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80

  1.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9장
  2.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8장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내가 안회와 종일 얘기했는데 [吾與回言終日]
다른 의견이 없어 어리석다고 여겼다 [不違如愚]
그 이후에 사생활을 살펴보고 [退而省其私]
도리어 내가 깨우치게 되었으니 [亦足以發]
안회가 어리석은 것이 아니었다 [回也不愚]

 

   안회에 대한 공자의 감탄은 여러차례 나온다. 본래 유학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길러준다는 관계였다. 중용이 말하는 조화(和)로움의 사고이며, 논어의 첫 장부터 강조하고 있는 더부는 즐거움(樂)의 사고이다. 유학은 본래 단절이 없었고 ‘함께’를 지향했는데, 스승은 가르칠 것만 있는 사람이어야 마땅하고, 학생은 배울 것만 있어야 마땅하다는 권위적 관계로 어긋나 버렸다.

  공자는 전지전능함이 없었기에 신이 될 수 없는 ‘사람’이었다. 공자보다 그림을 잘 그리는 학생, 노래를 잘 부르는 학생도 있었을 것이다. 어떤 사람도 모자란 것도 있고 나은 점도 있다. 아무 하는 일 없이 앉아 걸식하는 걸인이라고 해도, 하는 일 없이 앉아 있기 경쟁을 해 보면 이길 수 없을 것이다.

  유학은 묻는다. 사람이 아는 것이 있어 봐야 얼마나 알 것이며, 사람이 잘난 것이 있어 봐야 얼마나 잘날 수 있겠는 지를 묻는다. 유학이 추구하는 것은 ‘다르다는 분별 후 조화’를 모색하는 사상이다. 우월함, 존귀함 그런 것은 없다. 내가 나은 것으로 보태주려 하고 내가 모자라는 것은 도움을 받으려 하면서 중용(中庸)의 조화로운 어울림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이 장은 공자께서 안회가 어리석은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리석었다는 반성이다. 안회는 스승의 마음을 헤아려주고 있었는데, 공자는 안회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고, 어리석은 줄로만 알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안회가 공자보다 더 뛰어난가? 안회도 또한 공자보다 나은 점이 있었고, 모자란 점이 있었을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11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10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8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7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6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자하가 효에 관해 묻자 공자 말씀하셨다  [子夏問孝 子曰:]
인상을 찡그리면서 [色難]
일이 생기면 대신 일하고 [有事弟子服其勞]
술과 음식을 먼저 드시게 한다고 [有酒食先生饌]
효를 다했다고 할 수 있겠는가? [曾是以為孝乎?]

 

  앞의 자유의 대한 답변과 의도하는 뜻은 유사하다. 마음의 발현이 아닌 억지로 하는 효행은 좋은 사람으로 보이고자 하는 것일 뿐이라고 하신다. 아마도 자유는 물질적으로 봉양하는 것에 치중했고, 자하는 종종 짜증스런 표정을 드러내곤 하였기에 공자께서 지적해 준 것으로 추측하곤 한다.

  그렇다면 정말 짜증스러운데 즐거운 척 하는 것은 위선이기에 잘못이며 나쁜 것일까? 유학의 철학인 중용(中庸)의 사유에서는 꾸밈을 무조건 추하게 보지 않는다. 이상적인 것은 마음의 발현에서 오는 효행이겠지만, 부모님의 마음을 편히 해 드리기 위해서라면 연기를 하는 것도 긍정한다.

  새가 특별히 부여 받은 날개를 쓰지 않고 걸어다니는 것이 자연(自然)이 아닌 것처럼, 특별한 지능을 부여받은 인간이 머리를 쓰지 않는 것도 자연(自然)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래 행위 측면에서의 예(禮)의 꾸밈은 ‘행동이 마음을 이끄는 힘’도 있다고 보기 때문에 사회도덕으로 따르게 한 측면이 있지만, 그 이면에서는 남의 마음을 내 마음으로 헤아리는 인(仁)함을 추구하는 뜻이 있기도 했다.
  
  표정을 밝게 하는 것이 남에게 잘 보이고자 하는 것도 아니요, 내 자신에게 합리화 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요, 표정이 밝지 않으면 부모님께서 어떤 마음이실까를 먼저 헤아리는 마음에서 꾸미는 표정이기에, 외형상 거짓인 꾸밈이지만 인(仁)을 행하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거짓말은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다. 착한 거짓말도 있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10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9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7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6장  (0) 2013.01.04
제2편 위정(爲政) 제5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