身]
남을 위해 힘씀에 최선을 다하였던가 [為人謀而不忠乎]?
벗과 더불어 사귐에 신의를 다하였던가 [與朋友交而不信乎]?
전해준 것이 익히지 못한 것은 아니었던가 [傳不習乎]?

 

『논어』에서 공자와 함께 「선생님」을 뜻하는 자(子)라는 호칭을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에 사용하므로, 『논어』는 유자와 증자 문하에서 편찬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어쨌건 증자(曾子) 곧, 증 선생님이 말한 것은 ‘너희들은 이렇게 세가지로 반성해라’가 아니고, ‘내가 이렇게 반성한다’이다. 이 화법은 숨겨진 뜻이 있다. 비교적 쉽게 보이는 것은 ‘나에게 요구한다’는 유학의 '자기 실천성'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한편, 증자 자신도 어떨 때는 대충 힘쓰기도 하며, 어떨 때는 친구를 의심하기도 하며, 어떨 때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전하기도 한다는 반성이 숨겨져 있다. 이미 그러지 않는 경지에 올랐다면, 날마다 자기를 돌아보며 반성할 까닭이 없으니, 이 장은 증자가 선생인 자기도 때때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는 고백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유학이 요구하는 사람인 군자는 ‘완전한 성자’가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고 고치려고 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다. 정말로 잘못은 지나간 잘못이 아니라, ‘잘못을 숨기고 감추려고 애쓰는 꾸밈’이라고 했다.

  내용으로 돌아와보면, 증자의 세가지 반성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의 내면의 진실성’이다. 다른 사람과 관계할 때 자기를 더 내세우고 싶은 욕구가 이는 것이 사람이다. 이것을 ‘이중인격’이라고 비난해 버린다면, 이 세상에 이중인격자가 아닌 사람이 몇이나 될까?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식이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더 진실된 ‘나’를 이루라고 다그쳐야 한다. 그 반면에 다른 사람에게는 나무랄 것이 아니라, 그런 욕구가 있음을 이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