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2

« 2024/1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논어'에 해당되는 글 93

  1.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0장
  2.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3.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4.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5.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6.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7.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8.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9.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1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11. 2010.09.28 하늘의 시간 건(乾) 2
  12. 2010.03.04 대건붕래(大蹇朋來)
  13. 2010.03.02 불항기덕(不恒其德)
  14. 2010.02.20 좋은 것을 취한다
  15. 2010.02.20 유학의 상호관계성
  16. 2010.02.01 64. 未濟卦(미제괘) : 채워야 할 것은 물질이 아니라 마음이다.
  17. 2010.02.01 58. 兌卦(태괘) : 어떤 이는 성내고 어떤 이는 웃는다.
  18. 2010.02.01 56. 旅卦(려괘) : 누구나 방황(彷徨)을 한다.
  19. 2010.02.01 55. 豊卦(풍괘) : 은혜를 외면하는 비정함의 말로(末路)
  20. 2010.02.01 46. 升卦(승괘) : 차곡차곡 쌓아 올린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
  21. 2010.02.01 43. 夬卦(쾌괘) : 원수도 바름(正)으로 대해야 한다.
  22. 2010.02.01 42. 益卦(익괘) : 앵벌이 하는 사람을 지나쳐야 하나?
  23. 2010.02.01 41. 損卦(손괘) : 하늘은 지나치면 덜어내고 모자라면 채워준다.
  24. 2010.02.01 40. 解卦(해괘) : 사람에게 구하고 사람에게 나아가야 한다.
  25. 2010.02.01 39. 蹇卦(건괘) : 난세는 영웅을 낳는다.
  26. 2010.02.01 36. 明夷卦(명이괘) : 천하가 태평하지 않으면 숨어야 한다.
  27. 2010.02.01 34. 大壯卦(대장괘) : 힘을 집중할 수 있어야 성취할 수 있다.
  28. 2010.02.01 33. 遯卦(둔괘) : 버리면 얻는 것을 알아도 버리기가 쉽지는 않다.
  29. 2010.02.01 32. 恒卦(항괘) : 신념은 남에게 강요함이 아니라 자기를 깨우는 것이다.
  30. 2010.02.01 31. 咸卦(함괘) : 부부관계는 욕정의 해소가 아니라 마음의 교감이다.
- 자금(子禽)이 자공(子貢)에게 묻기를 [子禽問於子貢曰:]
선생님께서는 어느 나라에 가시던지 정사에 관해 들으려 하시는데 [夫子至於是邦也 必聞其政]
말해 달라고 하시는 것입니까? 군주의 요청을 받고 그러시는 것입니까? [求之與? 抑與之與?]
- 자공이 말하기를 [子貢曰:]
선생님께서는 온화하고, 선량하고, 공손하고, 검소하고, 겸양하시기에
정사에 관해 들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夫子溫,良,恭,儉,讓以得之]
말해 달라 하시지만 [夫子之求之也]
다른 사람이 (벼슬을 탐하여) 그러는 것과는 다릅니다 [其諸異乎人之求之與]

 

   공자께서는 섬길 군주를 찾아다니며 14년의 주유천하를 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여씨춘추』에 의하면 약 80여명의 군주를 만났다고 한다. 두 제자가 주고 받고 있는 대화는 그의 정치욕(?)에 관한 의문으로, 자금뿐 아니라 다른 제자들 역시 그런 생각이 있었을 것 같기도 하다. 소심(?)해서인지 예(禮)가 아니라 생각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스승께 직접 여쭈지 못하고 공자와 절친한(?) 제자 자공에게 대신 물어보고 있다. 

  자금(子禽)의 질문은 '먼저 원한 사람이 누구인가'가 주된 의문이 아니라, ‘공자께서 먼저 요구했다’는 답변을 기다려 ‘권력을 얻고 싶어하는 탐욕 때문이 아닌가’를 재차 묻고자 하였으리라 추측되는데, 명석했다는 자공이기에 한 번에 대답을 해 주고 있는 것 같다.
  
  자공의 말을 요약하면 첫째, 정치에 대해 먼저 말해달라 했더라도, 강요하는 것도, 난처하게 한 것도, 잘난체 하려는 것도 아니었기에, 군주들이 말해주고 싶어서 말하게 된 것과 다를 것 없다는 말이며 둘째, 대부분의 사람이 정치에 대한 말을 들으려는 것은 도움을 주겠다는 마음이 아니라, 벼슬을 탐하는 것이 실제의 본심이지만, 공자께서는 군주를 도와 궁극적으로 백성들을 돕고자 하는 것이 본심이라는 말이다.

  예상대로 자공은 스승을 잘 변호하고 있다. 우리같은 독자는 ‘공자는 어떤 인물인가’를 알기 위해 읽는 것이 아니라 바른 도리를 배우고자 읽는 것이니 가볍게 지나갈 수 있는 장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1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1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증자 말씀하셨네 [曾子曰:]
마음을 다해 장례를 치르고 [慎終]
정성을 다해 제사를 지내면 [追逺]
백성들의 덕성도 후덕하게 될 것이다 [民德歸厚矣]

 

   사람들에게 후덕하게 되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내 행위를 잘 하는 것 만으로 저절로 사람들은 후덕해 진다고 한다. 유학의 배움은 언제나 나에게 실천을 요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래서 나를 바르게 하는 ‘수신(修身)’이 유가(儒家)의 제1조이다. 

  신종[慎終]이란 분에 넘치는 장례가 아니라, 마음을 극진히 하여 장례를 치르는 것을 말하며,
  추원[追逺]이란 정성을 다해 제사를 드리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가지는 논어 제3편 팔일 제3장에서 말하는 근본을 잃지 않은 예를 말한다.

예는 사치스럽게 하기보다 검소하게 하는 것이며,
장례는 형식을 잘 갖추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슬퍼하는 것이다.

  즉, 예(禮)는 거절할 수 없는 내면의 마음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이다. 장례와 제사는 왜 효(孝)의 연장인가?
효(孝)는 "내가 받은 것이 있음을 아는 것이며, 고마움을 아는 것"이다.  
부모님이 돌아가시건 살아계시건 그런 객관적 사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내 마음이 잊을 수 없고, 변할 수 없는 고마움이기 때문이다. 고마움을 아는 것에서 인간관계가 후덕하게 된다. 당연하다’는 인식과 ‘고맙다’는 인식의 차이가 될 것이다.

  당신은 돈을 받고 일하는 것이니 ‘당연하다’고 하는 인식은 개인적이다. 개인주의 대표격인 영어권에서 조차도 "Thank you"라고 인사하지 않는가?

  한편,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면 내가 먼저 변해야 한다는 것은 유가에서 말하는 도(道)의 움직임과 관계가 있다. 짝사랑하던 여인이 나에게 사랑을 고백해 오기를 기대하는 것, 권위적인 남편이 갑자기 변하여 다정다감해지기를 기대하는 것, 그렇게 나는 결코 변하지 않으면서 타방이 변하기를 요구하지 말고, '내가 변해야 타방이 변한다'는 것이 유가의 인식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11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0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군자라도 무겁게 대하지 않으면 흔들리는 것이니 [君子不重則不威]
배웠더라도 붙잡지 못하게 된다 [學則不固]
지극한 믿음으로 나아가야 하니 [主忠信]
자기만 못한 이를 벗삼으러 하지 말고 [無友不如己者]
허물이 보이거든 고치기를 꺼려하지 말라 [過則勿憚改]

 

  이 장은 오랜동안 '자기보다 못한 이를 친구로 삼지 마라고 가르쳐 왔다. 그러다 유학의 철학이 분별하여 멸시하는 사상이 아니라는 본질에 주목한 학자들이 새로운 해석을 개진하고 있다. ‘자기만 못한 사람은 본래 없는 법이며, 스스로 자기보다 못한 사람으로 삼으려는 것이다’라는 의미로 해석한다. 그래서 '자기보다 못하다는 생각을 갖고 벗을 대하려 하지마라' 는 의미로 해석하는 추세이다. 

  ‘자기만을 향한 지나친 사랑’ 때문에 벗이라 하면서도 나만 못하게 여기려는 것이며, ‘자기만을 향한 지나친 사랑‘ 때문에 자기의 잘못은 이해하고 숨기고 덮고 꾸미려 한다는 의미이다.

  역으로 말하면, 나만을 진정으로 특별하고 고귀한 존재로 보기에, 남은 나보다는 보잘것 없는 존재임이 당연한 것이고, 나의 허물은 누구나 이해해 줄 수 있는 사소한 것이 되어야 마땅하고, 남의 잘못은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하게 된다.

  이러한 마음이, 무게감(重)이 없이 흔들리는 경망함(不威)이다. ‘위엄이 서지 않는다’로 번역하면 남에게 보여주는 위엄으로 오해하기 쉽다. 그러나 논어 제1장에서부터 강조하듯 ‘남이 알아주는 것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군자이기에  위엄, 체통과의 의미가 다르다. 나의 입장에서만 헤아리고, 남의 입장에서 헤아리지를 못하니, 나의 저울로는 1KG이라 측정하고, 남의 저울로는 1g이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내가 소중하다는 인식으로, 남도 스스로를 소중히 여긴다는 것을 인식하고, 남의 허물이 보이는 것처럼 나의 허물도 보아야 하는 것이니, 숨기려 하지 말고 고치려고 해야 한다. 변명을 찾고, 허물을 덮고 감추려는 것은, 남의 이목에 의해 나의 자존(自存)이 흔들리는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10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자하 말씀하셨네 [子夏曰:]
미모를 좋아하는 것처럼 덕을 좋아하고 [賢賢易色]
부모를 섬김에 힘을 다 하고 [事父母能竭其力]
임금을 모심에 몸을 아끼지 않으며 [事君能致其身]
벗과 사귀며 나누는 말에 신의를 다한다면 [與朋友交言而有信]
그가 배우지 못한 자라 말해도 [雖曰未學]
나는 그가 배운사람이라고 분명히 말하리라 [吾必謂之學矣]

 

   자하(子夏)는 공자보다 44살 적은 제자로, 문학에 뛰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옛날 중국에서 ‘글을 배웠다’는 것, ‘글을 읽을 줄 알았다는 것’은 큰 자랑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해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조금만 거슬러 올라가보면, 우리 조상들에게서도 부의 욕구보다 배움의 욕구가 더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배우는데 소비하는 재물을 아까워 하지 않으셨다.

  
  그렇지만 논밭을 팔아 공부시킨 집안보다는, 배움에 열의가 없어 논밭을 팔지 않았던 집안이 더 거부가 되어 부러움을 사고 있기도 하다. 그렇게 돌고 도는 세상이라 더 재미도 있고...   
    
  이 장 또한 마지막 구절에 무게감이 있다. ‘나는 배운 것 없는 무지랭이래요’라고 하는 사람에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당신은 정말로 많이 배운 훌륭한 사람입니다’라고 하는 의미이다. 실천하고 행동할 수 없는 지식이라면 죽은 지식이며, 이미 행하고 있다면 배울 필요조차도 없는 까닭이다. 책상에 앉아서 공자왈 맹자왈 하는 샌님이 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색(色)을 좋아하는 만큼(易=如) 어짊을 좋아하라는 뜻도 주목해야 한다. 유학이 경계한 것은 언제나 ‘치우침’이다. 물질이 정신보다 덜 가치있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치우친 생각이다.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 것이란 본래 없다. 그런 분별은 인간만이 하는 것이다.

『장자』에 나오는 말이지만, 인체를 이루는 백개의 뼈마디, 아홉개의 구멍, 여섯개의 장기 등등을 분리해내어 무엇이 더 중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없는 법이다. “물질을 비롯한 쉽게 보이는 색(色)”을 전부인양 지나치게 높이는 것이 문제이지, 그것이 덜 가치롭다는 사고는 아니다. 유학이 경계한 것은 언제나 한 쪽으로 ‘치우쳐 모난 것’ 이었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9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젊은이들은 집에서는 효도하고 [弟子入則孝]
밖에서는 어른을 공경하고 [出則悌]
행동은 신의로우며 [謹而信]
널리 사람들을 사랑함으로써 [汎愛衆]
인(仁)으로 다가가야 한다 [而親仁]
그리 행하고 힘이 남는다면 [行有餘力]
글을 배우는 것이다 [則以學文]

 

  마지막 구절에 무게를 싣고 있다. 행동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고, 글을 읽는 것은 가장 나중에 해도 충분하다는 의미이니, 『논어』를 독서하는 가치를 낮추어 버리는 말씀이기도 하다.

  
  내용이 훌륭한 책보다 잘 팔릴 책을 우선 출판하는 이 시대에는 이런 글이 초반부에 배치된다면 출판사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지 모른다. 그러나 따져보면 참 이치에 맞는 말씀이다.

 

  오늘날의 우리 시대는 글을 모르기에 도리(道理)를 모르고 있는 시대인가? 글을 알고 도리(道理)를 알아도 '그렇게 실천하지는 못하겠다'는 시대인가? 아는 것과 실제 행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요, 유학은 실천을 강조하는 학문이다.

 

  한편, 널리[汎] 사랑한다는 의미는 잘난사람 못난사람, 빈부귀천을 떠나서, 사람 대 사람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월급이 얼마요, 직업이 무엇이요, 학벌이 어떠한지 등등 그러한 외부적인 요소에 영향을 받는 사랑이 아니라, 사람 그 자체만으로 함께하는 진실된 사랑이다. 

  그러한 '참된 사랑으로 교감’하는 것이 인(仁)으로 가깝게 다가가, 인(仁)과 친해지는[親仁] 것이라고 하신다. 그래서 난해하게 인(仁)을 설명하지 않고 ‘인(仁)=진실한 사랑’으로 단순하게 정의하는 학자들도 많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8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천승지국을 다스리는 방법은 [道千乘之國]
일을 신중히 하여 신임을 얻는 것이니 [敬事而信]
알뜰히 사용함으로써 백성들을 사랑하고 [節用而愛人]
시기를 고려하여 백성들을 부려야 한다 [使民以時]

 

  천승지국은 전쟁을 치룰 때 천대의 수레를 동원할 수 있는 나라 즉, 제후국을 말한다. 과거 유가(儒家)의 배움은 정치에 참여하는 것을 주요한 이상으로 삼았기에 정치가로서의 자세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지만, 오늘날 직장에서 지위가 높아졌을 때, 가정에서 부모로서 위치 등등 에서도 그 의미는 통한다.  

  알뜰히 사용하는 것은 왜 백성들을 사랑하는 일일까? 재정을 낭비하면, 백성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둬야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은 경영자가 알뜰히 경영하면, 직원들과 더 나눌 수 있어 좋을 것이다. 물론 쓰는 것을 무작정 삼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낭비되는 것이 없도록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시기에 맞게 백성들을 부리는 것은, 당시의 사회에서는 농한기를 택하여 부역을 시켜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충분할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에게는 '군역'이라는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한다. 우리 청년들은 가장 소중하고 바쁜 시간을 국가를 위해 봉사해야 한다. 그러니 군역을 회피하기 위해 온갖 비리들이 생겨나는 것이 이상하지도 않다. 모병제와 대체복무등 다원화된 사회에 발맞추어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하지 않을까?

 

  이 장에서 가르침도 본질은 인(仁)이다. 재정의 필요없는 낭비를 줄이고 농한기에 백성을 부리는 것은 ‘내 마음으로 백성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다. 세금을 내는 백성들의 마음과 진정으로 함께하는, 군역을 이행하는 백성들의 마음과 진정으로 함께하는, 그 마음이 곧 사람(人)이 진정으로 만나는(二) 것에서 나온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7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증자 말씀하셨네 : [曾子曰:]
나는 날마다 세가지로 내 스스로를 반성한다 [吾日三省吾身]
남을 위해 힘씀에 최선을 다하였던가 [為人謀而不忠乎]?
벗과 더불어 사귐에 신의를 다하였던가 [與朋友交而不信乎]?
전해준 것이 익히지 못한 것은 아니었던가 [傳不習乎]?

 

『논어』에서 공자와 함께 「선생님」을 뜻하는 자(子)라는 호칭을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에 사용하므로, 『논어』는 유자와 증자 문하에서 편찬했다고 추측하기도 한다.
  어쨌건 증자(曾子) 곧, 증 선생님이 말한 것은 ‘너희들은 이렇게 세가지로 반성해라’가 아니고, ‘내가 이렇게 반성한다’이다. 이 화법은 숨겨진 뜻이 있다. 비교적 쉽게 보이는 것은 ‘나에게 요구한다’는 유학의 '자기 실천성'을 강조하는 의미이다.

  한편, 증자 자신도 어떨 때는 대충 힘쓰기도 하며, 어떨 때는 친구를 의심하기도 하며, 어떨 때는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전하기도 한다는 반성이 숨겨져 있다. 이미 그러지 않는 경지에 올랐다면, 날마다 자기를 돌아보며 반성할 까닭이 없으니, 이 장은 증자가 선생인 자기도 때때로 잘못을 저지르기도 한다는 고백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유학이 요구하는 사람인 군자는 ‘완전한 성자’가 아니라 부끄러움을 느끼고 고치려고 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다. 정말로 잘못은 지나간 잘못이 아니라, ‘잘못을 숨기고 감추려고 애쓰는 꾸밈’이라고 했다.

  내용으로 돌아와보면, 증자의 세가지 반성은 ‘다른 사람을 대할 때의 내면의 진실성’이다. 다른 사람과 관계할 때 자기를 더 내세우고 싶은 욕구가 이는 것이 사람이다. 이것을 ‘이중인격’이라고 비난해 버린다면, 이 세상에 이중인격자가 아닌 사람이 몇이나 될까? 중요한 것은 그러한 가식이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에게 더 진실된 ‘나’를 이루라고 다그쳐야 한다. 그 반면에 다른 사람에게는 나무랄 것이 아니라, 그런 욕구가 있음을 이해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 [子曰:]
듣기 좋은 말과 [巧言]
잘 꾸며서 보이고자 하는 것으로부터 [令色]
인(仁)을 찾기는 힘들다 [鮮矣仁]


이미 고사성어로 유명한 '교언영색'은 논어 제17편 양화 제17장에서 거듭 반복하고 있는 가르침이기도 하다.
말을 잘 꾸며서 호감을 얻으려는 사람,
외모를 잘 꾸며서 호감을 얻으려는 사람은
오직 자기를 인정받고자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라는 뜻이다.
이런 사람에게서 남을 헤아리고 배려하는 마음을 찾기는 힘들다고 한다.

 

인(仁)은 "진실된 사랑"이 하나의 특성이다.
인(仁)은 사람(人)이 만나는(二) 마음이며,
하나(一)가 하나(一)와 더불어 두(二) 사람(人)이 합쳐지는(仁) 마음이다.

 

현대 자본주의사회는
듣기 좋은 말을 잘 하는 사람,
외양을 잘 꾸미는 사람이어야 성공으로 가기 쉽다.
언뜻보면, 현대사회의 처세의 지혜와는 맞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이 장의 가르침이,
듣기 좋은 말을 잘 하고, 잘 꾸미고 다니는 사람을
멸시하라는 뜻으로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꾸미지 말아야 겠다는 다짐을 하게 하는 것도 아니다.

 

듣기 좋은 언변, 잘 꾸미는 외양에만 신경쓰지 말고,
실질을 잊어버리지 않도록 늘 경계하라는 스스로에게 요구하는 가르침이며, 
속았다고 원망하지 말고, 꾸밈을 감안하지 못한 스스로를 탓하라는 가르침이다.  

이 장 뿐 아니라

논어의 모든 가르침은 자기와 대화를 시도하며 읽어야 한다.

남에게 가르치려는 마음, 남을 비난하려는 마음으로 읽는다면 얻는게 별로 없을 것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유자 말씀하셨네 : [有子曰: ]
그 사람됨이 효성과 공경이 있는데 [其為人也孝弟]
윗사람을 범(犯)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더라 [而好犯上者 鮮矣]
윗사람을 범(犯)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不好犯上]
난리를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而好作亂者]
아직 없었다 [未之有也]
군자는 근본에 힘써야 하며 [君子務本]
근본이 바로서야 도(道)가 생겨난다 [本立而道生]
효성과 공경이라는 것 [孝弟也者]
그것이 인(仁)을 행하는 근본이다 [其為仁之本與]


효(孝)는 부모를 공경으로 대하는 것이며,
제(弟)는 집안어른을 공경으로 대하는 것이다.
부모에 무조건 '복종'하고, 집안 어른에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아니라, 일어나는 고마운 마음을 거부할 수 없어 저절로 그리 행동하게 되는 것이다.

 

'엄마 아빠가 해 준게 뭐가 있어? 순이 엄마는 X도 해 주고 Y도 해 주는데' 흔히 들을 수 있는 소리다. 고 김수환추기경께서 생전에 '내 탓이요'라는 운동을 하셨던 적이 있다. 세상이 '원망'으로 채워져 가는 것을 그저 두고 보실 수 없으셨던 까닭이었을까?

 

이미 가진 것보다 가지지 못한 것을 탐하는 것이 인생의 한 단면이기도 하기에, 고마움을 아는 사람은 드물다. 따져보면 세상은 한없이 감사해야 할 것으로 가득가득 채워져 있다. 아침에 눈을 뜨면서 자신을 살려주고 있는 자연에 감사하는 마음부터 가지는 사람! 그런 사람이 그리운 시대이다. 

만약, 어느 순간 자연이 공기를 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자연을 욕해야 할까? 
'이 XX 자연아! 당연히 니가 공기를 줘야지, 왜 안주냐?' 하고 욕해야 옳은 걸까?

현대인들이 가장 잘못 사용하는 말이 '고맙습니다'를 '당연하지'로 바꾸는 것이라 생각한다.

'부모니깐 당연히 그래야지...

 

산다는 것은, 내 의지로만 장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부모가 젖을 먹여 살수 있게 도와 주었고,
자연이 햇살과 공기와 물을 주고
하늘이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도와주어
나를 살려주고도 있다.
 

사람은 일체의 도움이 없어도, 저절로 살 수 있는 독립된 존재가 아니다. 
그래서 사람 인(人) 이라는 한자어는 하나(I)가 하나(I)를 받쳐주는 모습이다.

효(孝)와 제(弟)를 아는 마음은,
내가 나 저절로 잘나서 내가 아니라
나의 생(生)을 도와주었고 도와주고 있음을 아는 안목을 가졌다는 것이다.

'남'을 다 죽이면 나는 살 수 있을까?
'자연'을 다 없애면 나는 살 수 있을까?

  

그래서 진정으로 효(孝)와 제(弟)를 아는 사람은
아버지의 아들에서 단절될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삼촌의 조카에서 떨어질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남'으로 부터 떨어질 수 없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그런 일련에 구속된 '나'가 아니라,
연결되어 있는 '나'를 아는 사람이며.
연결되어 있어 고마움을 아는 사람이다.

'더불어 하나'임을 아는 사람이
나만 보고 남을 범(犯)하려 하고,
나만 보고 난리(亂)를 피우려 하겠는가?

 

유자의 가르침은 한마디로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고마움을 참으로 아는 것이 인(仁)의 근본이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1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공자 말씀하셨네 : [子曰]:
배우고 때때로 익혀보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먼 곳에서라도 찾아주는 벗 생기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有朋自逺方來 不亦樂乎]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없을지니 어찌 군자이지 않겠는가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유가(儒家)에서의 배움[學]은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과는 다르다. 5개국어에 능통하게 되는 것 같은 기술의 배움이 아니라, ‘사람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하는 도리를 배우는 것을 말한다. 전문기술의 공부로 실력있는 의사가 될 수는 있겠지만,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의사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는 것이 유가(儒家)의 생각이다.

 

  때때로 익힌다[時習]는 것도 유가(儒家)에서 중요시 한다. ‘베푸는 것이 좋다’는 것을 머리로만 끄덕이며 넘어가는 것이 아니다. 유학은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은 별개의 것이라는 사유가 깔려있다. 힘든사람을 도와줌으로써 느끼는 희열을 직접 맛보아야 하는 것이다. 행할 수 있는 때가 왔을 때, 그것을 행하여 봄으로써 내 것이 되게 하는 것! 익힐 습(習)자는 어미새를 따라해보는 아기새의 날개짓이다. 유학은 그래서 ‘삶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공부가 아니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하면서 실천으로 나아가는 공부이다.

 

  기쁨[說]은 스스로부터 생겨나는 ‘성장’의 기쁨이다. 어미가 날아가는 것을 바라보며 느끼는 아기새의 감탄이 아니라, 엄마처럼 나도 날게 되었을 때 생겨나는 ‘성장’의 기쁨이다. 비유하면 키가 더 커져있는 나를 만난 것, ‘내가 달라진 나를 만나는 기쁨’이다. 누구 때문에 기쁜것도 아니고, 누가 보아주어 기쁜 것도 아닌 내면의 울림을 말한다.

 
  ’정자’ 의 말처럼, 논어를 읽었는데 논어를 읽기 전과 똑같은 사람이라면 그는 논어를 읽지 않은 사람이다. 감탄하는데서 끝나는 아기새와 마찬가지다. 날개짓을 하며 날아봄으로써 진정한 기쁨의 희열을 맛보라!

 

  멀리서라도 찾아주는 벗[有朋自逺方來]은 나의 성장을 알아주어 먼 거리를 마다않고 찾아오는 사람이다. 내가 알리고 광고하여 끌고오는 사람이 아니다. ‘네가 찾아오라’고 연통을 보내오는 이도 아니다. 먼 길을 찾아오는 고생이 나를 만나는 것에 비하면 사소한 사람이다. 진정으로 나를 알아주는 사람이니 친구이며, 먼 길을 오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으니 또한 친구이다. 편할려고 하는 이는 조개가 함께 놓여있는 붕(朋)의 관계일 수 없다.

 

  즐거움[樂]은 나의 기쁨[說]과 너의 기쁨[說]이 함께하며 더 커지는 ‘나눔의 기쁨’이다. 빵 하나를 둘이 나누어 먹는 것이 빵 하나를 내가 다 먹는 것보다 더 좋아지는 감정이 즐거움(樂)이다. 이는 사람(人)이 둘(二)이라는 인(仁)의 관념과도 연결된다. 함께 밥을 먹는 것[즐거움]이 불편하다 착각하지만, 혼자 자유롭게 밥먹는 것[기쁨]과 택일하라면, 함께 밥을 먹는 것을 택하고 싶어하는 마음으로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기쁨보다 즐거움을 택하려는 본성이 보이면, 내 기쁨을 더 키우기 위해 즐거움을 버리는 어리석은 일은 못하지 않을까?

 

  알아주지 않더라도 원망이 없음[人不知而不慍]은 나의 존엄을 잃지 않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반응에 따라 내 마음이 이리저리 휘둘리지 않기 때문에 나는 나의 존엄을 잃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일은 근본이 있고 말단이 있다. 『논어』를 왜 배우는가? ‘공자’를 알기 위해 배우는 것이 아니다. 공자를 알 수는 없다. ‘바른 도리’를 알기 위해 배우는 것이다. ‘바른 도리’는 왜 배우는가? ‘더 사람답게 사는 나를 만나기 위해 배우는 것이다.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배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었다면, 어찌 원망이 생길 수 있을까?

 

  군자[君子]는 곧 유가(儒家)가 목표로 하는 이상적 사람이다. 그는 ‘기쁨’과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다. ‘기쁨’을 알기에 자기에게 요구하며 ‘즐거움’을 알기에 소인을 멸시하지 않는다. 나보다 「못한」 소인에게 자랑하려는 사람이 아니라, 나와 「다른」 소인과 조화를 맞추어 즐거움을 누릴려는 사람이다. 조화를 도모하여 움직일 줄 아는 사람이다. 앞으로 논어에서 계속 만나게 되는 사람이니 더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나는『논어』의 첫 장을 읽을 때 세가지 상상을 하곤 한다. 날개짓하는 아기새가 되어보는 상상, 우정을 나누는 즐거움에 대한 상상, 휘둘리지 않는 유유한 나를 그려보는 상상.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논어』의 매력이기도 하다.
 

  모든 고전이 그러하지만, 사람에 집중하면 우상[偶像]을 만들고 더 나아가지 못하게 된다. 배워야 할 것은 「공자」가 아니라 ‘사람의 도리’이며, 『논어』는 그것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비유하면 논어는 자전거이다. 자전거로 얻어려는 것은 「건강」인데, 자전거보다 줄넘기가 좋니 나쁘니, 자전거를 만든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그런 것에 열심일 필요는 없다.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학이(學而) 제6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5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4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3장  (0) 2013.01.04
제1편 학이(學而) 제2장  (0) 2013.01.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9. 28. 23:41

하늘의 시간 건(乾) 간상(赶上)/보충(補充)2010. 9. 28. 23:41

맹자가 제나라에 전해오는 말을 소개하였다 [맹자 공손추 상 3.1]

출중한 지혜를 갖는 것보다 유리한 기회를 잡는 것이 낫고,
좋은 농기구를 갖는 것보다 적절한 농사철을 기다리는 것이 낫다.

시간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결과가 다른 경우가 많다.
겨울에 씨를 뿌리면 소용이 없는 법이다.
그래서, ‘미숙할 때 움직이려 하지 말라’는 잠룡물용(潛龍勿用)과
‘물러나야 할 항룡일 때 물러나지 않으면 후회할 일이 생긴다’는
항룡유회(亢龍有悔)는 오늘날에도 자주 인용하는 고사성어가 되었다.

오늘날 사람들이 참 많이 쓰는 말이 있다. “바빠서 말이지…”
옛날 사람들도 이렇게 바쁘게 느끼며 살아갔을까? 옛날의 노래, 옛날의 춤과 같은 문화적 산물로 유추해보면 일견 오늘날보다는 여유로운 듯도 한데, 옛 글들을 보면 역시 바쁘다는 글이 많다. 장자가 말했다.[장자 제물론]

사람은 만물과 서로 다투기만 하고
말달리듯 지나가면서도 멈추고자 하지 않으니
어찌 슬프지 않겠는가!
종신토록 허덕여도 성공을 볼 수 없고
고달파 쓰러지면서도 되돌아가야 할 바를 알 지 못하니
참으로 애처롭지 않겠는가!

과거에 군대를 다녀온 사람은 오늘날 군대는 천국일거라 여기기도 하지만, 더 좋은 환경 같은데도 여전히 힘들어 하고 자살을 하기도 한다. 옛날의 군대나 오늘날 군대나 옛날의 시간이나 오늘날의 시간이나 힘들고 바쁘기는 마찬가지란 말일까? 조선시대에도 행복하게 살았던 여인들이 있고, 풍족한 오늘날에도 불만 속에 사는 여인들이 있다.

‘결혼을 반대하는 부모와의 갈등’은 드라마나 소설의 소재로 자주 사용되던 얘깃거리였다.
돈 많지, 잘 생겼지, 마음씨 좋지, 어디 하나 빠질 것 없는 A를 마다하고, B가 좋다는 아이 때문에 부모는 경악한다. 단 하나만 B보다 A가 못한 것을 말해보라며 애원하기도 한다. “완벽한데도 정이 안 가!”     
공자가 말했다.

삼군대장의 권력을 빼앗을 수는 있겠지만, 일개 보통사람의 그 의지를 빼앗을 수는 없다 [논어 9.26]


사람은 합리적 사고로만 결정하고 느끼는 로봇이 아닌 까닭에,
하늘의 시간이 흐르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사람이 만나는 시간의 속도는 일정할 수 없다.
결국 변화(易)의 핵심은 어디에 있을까?

봄, 여름, 가을, 겨울 같은 자연의 변화는 저절로 변하는 것이며,
시간이 흘러가는 속도 같은 ‘느끼는 변화’는 바깥이 아니라 자기 마음 내부에서 변화하는 것이다.
‘남자는 여자 하기 나름’이라는 유명한 광고문구가 있다.
더러운 세상을, 배려심이 없는 남편을, 말 안 듣는 아이에게 변화하라고 요구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변화(易)를 원한다면 자기에게서부터 변화를 찾아가야 한다.
이 더러운 세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만 있는 것이 아니고,
이 세상을 행복하다고 하며 감동하는 사람도 있으니,
과연 이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같은 세상을 두고,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리 느끼고 있는 것이다.
 
바꿀 수 없는 자연의 변화(易)와 바꿀 수 있는 느끼는 변화(易)를 분별하고,
바꿀 수 있는 변화라면, 나로부터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 주역이 말하는 변화(易)의 핵심이다.

그렇다면, 주역은 미숙한 잠룡일 때는 성급히 움직이려 하지 말아야 하고,
물러나야 할 항룔일 때 물러나지 않으면 후회를 남긴다고 가르치는데,
과연 잠룡인지, 항룡인지는 어떻게 안다는 것일까?

본래, 스스로 잠룡인지, 항룡인지를 알면서도 서둘거나 고집하는 경우만을 주역이 상정한 것은 아니다.
남들과 세상은 모두 다 잠룡인 줄 알고, 항룡인 줄 아는데,
자기 스스로는 잠룡이 아니라고 여기고, 항룡이 아니라고 여기는 경우도 있다.
역시 마음이 붙잡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적당한 시간이 되었다는 것, 밥을 먹어야 할 때인지, 잠을 자야 할 때인지는 본래 스스로 가장 잘 안다.
그러나, 먹지 않고 사는 ‘독립영양인간’이 있다는 뉴스를 본 후 안 먹다가 죽었다는 사람도 있더라.
신이 부르시니 가야 할 때가 되었다며 자살했던 신도들도 있더라.

결국, 주역의 판단은 중용(中庸)의 철학을 향해서 흘러간다.
나를 돌아보지만, 나만 보는 것이 아니다.
너로부터 돌이켜도 보지만 너의 시선에 전적으로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치우치지 않고 기울지 않는 중용(中庸)이라는 균형의 기준을 잃지 않아야 하는 것이니,
적당한 때를 판단해야 하는 것은, 주관(나)에서 시작하여 객관(너)으로 판단하며 내가 감수한다(나)는
[나 → 너 → 나]의 3단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이 3단 구조는 유가철학의 큰 근본이다. 논어의 제1편 학이 제1장을 예로 들어본다.

배워서 때때로 익혀보면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먼 곳일지라도 찾아주는 벗 생기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하지 않으리니 어찌 군자이지 않겠는가?

[나의 기쁨→너와 더불어 함께하는 즐거움→자존을 잃지 않는 나]
유가철학의 개념들은 모두 이 [나 → 너 → 나]의 구조로 얘기할 수도 있다.

왜 효도를 하나요? [내가 기쁘기 때문입니다 → 부모님께서 알아주시면 함께 즐겁구요 → 부모님께서 몰라주셔도 여전히 기쁘며 원망이 생길 리 없습니다] 부모님께서 알아주기를 바라고 효도하겠다는 것이 아니니까요... 

【爻辭】


元亨利貞
(시간이 맞아야)
씨앗에서 성장하고 열매를 맺고 죽게 된다

【初九】

潛龍勿用 잠룡일 때 움직이려 하지 말라
【九二】 見龍在田 利見大人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만나야 이롭다
【九三】 君子 終日乾乾
夕惕若 厲 无咎
군자가 되어 종일 최선을 다하고
어두움을 경계한다면 위태로울지라도 허물이 없다
【九四】 或躍在淵 无咎 도약을 신중히 헤아리며 연못 속에 있어야 허물이 없다
【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 하늘을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만나야 이롭다
【上九】 亢龍有悔 오르려고만 하는 용은 후회가 있다
【用九】 見群龍无首 吉 용의 무리에 우두머리가 없으니 길하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3. 4. 14:44

대건붕래(大蹇朋來)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4:44

  대건붕래(大蹇朋來)는 『주역』 건(蹇)괘의 다섯째 효사에 나오는 명언입니다. 해석에 어려움은 없습니다. ‘큰 어려움이 닥치면 벗이 찾아온다’는 뜻입니다. 붕(朋)은 친구와 동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지만 화폐라고 보기도 합니다. 붕(朋)이 조개껍데기가 나란히 있는 형상이며, 고대에는 조개를 화폐로 사용하였습니다.

 

보편적으로 인용하는 경우는 ‘어려워도 포기하지 마라’는 얘기를 하고자 할 때입니다. ‘하늘은 견딜 수 없는 시련은 주지 않는 법이다’ 등등의 많은 속담과 격언들과 연결되는 의미입니다.

 

종종 ‘큰 어려움이 닥쳐야 친구를 알 수 있다’는 의미로도 인용합니다. 큰 어려움이 닥치면 적과 동지가 분명히 드러납니다. 얻어갈 것이 없으면 사라지는 자는 도적이었으며, 내 놓아야 할 것이 아까워 사라지는 자는 동료였을 뿐입니다. 충신(忠臣)이요, 열사(烈士)요, 의사(義士)는 나라가 위태로울 때라야 알 수 있습니다. 『논어』제9편 자한제28장의 의미와도 통할 것입니다.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큰 어려움이 오히려 고맙다’는 그러한 의미로도 인용합니다. 큰 어려움이 오히려 친구가 찾아온 것처럼 반갑다는 말입니다.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위기는 기회다’라는 말이 자주 들립니다. 큰 어려움은 나쁜 듯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나를 도와주려고 찾아온 친구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고 하였습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언불신(聞言不信)  (2) 2010.03.05
삼인손일(三人損一)  (0)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0)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0) 2010.03.04
진여석서(晉如鼫鼠)  (0) 2010.03.03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3. 2. 20:29

불항기덕(不恒其德)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2. 20:29

  불항기덕(不恒其德)은 『주역』에 나오지만, 『논어』에도 인용되어 있습니다. 논어 제13편 자로 제22장을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남방인들이 말하기를 ‘한결같은 마음이 없으면 점을 치거나 의술을 행할 수 없다’고 하는데 참으로 맞는 말이다. 주역에도 불항기덕(不恒其德) 혹승지수(或承之羞)라고 했다

고대사회에서는 점을 치는 것과 의술을 중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점술이나 의술은 지극한 인내심과 의지가 없으면 할 수 없을만큼 힘든 일이었다고 합니다. 『예기』에 ‘의술이 3대를 이어져 오지 않았으면 그 약을 먹지 않는다’고 할 정도였으니까요.

 

이 명언은 직역하면 ‘그 덕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말인데, 마음이 이랬다 저랬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변덕스러움을 나무라는 경우’에 인용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전부터 ‘여자의 마음은 갈대’라고 조금 비하하는 느낌으로 표현하기도 했었습니다만, 저는 유학의 가르침이 곧 갈대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합니다. 유연성과 융통성을 가지지만, 그 심어진 뿌리는 확고히 자리잡고 있는, 갈대의 비유가 참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물론 바람에 아무곳으로 휩쓸려가는 나뭇잎이 되어서는 안 되겠지만요.

 

‘우유부단함’을 나무라는 경우에서 확장되어 ‘잘 변질되는 간사함을 비난’할 경우에 인용하기도 합니다. 세조시대의 역사가 생각나네요. 수양대군의 편에서서 제일 호사를 누린 것으로 보이는 한명회는 ‘압구정’이라는 크게 거부감없는 지역명을 남기고 있지만, 신숙주는 만고에 지워지지 않는 씁쓸한 이름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잘 쉬고 비릿한 냄새가 난다’고 해서 신숙주의 이름을 딴 ‘숙주나물’이라는 명칭이 유래하게 되었다고 하네요.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여석서(晉如鼫鼠)  (0) 2010.03.03
저양촉번(羝羊觸藩)  (2) 2010.03.03
획비기추(獲匪其醜)  (0) 2010.03.02
입우감담(入于坎窞)  (0) 2010.03.01
고양생화(枯楊生華)  (0) 2010.03.01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2. 20. 20:04

좋은 것을 취한다 간상(赶上)/보충(補充)2010. 2. 20. 20:04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로 대표되는 성론(性論)에 대해서는 단순히 설명하기가 불가능하고, 학자가 아니라면 굳이 파고들 이유도 없겠지만, 완전히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기에, 간략히 언급하고 지나가겠습니다.

 

앞의 글에서 강조했지만, '중용'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찾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다원적인 ‘맞춤형 진리’를 추구합니다. 

어떤 분은 공자께서는 「성삼품설」을 주장하였다며, 논어 제17편 양화 제3장을 인용하기도 합니다.

가장 총명한 사람과 가장 어리석은 사람만 바뀌지 않는다

이 가르침의 의미가 성삼품설의 논거라고 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가장 총명하고 가장 어리석은 두 사람만 빼고는 '모두 변화할 수 있다'는 의미가 본래 담고 있는 속 뜻일 것입니다.
「전습록」에 의하면 가장 총명한 사람과 가장 어리석은 사람도
'바뀌지 않는 것이 아니라 바뀌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합니다.

 

애공이 정치의 조언을 구하자 공자께서는
'곧고 올바른 사람을 부정직한 사람 윗자리에 두는 것'을 말씀합니다 [논어 제2편 위정 제19장]
즉, 부정직한 사람을 축출하거나 버리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변화의 가능성을 잊지 않으려 하며, 함께 잘 되는 것을 도모합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신 성선설을 일반적 진리라는 의미로 해석할 것은 아닐 것입니다.
'장점만을 취한다'는 가르침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옛 문헌들에 나타나는 공자의 제자들을 한번 보겠습니다.
자로는 끝까지 급하고 용감합니다. 그 기질 때문에 결국 살해당해 죽게 됩니다. 
자공은 끝까지 총명하고 활달함을 잃지 않습니다.
증삼은 끝까지 근신하고 느리며, 재아는 날래고 괴팍합니다.
다른 모든 제자들도 그 기질이 바뀐 사람이 보이지 않습니다.

공자께서는 기질이 지나치지 않도록 경계는 시켰으나 억누르려고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보다는 각자의 장점을 더욱 북돋아 주었습니다.


사람은 똑같은 사람이 없습니다.
누구나 부족한 점이 있고 나은 점이 있습니다.
공자께서도 안회가 자신보다 더 뛰어난 점을 언급하십니다.

장점을 취한다는 것은 유학에서 아주 중요시 하는 가르침입니다.
공문자는 태숙질을 이혼시키고 자기딸을 시집보낸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사람에게 공자께서는 '문(文)'이라는 칭호를 내립니다.
자공이 의아하여 그 까닭을 묻습니다. [논어 제5편 공야장 14장]

그는 부지런하며 배움을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수치로 생각지 않더구나

삼인행(三人行)의 가르침은 너무도 유명합니다. [논어 제7편 술이 제22장]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착함은 따르고, 나쁜점은 바로잡는다.

 

고전을 배우면서 좋은 가르침이 있으면, 그것을 취해 나의 배움으로 삼아야 합니다.
그런데, 배움보다 공자라는 ‘인물’에 집착하기도 합니다.
공자의 그 내심을 알 수도 없을 뿐더러, 크게 중요하지도 않습니다.
공자의 사람됨에 관계없이, 그 가르침이 깨우쳐 주는바가 있다면 그것을 취할 뿐입니다.
기독교, 불교가 좋고 나쁘다는 선입견을 버리고,

성경과 불경의 가르침이 좋다면 그것은 취해 배움으로 삼는 것입니다.

그것이 배움의 중용입니다.  
 

‘사람에게 집착’하여 못나게 만들고 미움의 근거로 삼으려는 경향이 많습니다.
설령 그 말이 이완용에게서 나왔더라도 바른 말이라면 배우는 것이며,
설령 그 말이 공자로부터 나왔더라도 바르지 않다면 버리는 것입니다.
왕양명의 유명한 말이 그런 뜻입니다.

마음에 구하여 옳지 않다면, 그 말이 공자로부터 나왔더라도 옳다 할 수 없다

 

『논어』를 읽고 바른 가르침과 지혜를 배우려는 것이 아니라,
공자를 흠모하거나, 공자를 미워하는 증거를 찾으려고 하는 것은
불가의 법어인 '달을 가리키는데, 손가락 끝만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군자는 말만 듣고 사람을 받들지 않아야 하며,
사람이 좋지 않다고 그의 바른 말을 버려서도 안된다 [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3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2. 20. 19:11

유학의 상호관계성 간상(赶上)/보충(補充)2010. 2. 20. 19:11

논어 첫장을 한번 보겠습니다.

"(사람의 도리를) 배워서 수시로 따라해보면 어찌 기쁨이 없겠는가? (알아주는 이 있어) 먼 곳으로부터도 찾아주는 벗 있으면 어찌 즐겁지 않겠는가?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생길리 없으니 또한 군자이지않겠는가?"

 

① 나의 기쁨

② 더불어 나누는 즐거움

③ 자존을 잃지 않는 나

 

인(仁)으로 대입해 보겠습니다. 인(仁)을 행하는 것은 나의 기쁨입니다. 더불어 함께 즐거우면 좋지만, 설령 그렇지 못해도 나의 기쁨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의(義)로써 대입해 보겠습니다. 의로움을 행하는 것은 나의 기쁨입니다. 알아주면 즐거움을 나누지만, 알아주지 못해도 아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예(禮)로써 대입해 보겠습니다. 예를 행하는 것은 나의 기쁨입니다. 호응해 주면 함께 즐겁지만, 알아주지 않는다고 고개를 더 숙이지도 미워하지도 않습니다.

 

효도, 공경, 남편의 도리, 아내의 도리, 자식의 도리모두모두 같은 구조로 대입하시면 될 것입니다.

 

자식의 도리는 스스로의 기쁨입니다. 신하의 도리도 스스로의 기쁨입니다. 장자의 비유가 부분적으는 참 적절한 것 같습니다.

 

신체의 백개의 뼈마디와 오장육부를 통틀어 소중하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우열은 없습니다. 다만, 다를 뿐입니다. 다르기에 각자 다른 역할을 합니다.

위가 잘 움직이면 대장이 잘 이어받아 순조롭게 이어주지만, 위가 잘 소화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대장은 맡은 역할에 따라 최선으로 움직입니다.

 

그림그리기가 더 어렵네요. ㅠ.ㅠ

회색사람, 검은색 사람, 노란색 사람 세 종류가 있습니다. ㅠ.ㅠ 

:
Posted by 오빠야닷컴

未濟 亨 小狐 汔濟 濡其尾 无攸利
【初六】濡其尾 吝
【九二】曳其輪 貞吉
【六三】未濟 征 凶 利涉大川
【九四】貞吉 悔亡 震用伐鬼方 三年 有賞于大國
【六五】貞吉 无悔 君子之光 有孚 吉
【上九】有孚于飲酒 无咎 濡其首 有孚失是

  미제(未濟)괘는 소과(小過)괘 중에서 소(小)를 의미하니 부족한 것이다. 앞의 기제(旣濟)괘는 이미 성취한 상태를 뜻하는 것으로서 지나침(過)을 의미한 것이었다. 그래서 덜어내야 한다. 미제(未濟)괘는 반대로 부족한 것이니(小) 채워야 한다. 주역의 후4괘는 모두 중용(中庸)을 말하고 있다. 중용을 강조하며 끝을 맺고 있는 것이다.

 

未濟 亨 小狐 汔濟 濡其尾 无攸利
부족한 자(未濟)는 나아가야 하나(亨) 작은 여우(小狐)가 거의 마른 강을 건너다(汔濟) 그 꼬리를 적시게 되면(濡其尾) 유리함이 없다(无攸利).

  여우는 물을 건널 때 꼬리를 치켜들고 젖지 않도록 한다고 한다. 만일 젖을 수 밖에 없을 정도로 깊다면 건너지 않고 되돌아 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 영리한 여유가 말라서 물이 없는 강을 건너면서 어찌 그 꼬리를 적시게 되는가? 부족한 자가 얻으려고 급히 서둘러 나아가는 까닭이니 조심하고 신중하여야 한다. 조심성이 없으면 원숭이가 나무에서 떨어지고 여우가 마른 강을 건너다 꼬리를 적시기도 한다.

 

濡其尾 吝
그 꼬리가 젖었으니(濡其尾) 궁색(吝)하다.
  기제(既濟)가 끄는 수레는 이미 성취한 가득찬 수레여서 그 꼬리를 적셔도 허물이 없지만, 미제(未濟)가 끄는 수레는 채운 것이 보잘 것 없는 수레인데 그 꼬리를 적셨으니 참으로 궁색하다. 기제는 이미 성취하였으니 가볍게 털 수 있어야 하고 미제는 성취하지 못했으니 무겁게 붙잡고 신중하고 조심하여야 한다. 가진자는 가진 것을 가벼이 여기고 부족한 자는 가진 것을 귀하게 여겨야 한다. 그것이 중용의 도를 지키는 것이다.

 

曳其輪 貞吉
그 젖은 수레를 끌고가면(曳其輪) 끝이 길하다(貞吉).

  미제자(未濟者)가 그 꼬리까지 적셔진 수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끌고 가면 마침내 길하다 한다. 설상가상의 상황을 만났어도 포기하지 않으면 곧 좋은 상황을 만날 수 있다는 뜻이다. 어려움을 만나도 포기하지 않는 것이 또한 중용(中庸)이니, 상황은 변하기 마련인 까닭이다. 비가 오기도 하고 맑은 날이 이어지기도 한다.

 

未濟 征 凶 利涉大川
부족한 채로(未濟) 계속 그 상태로 나아감(征)은 흉(凶)하니 큰 내를 건너야 이롭다(利涉大川).

  꼬리까지 적신 수레를 어쩔 수 없이 체념하고 끌고가는 것을 말함이니 그것은 흉하다. 다시 채워넣고 채워서 기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기회가 생긴다면 과감하게 부딪혀야 하니, 큰 내를 건너는 과단성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고 하였다. 스스로 꺾이면 하늘이 부족하다고 채워주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중용』에 “잘 심어져 있는 것은 북돋워주고 기울어진 것은 엎어버린다"[중용 제17장]고 하였으니 스스로 포기하는 자는 하늘조차 외면할 것이다.

 

貞吉 悔亡 震用伐鬼方 三年 有賞于大國
그래야 마침내 길하고(貞吉) 후회가 없어지리니(悔亡) 우뢰와 같은 기상으로 귀방을 정벌하는데 일조하면(震用伐鬼方) 3년이 걸릴 것이나(三年) 대국으로부터 상이 있을 것이다(有賞于大國)

  대국으로부터 상을 받음은 은나라 고종으로부터 상을 받는 것이니, 곧 미제에서 기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3년이라는 오랜 시간을 참고 견디고 과단하게 나아가 수레를 채운 것이다. 미제에서 기제로의 전환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이니 쉬운 일이 아니다. 과단성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인내도 필요하다.

 

貞吉 无悔 君子之光 有孚 吉
마침내 길하여(貞吉) 후회가 없으리니(无悔) 군자로서 빛남(君子之光)이여! 뜻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有孚) 길(吉)하다.
  단순히 공을 세운 것이 아니라 바른 도리를 따르는 뜻을 갖고 기제를 향해 나아간 것이었으므로 군자로서 빛이 나고 길하게 된 것이다. 반란에 동참하여 공을 세우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얻는 것을 원하여 은행을 터는 것도 마다하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 그러나 바르게 기제로 나아가지 않는 것은 흉할 것이니, 기제를 이루는 길은 바른 길이어야 한다.

 

有孚于飲酒 无咎 濡其首 有孚失是
먹고 마심에 신념이 있으면(有孚于飲酒) 허물은 없으나(无咎) 그 머리를 적시면(濡其首) 신념이 없어지리라(有孚失是)
  기제에서 재물을 가진 은나라가 덕이 높은 주나라에 미치지 못하다고 한 것처럼 미제에서도 물질을 경계하여 주역을 마무리 한다. 먹고 마심에 뜻이 있다면 허물은 없으니 곧 바른 뜻을 갖고 물질적 부를 추구하는 것이 나쁘지는 않다고 한다. 그러나 그 물질적 부유함이 머리를 적셔 정신을 망치면 그 신념조차 없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먹고 마셔야 한다는 신념은 나도 그것이 좋지만 다른 사람도 그것이 좋을 것이라는 신념이다. 그래서 돈을 많이 벌어 기제자가 되면 가난한 이에게 베풀려고 하는 것이 먹고 마시는 것에 신념을 두는 것이다. 그러나 물질에 취하여 머리가 적셔지면 99석도 부족하여 100석을 채우려고 할 것이니 베풀기 위해서 모으려고 하였던 그 신념은 없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 베풀지 않는 부자만 미워 보이고, 자기 자신은 항상 부족하게 생각되니 베풀려는 마음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다. 공자님의 말씀을 전하며 주역을 마무리 하고자 한다. 공자 말씀하시길 "군자는 자기에게 요구하고 소인은 다른 사람에게 요구한다" [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1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
58

兌 亨利貞
【初九】和兌 吉
【九二】孚兌 吉 悔亡
【六三】來兌 凶
【九四】商兌 未寧 介疾 有喜
【九五】孚于剝 有厲
【上六】引兌

  태(兌)괘는 즐거움을 뜻하는 괘이다. 태(兌)괘는 어떻게 해야 행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논한 것은 아니다. 즐거움을 느끼는 유형을 제시하고 그 각 유형들에 대해서 바람직한지의 여부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兌 亨利貞
즐거움(兌)은 성장(亨), 결실(利) 마침(貞)기의 일이다.

  즐거움은 원형리정의 단계에서 원(元)의 시기를 제외한 일이니 즉, 의식이 있는 상태에의 인식이다. 즐거움을 따르는 것은 동물이 따뜻한 곳으로 찾아가는 것과 같다. 힘들어 보이고, 고통스럽게 살고 있는 듯 여겨지는 수도승(修道僧)도 결국은 고통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즐거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행복을 추구하는 것은 천도(天道)이며 인도(人道)이다.

 

和兌 吉
조화로워 즐거우니(和兌) 길(吉)하다.

  자연(自然)처럼 조화롭기 때문에 즐거운 것을 말한다. 아름다운 강산을 바라보는 것이 즐거운 이유는 조화롭고 평화롭고 따뜻하기 때문이다. 시경에서 “처자(妻子)와 잘 화합하는 것이 금(琴)과 슬(瑟)의 연주와 같으니 형제가 화목하여 조화롭고 즐겁구나(和樂). 네 집안 제대로 다스리려면 네 처자식 즐겁게 하라”[시경 소아.상체편]고 하였다. 악마는 고통스럽고 눈물이 흐르고 피가 흐르고 파괴되는 것을 보고 즐거워하며 웃는다고 하였다. 조화롭지 않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것은 흉하다.

 

孚兌 吉 悔亡
신념이 있어 즐거우니(孚兌) 길(吉)하고 후회가 없다(悔亡)
  유학의 최고 경전이라 말하는 『논어』는 기쁨과 즐거움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자의 말씀으로부터 시작된다. “사람의 도를 배우고 체득해가니 어찌 기쁘지 않겠는가? 알아주는 이 있어 멀리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이 생길 리 없으니 또한 군자답지 않겠는가?”[논어 제1편 학이 제1장]

  공자께서 말씀하시는 이러한 즐거움이 신념이 있어 즐거운 것이다. 공자께서는 안회를 칭찬하며 “거친 밥과 한 바가지 물로 누추한 거리를 살아도 그의 즐거움을 바꾸지 않는구나. 참으로 현명하도다 안회여!”[논어 제6편 옹야 제11장]라고도 말씀하셨다. 이러한 즐거움은 물질의 부귀나 지위의 귀천에 전혀 구애되지 않는 즐거움이다.

 

來兌 凶
오는 것이 있어 즐거우니(來兌) 흉(凶)하다.

  오는 것(來)이 있어 즐거운 것은 오직 얻어서 즐거운 것을 말한다. 잃는 것 없이 얻어서 그것을 즐거워 하는 것을 말한다. 뒤에 이어지는 상태(商兌)와 달리 제 것은 하나도 내 놓지 않고 받기만 하려는 이기적 즐거움이니, 술값 계산할 때 항상 숨어버리고 얻어 먹은 것을 즐거워 하는 그런 부류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다.

 

商兌 未寧 介疾 有喜
거래하여 즐거우나(商兌) 편안한 것은 아니니(未寧) 병이 되는 것을 막아야(介疾) 기쁨이 있다(有喜)

  상태(商兌)는 거래를 하여 즐거움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즉 주고받는 GIVE AND TAKE의 즐거움이다. 래태(來兌)는 내 것은 하나 내 놓는 것 없이 오직 이익만 실속만 차리려는 즐거움이라면, 상태(商兌)는 주고받는 즐거움이다. 그래서 래태(來兌)는 흉하다고 했지만 상태(商兌)는 병이되는 것이 아니면 괜찮다고 한다. 주역과 논어의 입장은 정당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배척하지는 않는 까닭이다. 그러나 병이 되는 수준에 이르지는 말아야 한다고 하니, 돈이 안되는 일은 애초에 하려고 하지 않는 생각을 나무라는 것이다. 공자께서도 “먼저 일하고 뒤에 그 대가를 얻으려 하는 것이 덕을 높이는 것이다”[논어 제12편 안연 제21장]라고 하셨으니, 이미 선사후득(先事後得)은 고사성어가 되었다.

 

孚于剝 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면(孚于剝) 위태로움이 있다(有厲)

  파괴에 신념을 두는 것은 사람의 길을 멀리하는 것을 말한다. 곧 기인(奇人)의 행세를 하는 것을 즐거워 하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궁벽한 이치를 찾고 괴이한 일을 하는 것을 후세에 칭송할 수 있겠지만 나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중용 제11장]고 하셨다. “도(道)는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니 사람이 도를 행하고자 하면서 사람의 길을 멀리하면 도라고 할 수 없다”[중용 제13장]고 하셨다. 화태(和兌)처럼 조화로움이 즐거움이어야 한다. 어쩌면 이러한 가르침이 중국에서 불교가 뿌리를 잘 내릴 수 없었던 이유일 지도 모른다. 머리를 깎고, 고기를 먹지 않고, 부부관계를 하지 않는 수도승을 유별나게 유난을 떠는 것으로 생각했음직도 하다. 마음으로 관통할 수 있다면 진리를 추구하는 길이 유별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성인 석가모니의 잘못이 아니라 따르는 자들이 구속하고 막아놓은 까닭일지도 모른다. 

 

引兌
이끄니 즐겁다(引兌)
  화태(和兌) 부태(孚兌) 래태(來兌) 상태(商兌)와 달리 인태(引兌)는 주역에서 길흉, 여타의 판단을 하고 있지 않다. 이끌고 오니 즐거운 것은 소위 조종하는 즐거움이다. 이끄는 즐거움에 대해서 주역이 판단하지 않은 이유는 중용을 벗어나면 흉(凶)할 것이요, 중용을 지키면 길(吉)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조종 하려고 하는 마음은 조심하고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덕이 높은 현자가 어리석은 백성들을 이끌고 오는데 즐거움을 느낀다면 길하겠지만, 마마보이의 어머니가 자식을 이끌고 와야 즐거운 것은 흉할 것이기 때문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56

旅 小亨 旅貞 吉
【初六】旅瑣瑣 斯其所取災
【六二】旅即次 懷其資 得童僕 貞
【九三】旅焚其次 喪其童僕 貞 厲
【九四】旅于處 得其資斧 我心不快
【六五】射雉一矢亡 終以譽命
【上九】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凶

  여(旅)는 나그네를 뜻한다. 떠도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니 곧, 방황을 의미한다. 요즘은 인생 40을 제2의 방황기라고도 한다. 공자께서는 나이 40을 미혹함이 없는 불혹이라고 하셨고 “나이 40이 되어서도 미움을 받는다면 끝났다”[논어 제17편 양화 제26장]고도 하셨으니 요즘 사람들이 40에 방황하는 것은 옛사람들이 쉽게 예상할 수는 없었을 것 같기도 하다.

 

旅 小亨 旅貞 吉
방황(旅)은 성장 초기부터(小亨) 있게 되는 것이다. 방황을 끝내어야(旅貞) 길(吉)하다
.
  방황은 성장의 초창기부터(小亨) 있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길(吉)하려면 방황을 끝내어야 한다고 한다. 아마도 평생 방황을 끝내지 못하는 사람도 많기 때문이 아닐까? 필부필부(匹夫匹婦)하는 보통의 사람들은 방황을 끝내지 못하고 그냥 그냥 살아가는 경우가 더 많을 것 같기도 하다.

 

旅瑣瑣 斯其所取災
방황은 자질구레하게 하면(旅瑣瑣) 재앙을 자초하는 것이다(斯其所取災).
  쇄쇄(瑣瑣)는 자질구레하게 계속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시시하고 대수롭지 않은 이유로 끝맺지 못하고 계속 방황을 이어가는 것은 재앙을 자초하는 일이라고 한다. 알이 먼저 인지 닭이 먼저 인지, 아이가 먼저 인지 어른이 먼저 인지 어찌 반드시 답을 찾을 수 있을까? 대학에서 “자식 기르는 법을 배우고 나서 시집가는 사람은 없다”[대학 제9장 제가치국]고 하였으니 지나치게 자질구레하게 방황을 계속 이어가지 않아야 한다.

 

旅即次 懷其資 得童僕 貞
방황은 묵을 곳이 있어야 하니(旅即次) 재물이 있고(懷其資) 동복(童僕)을 얻으면(得) 끝난다(貞)

  차(次)는 정착할 곳을 말하니 곧 방황을 끝내고 머무를 수 있는 곳을 말한다. 몸을 정착할 수 있으려면 돈이 있어야 하고, 마음이 정착 할 수 있으려면 내 마음을 받아주는 사심 없는 종이 있어야 한다. 몸이 편안하고 마음이 편안하면 더 이상 방황은 없음은 당연하다. 물질가치와 정신가치가 별개가 아니니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旅焚其次 喪其童僕 貞 厲
방황하여 그 묵을 곳을 불태우고(旅焚其次) 그 동복을 잃었으니(喪其童僕) 끝까지(貞) 위태롭다(厲).
  재물(資)은 잃지 않았다. 그 동복을 잃어 결국, 쉴 곳을 잃었지만 재물은 남아있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재앙을 자초한다고 하는 자질구레하게 이어지는 방황(旅瑣瑣)과 다르지 않다. 내 몸을 쉬게 만들 수 있는 돈도 중요하고 내 마음을 쉬게 할 수 있는 동복도 필요한 것이다. 중용을 벗어나 그 동복을 잃었으니 끝까지 위태롭다.

 

旅于處 得其資斧 我心不快
방황에서 잠시 쉬려다가(旅于處) 재물과 도끼를 얻었으나(得其資斧) 내 마음은 불쾌하다(我心不快).

  처(處)는 정착지를 뜻하는 차(次)와는 달리 잠시 쉬기 위해 머무는 곳이다. 자부(資斧)는 재물과 도끼인데, 곧 돈과 권력을 의미한다. 얻기 위해 애써서 얻은 것이 아니요, 잠시 머무를 생각이었는데 돈과 권력을 취했으니 그야말로 횡재다. 그러나 왜 마음이 불쾌할까? 돈과 권력을 얻었고, 그것도 손쉽게 얻었으나 동복(童僕)이 없기 때문이다.

 

射雉一矢亡 終以譽命
어리석은 꿩을 화살 하나를 잃고 죽이면(射雉一矢亡) 마침내 명예로운 부름을 얻으리라(終以譽命)
  꿩은 다급해지면 풀섶에 머리만 박고 몸뚱이를 돌보지 않는 어리석은 짐승이다. 즉 그 어리석음을 빨리 없애라는 말이니, 돈과 권력을 횡재로 얻고서도 마음이 불쾌한 이유가 무엇인지 빨리 깨우치라는 의미이다.

 

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咷 喪牛于易 凶
새가 그 둥지를 불사르니(鳥焚其巢) 나그네는(旅人) 처음에는 웃지만 뒤에는 부르짖으며 슬피 울게 될 것이다(先笑後號咷) 주역의 소를 잃어버리는 것이니(喪牛于易) 흉(凶)하다.
  둥지를 불태우는 새가 쉴 곳을 불태우던 자신과 다를 바 없는 어리석을 짓을 하니, 짐승의 일로만 여겨 처음에는 어리석다고 비웃는다. 그러나 그것이 남의 일이 아니라 내 일임을 알게 되어 슬피 울게 될 것이다. 소는 진리와 깨우침을 상징한다. 불교의 '심우도'에서 의미하는 소와 같은 뜻이다. 주역의 소를 읽어버리는 것은 곧 주역의 가르침을 잃어버리는 것이니 흉하다. 새를 가엽고 측은하게 여기는 인(仁)함을 잃었다. 주역이 말하고 있는 모든 변화의 법칙은 하나를 상정한 것이 아니다. 사람 인(人)은 항상 관계(關係)하여 하나가 받쳐주어야 하는 존재이며, 나와 관계없는 삼라만상은 아무것도 없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55

豊 亨 王假之 勿憂 宜日中
【初九】遇其配主 雖旬 无咎 往 有尚
【六二】豊其蔀 日中見斗 往 得疑疾 有孚發若 吉
【九三】豊其沛 日中見沬 折其右肱 无咎
【九四】豊其蔀 日中見斗 遇其夷主 吉
【六五】來章 有慶譽 吉
【上六】豊其屋 蔀其家 闚其戶 闃其无人 三歲不覿 凶

  풍(豊)은 풍성함을 상징하는 괘다. 곧 결실(利)이 풍성한 것을 말한다. 주역은 풍성한 결실을 이루기 위한 조건을 바른 통치자에게서 찾고 있다. 고래(古來)로부터 풍흉은 왕의 책임이라고 하였고 왕이 바르면 풍년을 만나고 왕이 바르지 않으면 흉년을 만난다고 하였다. 그러나 주역은 왕이 바르게 중천에 있음에도 풍년을 만날 수 없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바른 신하들이 왕을 받쳐주어야 한다.

 

豊 亨 王假之 勿憂 宜日中
풍요(豊)는 성장기(亨)에 결정된다. 왕이 그것을 이르게 할 것이니(王假之) 근심하지 말라(勿憂) 알맞게 해가 중천에 있기 때문이다(宜日中)
  풍요는 곧 좋은 결실(利)을 맺는 것이므로 성장(亨)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가뭄과 홍수 등의 재앙이 없기 위해서는 왕이 덕으로 세상을 잘 다스려야 한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 「부여전」의 기록에 의하면 그 해의 농사가 흉년이 들면 왕에게 책임을 물어 왕을 죽이거나 교체했다고 전해지는데, 왕권이 약했기 때문이었겠지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명분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풍흉은 왕의 책임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해가 중천에 있는 것은 왕이 덕으로써 정치를 잘 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遇其配主 雖旬 无咎 往 有尚
하늘과 짝이 되는 바른 주인을 만나야 하니(遇其配主) 시간이 걸려도(雖旬) 허물이 없고(无咎) 만나러 나가면(往) 자랑이 있다(有尚)

  시경에서 “은나라가 백성들을 잃지 않았을 때엔 상제(上帝)와 짝할 수 있었도다”[시경 대아.문왕편]라고 하였으니 바른 주인이란 백성들이 저절로 모여들게 만드는 덕 있는 군주일 것이다. 10년(旬)은 주역에서 정성을 뜻하는 시간으로 여러 번 등장하였다. 간절히 원하면 만날 수 있다는 뜻이다. 수동적으로 간절히 원하는 것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그 간절한 만남을 성사시키려 해도 자랑이 있을 것이라고 한다. 공자께서 ‘임을 사모하지만 집이 멀어 안타깝다'는 고시(古詩)를 접하시고는 “진실로 간절히 사모하지 않는 까닭이다. 어찌 멀겠느냐?”[논어 제9편 자한 제31장]고 하셨다. 진정으로 간절하면 멀리 있는 것은 없다.

 

豊其蔀 日中見斗 往 得疑疾 有孚發若 吉
풍요의 기운이 막히니(豊其蔀) 해가 중천에 있음에도 북두칠성이 보인다(日中見斗) 나아가면(往) 의심병만 생기게 될 것이니(得疑疾) 신념을 고양한 후가 되어야(有孚發若) 길(吉)하다
.
  해가 중천에 있음에도 북두칠성이 보이는 까닭은 세상이 어둡기 때문이다. 작은 별이 보일 정도는 아니니 암흑의 상태는 아닌 수준이다. 북두칠성은 곧 바른 신하를 의미한다. 왕의 눈과 귀를 막고 세상을 어둡게 하는 간신들이 득세하고 있는 세상이나 바른 신하들도 빛을 내고 있어 다행스러운 상황이다. 그래도 여전히 어두우니 백성들의 신임을 완전히 얻을 수는 없어 의심이 있을 것이다. 백성들의 신임을 얻은 후에 나아가야 길하다고 한다.

 

豊其沛 日中見沬 折其右肱 无咎
풍요의 기운이 장막에 가려(豊其沛) 해가 중천에 있으나 작은 별이 보인다(日中見沬) 오른팔이 꺾여야(折其右肱) 허물이 없다(无咎)

  작은 별이 보일 정도이니 해는 중천에 있어도 암흑천지가 된 것이다. 작은 별, 즉 소인유(小人儒)정도만 되어도 빛나 보일 정도이니 간신들이 세상을 어둠으로 장악해 버린 것이다. 오른팔은 권력의 정점에 서 있는 간신배의 수괴를 상징한다. 그 오른팔을 꺾지 않고서는 희망이 없다. 아무리 바른 왕이라도 안동 김씨의 세도기처럼 세상이 암흑으로 변한 시기에는 어떤 힘도 쓸 수 없게 되는 것이다.

 

豊其蔀 日中見斗 遇其夷主 吉
풍요의 기운이 막혀(豊其蔀) 해가 중천에 있음에도 북두칠성이 보인다(日中見斗) 가짜 군주를 만나면(遇其夷主) 길(吉)하다.
  이주(夷主)는 문자 그대로는 오랑캐의 임금이나, 여기서는 가짜 군주라는 의미이다. 나쁜 뜻이 아니라 천자의 지위를 탐내는 자가 아니고 세상을 바르게 하려는 이를 뜻한다. 군주가 되고도 능히 남을만한 인덕을 가졌으나 외곽에 있는 현자이니 예컨대, 공자 같은 분도 이 이주(夷主)에 속할 것이다. 그러나 이 이주(夷主)가 힘을 쓸 수 있는 것도 북두칠성이 빛나는 세상이어야 한다. 작은 별이 빛나는 세상이라면 어렵다. 공자께서도 “만일 나를 써 주는 사람이 있더라도 일년은 지나야 어느 정도 토대를 갖추고 삼년은 지나야 충분히 이룰 수 있을 것이다”[논어 제13편 자로 제10장]고 하셨다. 수치상 3년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의미하니 한 사람의 힘으로 세상을 바로잡기란 쉬운 일이 아닌 것이다.

 

來章 有慶譽 吉
와서 빛내면(來章) 경사와 명예가 있으리니(有慶譽) 길(吉)하다.

  임금의 지위를 탐내지 않고 그 역할을 탐내는 자가 이주(夷主)이니, 임금을 대신하여 세상을 밝게 하고 바른 도를 세워나갈 것이다. 2번째 곤(坤)괘에서 ‘왕의 일을 따르면서 공로를 탐내지 않고 바른 결과만을 원한다(或從王事 无成有終)’고 한 것과 같은 뜻이다. ‘왕이 할 일을 대신하고 그 공로를 차지하지는 못해도 그 바른 결과를 위하여 목숨을 걸고 진력하는 것'이니, 이주가 와서 빛내는 것이 곧 혹종왕사(或從王事)하여 무성유종(无成有終)하고자 하는 것이다.

 

豊其屋 蔀其家 闚其戶 闃其无人 三歲不覿 凶
그 집이 풍요롭게 되니(豊其屋) 그 집을 막아버렸다(蔀其家). 그 집을 엿보니(闚其戶) 인기척도 사람도 없다(闃其无人) 오래 돌아보지 않을 것이니(三歲不覿) 흉(凶)하다.
 
  이주(夷主)의 덕으로 풍요롭게 되었다. 그러자 나누지도 뺏기지도 않으려고 문을 닫아버린 것이니 곧 이주는 토사구팽(兎死狗烹)을 당한 것과 같은 것이다. 그렇게 각박하고 은혜를 모르는 집이라면 사람이 남아 있을 리 없고, 또한 오랫동안 사람들이 돌아보지도 않을 것이니 흉하다. 대학에서 “백성을 얻으면 나라를 얻고 백성을 잃으면 나라를 잃는다”[대학 제10장 치국평천하]고 하였으니 일시적인 물질적 풍요는 얻었지만 오랜 시간 백성들을 잃게 되었다. 이것은 풍(豊)이 아니라 흉(凶)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46

升 元亨 用見大人 勿恤 南征 吉
【初六】允升 大吉
【九二】孚乃利用禴 无咎
【九三】升虛邑
【六四】王用亨于岐山 吉 无咎
【六五】貞吉 升階
【上六】冥升 利于不息之貞

  승(升)괘는 크게 발전하여 올라가는 것을 뜻하는 괘이다. 앞의 췌(萃)괘에서 만들어진 탄탄한 조직으로 뜻을 펼치려 나아가는 것이 승(升)괘이다. 13번째 동인(同人)괘에서 모여서 도(道)를 추구해야 한다고 하였으니, 마찬가지로 세상을 도(道)로 바로 세우기 위해서 나아가는 것이다.

 

升 元亨 用見大人 勿恤 南征 吉
나아감(升)은 근원을 갖추어 성장하는 것이니(元亨) 대인을 만나서 그를 사용하고(用見大人) 근심하지 말고(勿恤) 바른길을 정복하면(南征) 길(吉)하다.
  앞의 췌(萃)괘로서 만들어진 조직이 승(升)의 근원(元)이다. 그 근원을 갖고 성장(亨)해 나가는 것이 곧 승(升)이다. 그 조직은 훌륭한 인재를 등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문호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근심하지 말고 남쪽을 정벌하라는 말은 남쪽은 따뜻한 곳이므로 곧, 바른 도리(道理)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함이다. 그래야 길하다.

 

允升 大吉
속임 없이 나아가야(允升) 크게 길하리라(大吉).
  윤(允)은 진실함이며 신의를 의미한다. 더불어 잘 살자며 남쪽으로 나아갔지만 그 숨겨진 진실은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흉한 것이다. 속임없는 진실함과 신의와 의로움으로 나아가야 크게 길할 것이다.

 

孚乃利用禴 无咎
신념을 갖고 검소한 제사를 지내면 이로우리니(孚乃利用禴) 허물이 없다(无咎).

  공자께서는 “예는 사치스럽게 하기보다는 검소하게 하는 것입니다. 장례는 장중하게 치르기 보다는 진정으로 슬퍼해야 하는 것입니다”[논어 제3편 팔일 제3장]라고 하셨다. 중요한 것은 마음이며 신념이 살아있기에 검소한 제사를 지내도 이롭고 허물이 없는 까닭이다. 췌(萃)괘에서 말한 큰 희생양을 사용하는 방법이 필요한 시기는 지났으며, 조직을 갖추었으니 신념으로 나아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升虛邑
나아가는 것은 비어있는 고을과 같다(升虛邑)
  비어있는 고을이 백성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승(升)의 발전도 백성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목적과 목표가 같다는 말이다. 민초들이 저절로 모여들도록 편안하고 따뜻한 세상을 여는 것이 곧 승(升)이 목표하는 결과이다.

 

王用亨于岐山 吉 无咎
왕은 기산에 올라 제사를 지냄으로써(王用亨于岐山) 길(吉)하고 허물이 없다(无咎).
  기산(岐山)은 주나라 문왕의 할아버지였던 고공단보(古公亶父)가 정착한 곳이다. 그 기산에 올라 제사를 지내는 것은 태왕(太王)을 공경하는 마음이며, 지나온 전통을 공경하는 마음이다. 그럼으로써 또한 정통성을 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래야 길하고 허물이 없다. 승(升)은 혁명으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貞吉 升階
끝까지 길하구나(貞吉) 차곡차곡 성장함이여(升階).
  서두르지 않고 계단을 밟아 오르듯 차근차근 나아가는 것이다. 차곡차곡 나아가지 않는 것은 전통을 공경하지 않는 나아감이다. 일의 선후와 본말을 가려서 단계적으로 공든탑을 쌓아가듯 나아가야 한다.

 

冥升 利于不息之貞
드러나지 않는 나아감(冥升)이라도 끝까지 쉬지않아야 이롭다(利于不息之貞)
  명승(冥升)은 성과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발전을 말한다. 그러나 차곡차곡 단계를 밟아 성장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니 내실을 다져 나가는 나아감이다. 남들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쉬거나 멈추지 말고 끝까지 나아가야 이롭다는 말이다. 승(升)은 바른 도(道)를 따르는 남쪽을 정벌하는 나아감이니, 다른 사람에게서 구하려 하지 않아야 한다. 그것은 논어의 첫 장부터 시작해 계속 반복되는 공자께서 말씀하신 가르침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원망이 없으리니 또한 군자답지 아니한가?”[논어 제1편 학이 제1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
43

夬 揚于王庭 孚號 有厲 告自邑 不利即戎 利有攸往

【初九】壯于前趾 往 不勝 爲咎

【九二】惕號 莫夜有戎 勿恤

【九三】壯于頄 有凶 君子夬夬獨行 遇雨若濡 有慍 无咎

【九四】臀无膚 其行次且 牽羊 悔亡 聞言不信

【九五】莧陸夬夬 中行 无咎

【上六】无號 終有凶

  쾌(夬)괘는 악(惡)에 공정함(正)으로 맞서는 것을 말하며 의로움을 추구하는 결단이다. 공자께 은혜로 원수를 대하면 어떠한지 여쭈니, 공자께서는 “그러면 은인은 어떻게 대할 것인가? 공정하게 원수를 대하고 은덕으로 은인을 대해야 한다” [논어 제14편 헌문 제34장]고 하셨다. 공자께서는 동해보복(동일한 해로움으로 복수)으로 원수를 대하는 것 즉, 원수를 원수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원수를 바름(正)으로 대해야 한다고 하셨다. 바름 곧, 의(義)를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이 쾌(夬)이다.

 

夬 揚于王庭 孚號 有厲 告自邑 不利即戎 利有攸往

결단(夬)은 왕정에 알리는 것(揚于王庭)이며 신념을 부르짖는 것(孚號)이니 위태로움은 있겠지만(有厲) 고을에 숨어 외치면(告自邑) 적이 되어 맞서는 것이니 이로울 것이 없다(不利即戎) 시간이 지나가면 이롭다(利有攸往)

  악(惡)을 보고 방관하는 것은 악(惡)을 부흥시키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것이니 마땅히 의롭게 나서야 한다. 비겁하게 숨어서 외치면 그것은 충언이 아니라 대항하는 것이 되니 결실이 없다. 위태롭더라도 왕정에 올라 외쳐야 한다. 시간이 지나가면 이로우리니 결국은 정의가 승리하기 때문이다.

 

壯于前趾 往 不勝 爲咎

크고 강한 기운이 발 앞에 모여있어(壯于前趾) 그렇게 나아가면(往) 이길 수 없고(不勝) 허물만 남는다(爲咎)

  행동하기 위해 기운이 발에 모여있으니 혈기만 가지고 서두는 것이다. 용맹이 지나쳐 과격한 것을 말하니, 의로움을 펼치는 것이 무모함이 되지 않으려면 냉철해야 하고 냉정해야 한다.

 

惕號 莫夜有戎 勿恤

두려워서 호소하면(惕號) 밤을 틈타 급습을 할 것이니(莫夜有戎) 두려워하지 말라(勿恤)

  지나친 용맹과 반대로 지나치게 두려워서 부르짖는 것이라면 쥐도 새도 모르게 제거 당하게 된다는 뜻이다. 도적이 들었는데 두려워 울부짖으면 재물만 잃고 말 것을 목숨까지 잃는 경우도 생기는 법이다. 발 앞에 모여있는 과격한 용기도 모자라는 용기도 악(惡)을 바로잡을 수 없다.

 

壯于頄 有凶 君子夬夬獨行 遇雨若濡 有慍 无咎

큰 기운이 광대뼈에 있다면(壯于頄) 흉함이 있지만(有凶) 군자라면 결연히 홀로 가다가(君子夬夬獨行) 비를 만나게 되어도(遇雨若濡) 온기를 뺏기지는 않을 것이니(有慍) 허물이 없다(无咎)

  큰 기운이 광대뼈에 있는 것은 안색을 숨길 수 없어 의욕이 밖으로 드러나는 것을 말한다. 견제를 받아 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군자라면 어려움이 있더라도 허물이 없을 것이다. 군자는 의로움을 따르는 자이니, 오히려 드러난 의욕을 보고 바른 사람들이 모일 것이기 때문이다. 드러난다고 해치려는 자만 모이는 것이 아니기에 온기를 완전히 잃지 않게 되는 것이다.

 

臀无膚 其行次且 牽羊 悔亡 聞言不信

엉덩이에 살이 없으니(臀无膚) 쉽게 나아가지 못한다(其行次且) 백성들을 이끌면(牽羊) 후회는 없겠지만(悔亡) 말은 들어주더라도 신뢰하지는 않을 것이다(聞言不信)

  분수에 맞지 않는 지위에 앉아있으니 자리가 편하지 않아 엉덩이에 살이 없게 된 것이다. 백성들을 이끌 지위에 위치하고는 있지만 그 지위에 걸맞는 능력은 없는 사람이다. 내적으로 후회는 없을지라도 신임을 얻지는 못할 것이다고 한다.

 

莧陸夬夬 中行 无咎

뭍에서 뛰어 노는 산양이 큰 결단을 내릴 때는(莧陸夬夬) 중용의 길을 가야(中行) 허물이 없다(无咎)

  뭍에서 뛰어 노는 산양은 민초들을 뜻한다. 위에서 이끄는 것이 아니라 아래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다. 중용의 길을 가면 혁명이 되고, 중용을 벗어나면 반란이 될 것이다.

 

无號 終有凶

부르짖지 않으면(无號) 끝내 흉함이 있다(終有凶)

  의로운 줄 알면서 의로움을 실천하지 못하는 것은 두려움 때문일 것이다. 공자께서는 “안으로 살펴서 부끄러움이 없다면 무엇을 근심하며 무엇을 두려워하겠는가?”[논어 제12편 안연 제4장]라고 하셨다. 생사(生死)는 천명(天命)이니 정말 두려워해야 할 것은 의로운 줄 알면서도 실천하지 못하는 나약한 마음인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42

益 利有攸往 利涉大川

【初九】利用爲大作 元吉 无咎

【六二】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 永貞吉 王用享于帝 吉

【六三】益之用凶事 无咎 有孚 中行 告公 用圭

【六四】中行 告公從 利用爲依 遷國

【九五】有孚惠心 勿問 元吉 有孚 惠我德

【上九】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보태주는 것(益)은 하늘의 일을 대신 맡은 것이니 무거운 짐을 진 것이다. 공자께서 “나는 군자는 급한 곳을 구제해 주고 부유한 곳에는 보태주지 않는다고 들었다”[논어 제6편 옹야 제4장]고 하셨으나, 제자 염유가 부유한 계씨의 재산을 늘려주자 “나의 제자가 아니다! 너희는 북을 울려 성토해도 좋다”[논어 제11편 선진 제17장]고 진노하셨다. 모자라면 보태주고 넘치면 덜어내는 것은 하늘의 도(道)이며, 그 바른 천도(天道)를 따르는 것이 군자의 사명이다.

 

益 利有攸往 利涉大川

보탬(益)은 시간이 지나야 결실이 있다(利有攸往) 큰 내를 건너듯(利涉大川) 과단성이 있어야 한다.

  보태주는 것은 단번에 끝맺는 것이 아니라 꾸준함이 필요한 일이다. 마음 또한 재물에 얹어 보태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앞의 손(損)괘에서 말한 거친 베옷을 입은 사람에게 거친 베옷을 입고(曷之用) 다가가는 것이다. 주위사람의 말에 흔들리지 않고 스스로 과단성 있게 나아가야 한다.

 

利用爲大作 元吉 无咎

크게 만들어 나가도록 사용해야 이로우니(利用爲大作) 근원적으로 길하고(元吉) 허물이 없다(无咎)

  물고기를 주는 것이 아니라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방법으로 현명하게 보태주라는 의미이다. 오직 짐승처럼 먹여주는 방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기술을 가르쳐주는 방법이 좋고, 쌀을 보태주기 보다는 농사를 짓도록 해 주는 것이 더 좋다는 말이다.

 

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 永貞吉 王用享于帝 吉

누군가가 보태주는 것은(或益之) 십붕의 비싼 거북점으로도(十朋之龜) 어긋나게 할 수 없는 것이니(弗克違) 계속 끝까지 길할 것이다(永貞吉). 왕이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도(王用享于帝) 길(吉)할 것이다.

  혹익지(或益之)는 앞의 손(損)괘에서 나온 기적과 같은 횡재를 말한다. 천명(天命)으로 얻은 것이라고 하였다. 왕이 상제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간접적인 베품이지만, 공공의 이익을 위해 제물을 사용하는 것이기에 사사로이 쓰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益之用凶事 无咎 有孚 中行 告公 用圭

보태주는 것은(益之) 흉한 일에 사용하면(用凶事) 허물이 없다(无咎) 신념을 가지고(有孚) 중용을 따라(中行) 공익을 도모하고(告公) 임금의 뜻이 닿는 곳에 사용하라(用圭).

  모자라면 채워주고 과하면 덜어내는 중용의 도를 따라야 한다. 나에게 넘치는 재물을 흉한 일을 당한 이웃을 도와주는 것으로 사용함으로써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임금의 뜻은 빈부의 지나친 치우침이 없이 백성이 고루 부유하고 풍족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中行 告公從 利用爲依 遷國

중용을 행하고(中行) 공익을 따라(告公從) 의지해야 하는 곳에 사용하면 이로우니(利用爲依) 나라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遷國).

  대학의 “한마디 말이 대사를 그르치기도 하고 한 사람이 나라를 안정시키기도 한다”[대학 제9장 제국치가]는 가르침이 연상되는 효이다. 나의 얼마되지 않는 기부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지만, 궁극적으로 나라를 변하게 할 수도 있는 일이다. 먼 길은 가까운 길부터 시작해 나아가며, 높은 산도 낮은 곳부터 올라가야 한다.

 

有孚惠心 勿問 元吉 有孚 惠我德

베푸는 마음에 신념이 있다면(有孚惠心) 묻지도 말라(勿問) 근원적으로 길하다(元吉) 신념이 있다면(有孚) 나의 덕을 보태는 것(惠我德)이다.

  마음으로 베푸는 것이 아니라 속셈을 갖고 베푸는 경우도 있다. 사건을 무마하고 여론의 질타를 피하기 위해 재산을 내 놓는 대기업 총수도 있으나, 그러한 보태줌이 아니라 마음으로 즐거워 베푸는 것은 어디에 물을 필요도 없이 길한 것이라고 한다. 내어 놓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의 덕을 보태는 것이라고 한다.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보태주는 것이 막히거나(莫益之) 누군가 공격하면(或擊之) 마음을 세우되 방법을 고집하려 하지마라(立心勿恒) 흉(凶)하다.

  베푸는 선한 일이 방해 받는 경우가 있다. 장애인을 내세워 뒤에서 그것을 착취하는 소위 ‘앵벌이’의 경우처럼 나의 베품이 이용당하게 되는 것을 알았다면, 마음은 변함없이 세워놓되 그 방법을 고집하려 하면 흉하다고 한다. 결국 악을 돕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보태주는 것은 크게 만들어나가도록(用爲大作) 현명하게 보태주어야 하고 이용당하지 않도록 지혜롭게 보태주어야 하니, 그래서 하늘은 그 임무를 맡길 만한 사람을 골라서 사명을 맡기는 것일 것이다. 현명한 방법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보탬을 주라는 것이지 외면하라는 뜻은 결코 아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41

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 可用享

【初九】已事 遄往 无咎 酌損之

【九二】利貞 征 凶 弗損益之

【六三】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六四】損其疾 使遄 有喜 无咎

【六五】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 元吉

【上九】弗損益之 无咎 貞吉 利有攸往 得臣无家

  손(損)괘와 다음에 이어지는 익(益)괘는 중용(中庸)을 뜻하는 괘이다. 손(損)괘는 과하기 때문에 덜어내고, 익(益)괘는 모자라기 때문에 보태주는 것이다. 그것이 하늘의 도(道)이다. 부족하면 채워주고 지나치면 덜어내는 것이 순리이니, 지나치게 그 손익에 집착하는 것은 해로울 뿐이다. 하늘이 덜어내기 전에 뜻 있는 곳에 스스로 덜어내는 것은 하늘의 일을 대신하는 것이니 근원적으로 길할 것이다.

 

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 可用享

덜어냄(損)은 뜻이 있어야(有孚) 근원적으로 길하고(元吉) 허물이 없으니(无咎) 신념을 끝까지 유지하면(可貞) 시간이 지나가면 이롭다(利有攸往) 거친 베옷을 입어야 이롭고(曷之用) 두 그릇의 밥을 베풀어(二簋) 제사를 지내도록 도와주면 이롭다(可用享)

  부(孚)는 생각이 없는 것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생각 없이 낭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신념을 가지고 가치 있게 덜어내는 것을 말한다. 뜻 있게 사용하면 다시 돌아오게 되니 그래서 시간이 지나가면 이로운 것이다. 거친 베옷은 서민들이 입는 옷이다. 서민들에게 서민으로 다가가는 것을 뜻한다. 덜어내더라도 면 옷을 입고 교만을 부리지 말해야 하며, 생계만 유지할 수 있게 각박하게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제사까지 지낼 수 있도록 넉넉히 베풀라고 한다.

 

已事 遄往 无咎 酌損之

이미 지난일(已事)은 속히 보내버려야(遄往) 허물이 없을지니(无咎) 그 덜어냄을 생각해 보라(酌損之)

  29번째 감(坎)괘에서 구덩이에 빠지고 다시 구덩이에 빠지는 것은 흉하다고 했으니, 물리적인 구덩이에 빠졌다고 정신적인 구덩이(절망)에 빠지지는 말라는 가르침이었다. 이미 지나간 손해가 있었다고 그것을 떨쳐내지 못하는 것은 재차 구덩이에 빠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말로 덜어내야 할 것은 지나간 일에 대한 집착이다.

 

利貞 征 凶 弗損益之

그래야 끝까지 이로울 것이니(利貞) 정벌하려 하면(征) 흉(凶)하다. 덜어내었다고 보태주지는 않을 것이다(弗損益之)

  정벌(征)은 본전생각이 나서 잃은 것을 되찾으려는 것이다. 본전생각을 하면 결국 있는 것 모두를 덜어내게 되는 대표적인 것이 도박이다. 안목이 단지 물질적인 손익만 생각할 줄 아는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늘의 도(道)는 모자란 것은 채워주고 넘치는 것은 덜어주어 중용(中庸)의 도리를 지킨다. 그러나 하늘이 도박하여 덜어내는 것까지 보태주지는 않을 것이니, 오히려 물질을 더욱 덜어냄으로써 마음의 모자람을 채워주려 할 지도 모른다.

 

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세 명이 나아가면(三人行) 한명을 잃게 되고(則損一人) 한명이 나아가면(一人行) 친구를 얻게 된다(則得其友)

  실제 만남 사람은 두 사람이다. 두 사람이 만나면서 한 사람을 더 끼워들이면 관계가 깨어질 것이니, 없는 한 사람을 더 끌여들여 비교하는 것을 3인으로 표현하고 있다. 요즘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완벽한 ‘엄친아(엄마 친구의 아들)’일 것이다. 한명이 나아가는 것은 있는 자신을 덜어내고(損) 상대방을 있는 그대로 보아주는 것이다. 그래야 친구가 되어 소통할 수 있다. 그것이 곧 중용의 도(道)이다.

 

損其疾 使遄 有喜 无咎

덜어내고 병을 얻으면(損其疾) 빨리 그 병통을 고쳐야(使遄) 기쁨이 있고(有喜) 허물이 없다(无咎)

  덜어내고 병을 얻는 것은, 잃은 것이 아까워 얻게 된 마음의 병이다. 물리적인 질병보다도 그러한 마음의 병이 더 무서운 것이다. 부족하면 하늘이 다시 채워주는 것이 하늘의 법도인데 이미 근심(병)으로 그 비어짐이 다 차 버렸으니 채워줄 그릇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닐까?

 

或益之 十朋之龜 弗克違 元吉

누군가가 보태주는 것은(或益之) 십붕의 비싼 거북점으로도(十朋之龜) 조정 할 수 없는 것이니(弗克違) 근원적으로 길하다(元吉)

  붕(朋)은 옛적에 화폐로 사용하던 조개껍질이다. 물질적 손익은 우연성이 많이 개입되기도 한다. 요즘으로 치면 로또에 당첨되는 것 같은 우연히 횡재를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그러한 횡재는 아무리 비싼 거북점을 쳐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하늘이 내린 복으로 근원적으로 길하다. 주역점은 거북의 등껍질을 태워 그 갈라지는 것을 통해 점을 치는 것이 시초였고, 산가지(대나무)로 점을 치는 방법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弗損益之 无咎 貞吉 利有攸往 得臣无家

덜어냄으로써 보태주는 것이 아니니(弗損益之) 허물이 없고(无咎) 끝까지 길하여(貞吉) 시간이 지나면 이로움이 있으리니(利有攸往) 가정이 없는 신하를 얻으리라(得臣无家)

  하늘이 우연히 보태주는 것은 반드시 부족하다고 보태주는 것이 아니니 숙명이다. 자하는 “죽음과 삶에는 명이 있고 부유함과 귀함은 하늘에 달려있다(死生有命 富貴在天)”고 배웠다고 하였다.[논어 제12편 안연 제5장] 하늘이 준 복이니 근원적으로 길한 것이요, 시간이 지나면 그러한 복을 하늘이 왜 주었는지 알게 될 것이니, 곁을 떠나지 않는 충복을 얻게 될 것이라고 한다. 가정이 없는 신하는 충복을 상징하며, 이 충복은 ‘깨달음'을 상징한다. 모자란 곳을 찾아 채워주는 하늘의 일을 대신하도록 사명을 맡긴 것이라는 의미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40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初六】无咎
【九二】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六三】負且乘 致寇至 貞 吝
【九四】解而拇 朋至 斯孚
【六五】君子 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上六】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해(解)괘는 술술 풀리는 것이다. 우레가 진동하고 비가 쏟아지는 괘상이니 곧 메마른 세상이 촉촉하게 적셔지고 있는 것이다. 앞의 건(蹇)괘는 시간이 주는 시련이며 시간이 해결해 줄 수 있는 시련이라고 했었다. 이제 시간이 도래하여 반대의 상황이 오게 된 것이니 그것이 곧 해(解)이다. 건(乾)괘에서의 용이 비상하여 하늘을 날고 있는 것(飛龍在天)과도 같다. 건(乾)괘에서 그러한 전성기가 도래하면 마땅히 도와준 사람에게로 나아가야한다(利見大人)고 하였는데, 마찬가지로 해(解)의 시기에도 사람에게로 나아가야 한다고 한다.

 

解 利西南 无所往 其來復 吉 有攸往 夙 吉
술술 풀릴 때(解)도 힘들지만 바른길이 이롭다(利西南) 갈 곳이 없다면(无所往) 되돌아와도(其來復) 길(吉)하다 시간이 지나면(有攸往) 곧(夙) 길(吉)해 진다.
  어려웠던 시기 건(蹇)의 시기와 마찬가지로 풀리는 해(解)의 시기에도 역시 힘들더라도 바른길을 가야 한다고 한다. 바른 길을 가는 것은 상황과 환경에 의해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갈 곳이 없다면 그 이유는 어려웠던 시절부터 바른 곳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해(解)의 시기의 시작은 우레가 진동하고 비가 쏟아지는 것에서 시작을 한다. 상황이 반대로 꺾이는 것은 반드시 진통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래서 벼락이 치고 비가 쏟아지면서 시작되는 것이다. 오래지 않아 우레와 비가 그치고 세상이 촉촉해질 것이니 시간을 기다리면 곧 길하게 된다.

 

无咎
술술 풀릴 때는 허물 될 것이 없다(无咎)

  시간이 지나 우레와 비가 그치고 대지가 촉촉히 적셔진 상황을 말한다. 아무런 허물 될 것이 없다.

 

田獲三狐 得黃矢 貞吉
사냥을 하면 여우 세마리를 얻고(田獲三狐) 황금 화살촉도 얻게 될 것이니(得黃矢) 끝까지 길하다(貞吉)
  여우는 영리한 짐승이라 한 마리를 잡기도 힘드는데, 세 마리를 잡은 것만해도 큰 성취이지만 그 몸 속에 박혀있는 황금 화살촉까지 얻었으니 정말로 술술 풀리는 시기를 만난 것이다. 그러나 술술 풀리는 시기라도 가만히 기다린다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사냥을 나가야 그러한 성취를 얻을 수 있다.

 

負且乘 致寇至 貞 吝
짐지고 수레를 타면(負且乘) 도적을 불러들여(致寇至) 끝까지(貞) 어려워진다(吝).

  잡은 여우와 황금 화살촉을 빼앗길까 두려워 짐을 수레에 내려놓지 못하고 몸에 짐지고 수레를 타는 것이니, 반드시 도적을 불러들이게 된다. 독차지하려는 지나친 욕심으로 인해 만나는 도적(근심)이다. 공자께서 "없으면 얻으려고 근심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 근심하니, 잃을까 근심하면 못할 짓이 없게 된다"[논어 제17편 양화 제15장]고 하셨다. 잃을까 걱정하는 근심만 늘어난 것이니 곧 도적을 만나 끝까지 어려워지게 되는 까닭이다.

 

解而拇 朋至 斯孚
풀려도(解而) 엄지발가락으로 시작해야(拇) 벗이 찾아와(朋至) 뜻을 함께 한다(斯孚).
  엄지발가락으로 시작함은 함(咸)괘에서 부부관계로 마음을 교감하려 할 때 엄지발가락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즉 매사에는 순서가 있고 원형리정의 순차적인 변화를 겪어 열매가 맺히는 법이니, 풀리기 시작했다고 조급하게 바로 열매를 맺으려고 하지 말고 차근차근히 순서를 밟아 나가라는 가르침이다. 먼 곳을 가기 위해서는 가까운 곳부터 출발해야 한다.

 

君子 維有解 吉 有孚于小人
군자(君子)는 풀릴 때를 지탱할 수 있어야(維有解) 길(吉)하니 소인에게 뜻을 두어야 한다(有孚于小人)
  군자는 소인을 위해서 그 풀리는 기운을 사용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이 군자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술술 풀린다고 자기의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소인들을 부유해지도록 도와야 한다. 공자께서 "군자는 의로움에 기뻐하고 소인은 이로움에 기뻐한다"[논어 제4편 이인 제16장]고 하셨으니 마땅히 군자는 소인을 이롭게 해 주어야 한다. 그것이 군자가 의로움을 추구하여 기쁨을 얻는 것이다.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공개적으로(公) 높은 성벽위의 독수리를 쏘아도(用射隼于高墉之上) 그것을 잡을지니(獲之)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높은 성벽위에 있는 독수리는 지위가 높은 흉수이다. 그 독수리에게 쏘겠다는 공개를 하고 쏘아도 잡을 수 있는 까닭은 군자로서 의로움을 추구하여 백성들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이다. 사람의 마음을 얻으면 세상을 바로 세울 수 있고, 흉수는 피할 곳이 없어진다. 술술 풀리는 시기는 사람을 향해서 나아가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9

蹇 利西南 不利東北 利見大人 貞吉
【初六】往蹇來譽
【六二】王臣蹇蹇 匪躬之故
【九三】往蹇來反
【六四】往蹇來連
【九五】大蹇朋來
【上六】往蹇來碩 吉 利見大人

  건(蹇)괘는 어려운 때를 말한다. 산 위에 물이 고여있는 괘상이니 물이 산 아래로 흘러 강과 바다로 내려갈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즉 건(蹇)괘는 시간이 주는 시련이며 시간이 해결해 줄 수 있는 시련이다. 오래지 않아 끝나게 될 어려움이다.

 

蹇 利西南 不利東北 利見大人 貞吉
어려운 때(蹇)는 힘들어도 바른길이 이롭고(利西南) 수월해도 옳지 않은 길은 이롭지 않다(不利東北) 대인을 만나봄이 이로울 것이니(利見大人) 마침내 길할 것이다(貞吉)
  동쪽은 해가 뜨는 밝은 곳이니 곧 쉽게 볼 수 있는 수월한 곳을 상징하고 서쪽은 어두우니 쉽게 볼 수 없는 힘든 곳을 상징한다. 남쪽은 따뜻하고 편안한 곳이니 곧 도리에 맞는 곳을 상징하고, 북쪽은 추워서 기피하는 곳이니 곧 도리에 맞지 않는 곳을 상징한다. 어려운 때를 만났지만 설령 힘이 들어도 바른길을 가야하고, 쉽게 현실과 타협하여 바르지 못한 길을 가는 것은 옳지 않다. 건(乾)괘에서 자리를 모르고 밭에있는 용(龍在田)은 대인을 만나야 이롭다고 했으니, 마찬가지로 어디가 바른 곳인지 알 지 못한다면 대인의 만나 도움을 받으라고 한다.

 

往蹇來譽
그래야 어려움이 지나가면(往蹇) 명예를 얻을 수 있다(來譽)

  힘이 들어도 바른 길을 걸었기 때문이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명예를 얻을 수 있다. 공자께서 “추운 겨울이 된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논어 제9편 자한 제28장]고 하셨다. 힘들어도 바른 길을 가야 한다.

 

王臣蹇蹇 匪躬之故
정치가 어렵고 또 어렵다면(王臣蹇蹇) 스스로 만든 것이 아니다(匪躬之故).
  하늘이 하나요(-) 땅이 하나요(-) 사람이 하나(-) 이니 곧 삼(三)은 천지인의 합일을 말한다. 그 하늘과 땅과 사람을 곧게(I) 연결시켜주는 것이 왕이니 곧 왕은 하늘과 땅과 인간을 소통 시켜주는 자를 뜻한다. 그가 신하들과 더불어 행하는 정치가 어려운 것은 천지인이 소통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어렵고 또 어려움(蹇蹇)은 산 넘어 산이 가로막는 것으로 사람의 힘으로 방법이 없는 것을 뜻하니, 왕의 잘못이 아니라 하늘이 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往蹇來反
어려움이 지나가면(往蹇) 반대의 상황이 오게 된다(來反)
  주역이 말하는 핵심적인 물극필반(物極必反)의 가르침이다. 비가 계속될 수도 없고, 맑은 날도 계속될 수가 없다. 반드시 반대의 상황이 오게 마련이니 양이 극에 이르면 음이 되고 음이 극에 이르면 양이 되는 까닭이다. 어렵고 또 어려움(蹇蹇)도 반드시 반대의 상황을 맞게 된다.

 

往蹇來連
어려움이 지나가면(往蹇) 반대의 상황은 오랫동안 계속되리라(來連)
  어렵고 또 어려웠으니(蹇蹇) 그 어려웠던 만큼 오랫동안 좋은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大蹇朋來
큰 어려움은(大蹇) 벗이 찾아와(朋來) 도와줄 것이다.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큰 어려움은 반드시 도와주는 벗이 찾아온다고 한다. 옛말에 '죽으라는 법은 없다'거나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말과 연결된다. 그것이 하늘의 법칙이다. 하늘은 감당할 수 없는 시련을 주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往蹇來碩 吉 利見大人
어려움이 지나가면(往蹇) 큰 인물이 나오게(來碩)되니 길(吉)하다. 대인을 만나보아야 이롭다(利見大人)
  난세에 영웅이 나타나듯이 어려움이 지나면서 큰 인물이 나오는 법이다. 곧 하늘이 어려운 시기를 배분한 이유는 큰 인물을 세상에 내기 위한 까닭이기도 하다. 아무리 하늘이 낸 영웅이라도, 혼자의 힘으로 영웅이 될 수는 없다. 마땅히 사람과 함께 어울려야 한다. 사람의 도움으로 일어서고, 일어선 후 사람에게로 나아가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6

明夷 利艱貞
【初九】明夷于飛 垂其翼 君子于行 三日不食 有攸往 主人有言
【六二】明夷 夷于左股 用拯馬壯 吉
【九三】明夷于南狩 得其大首 不可疾貞
【六四】入于左腹 獲明夷之心 于出門庭
【六五】箕子之明夷 利貞
【上六】不明 晦 初登于天 後入于地

  명이(明夷) 괘는 밝음이 없어진다는 뜻이다. 공자께서 한탄했던 도가 무너진 세상을 의미한다. 공자께서는 “천하에 도가 살아있으면 나와서 일해야 하고 천하가 태평하지 않으면 숨어야 한다”[논어 제8편 태백 13장]고 하셨다. 물론 산 속으로 들어가 세상과 담을 쌓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으면서 갈고 닦으며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明夷 利艱貞
세상의 도가 무너지면(明夷) 성숙기와 말년사이가 어렵다(利艱貞)
  열매를 맺고 마감을 해야 하는 짧은 시간 속에서 도가 무너졌으니 뜻을 제대로 펼칠 수가 없으니 시절을 잘못 만났기 때문이다. 명이(明夷)의 시절에 전성기가 지나가면 안타까운 일이다. 하지만 때를 만나지 못해 결실을 맺고 마감을 할 수 없다면 그것도 천명(天命)일 지 모른다.

 

明夷于飛 垂其翼 君子于行 三日不食 有攸往 主人有言
도가 무너지면(明夷于飛) 날아야 할 때 그 날개를 접어야 한다(垂其翼) 군자의 길을 가면(君子于行) 3일 동안 먹을 수 없게 되고(三日不食) 시간이 지나가도(有攸往) 주인의 꾸지람만 듣게 된다(主人有言)
  도가 무너진 세상에서 오히려 군자의 길을 가면 배고픔이 있다고 한다. 좋은 소리를 들을수도 없다고 한다. 경제적으로도 궁핍하게 될 것이요, 명예도 얻을 수 없을 것이니 어찌해야 하는가? 주역은 날아야 할 때 그 날개를 접어야 한다고 하였으나, 변신하여 현실과 타협하라고 한 것은 아니다. 나아가려고 애쓰지 말라는 뜻이다.

 

明夷 夷于左股 用拯馬壯 吉
도가 무너져서(明夷) 왼쪽 허벅지에 화살을 맞더라도(夷于左股) 구조에 사용할 말의 힘이 세면(用拯馬壯) 길(吉)하다.
  도가 무너졌기 때문에 왼쪽 허벅지에 화살을 맞았으니 바르지 못함에 당한 것이다. 그러나 왼쪽 허벅지는 치명적이지 않은 신체의 부분이다. 치명타를 입지는 않았고 도와주는 센 힘이 있다면 큰 걱정이 아니다. 길(吉)한 이유는 날개를 접지 못하고 있는데 오히려 전화위복이 되어 날개를 억지로 접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明夷于南狩 得其大首 不可疾貞
도가 무너졌을 때 남쪽으로 사냥을 떠나서(明夷于南狩) 그 적의 수괴를 사로잡았다 하더라도(得其大首) 끝까지 서둘지 마라(不可疾貞)
  따뜻한 남쪽은 바른 도리를 상징한다. 그 곳에서 우두머리를 얻었으니 곧 세상을 밝은 도리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는 말이다. 그러나 끝까지 서둘지 않아야 한다. 세상의 도가 무너져 있으므로 급하게 세상을 변하도록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공자께서도 "성왕이 나타나더라도 한 세대가 지나야만 세상을 어질게 만들 수 있다"[논어 제13편 자로 제12장]고 하셨다. 세상을 하루아침에 바꿀 수는 없는 법이다.

 

入于左腹 獲明夷之心 于出門庭
왼쪽 뱃속에 들어가(入于左腹) 도가 무너져있는 마음을 알았다면(獲明夷之心) 속해있던 집단에서 나와야 한다(于出門庭).

  왼쪽 뱃속이란 곧 심장이 위치한 곳을 말한다. 옛 사람들은 사람의 생각이 살고 있는 장소는 뇌가 아니라 가슴으로 여겼다 한다. 그래서 마음이 아프면 가슴이 아프다고 생각하였고, 전통적으로 사람의 사망을 심장이 정지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근래에 뇌사를 인간의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 강하고 아마도 곧 그렇게 바뀌게 될 것 같기는 하다. 여하튼 그 마음을 통찰하여 도가 무너져 있음을 알았다면 속히 그 집단으로부터 나와야 현명하다고 한다.

 

箕子之明夷 利貞
도가 무너졌음을 알고 있는 현자(箕子之明夷)는 끝까지 이롭다(利貞)

  도가 무너졌는지의 여부를 아는 것도 안목이 없다면 판단하기 힘든 일이다. 명이(明夷)의 세상에는 교묘한 말이 진실을 속이고, 사이비가 진짜 행세를 하기 때문이다. 도가 무너진 세상은 말재주가 좋은 사람과 화려하게 꾸밀 줄 아는 사람이 존중 받는 세상이 되는 것이니, 곧 교언영색(巧言令色)이 난무하는 세상이라면 바른 도가 무너져 있는 세상일 것이다.

 

不明 晦 初登于天 後入于地
도가 무너졌음을 알지 못하는(不明) 어두움(晦)이라면 처음에는 하늘에 올라도(初登于天) 곧 땅으로 추락함으로써(後入于地) 마감을 하게 될 것이다.
  도가 무너졌음을 알지 못하는 어두운 안목을 가졌다면 처음에는 하늘에 오르는 것으로 착각하여도 후에 그 곳이 땅으로 추락하는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바른 도(道)가 무너졌음을 왜 알지 못할까? 도(道)에 마음을 두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고 먹어도 그 맛을 알 지 못한다”[대학 제7장 정심수신]고 하였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4

大壯 利 貞
【初九】壯于趾 征 凶 有孚
【九二】貞 吉
【九三】小人用壯 君子用罔 貞 厲 羝羊觸藩 羸其角
【九四】貞 吉 悔亡 藩決不羸 壯于大輿之輹
【六五】喪羊于易 无悔
【上六】羝羊觸藩 不能退 不能遂 无攸利 艱則吉

  주역뿐 아니라 옛 성현들의 가르침이 담긴 글에 나타나는 소(小)와 대(大)는 가정과 사사로움을 도모하는 의미의 소(小)와 나라와 사회전체의 이익을 도모하는 의미의 대(大)로 나누어 구분한 것이다. 그래서 소인(小人)은 가정을 가장 중시하는 곧 필부필부(匹夫匹婦)하면서 사는 일반 백성들을 의미하고, 대인(小人)은 남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사명을 다하는 사회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대장(大壯)도 마찬가지로 그러한 대(大)에 중점을 둔 왕성한 힘이며(壯) 사회전체의 이익을 도모하는 힘이니 이어지는 진(晉)괘의 권력을 이루기 위한 힘을 의미한다.

 

大壯 利貞
왕성한 기운(大壯)은 결실을 맺고(利) 마감하기(貞) 위해 쓰이는 기운이다.
  대장(大壯)은 결실을 맺고 마감을 하기 위한 기운의 발산이니, 대축(大畜)괘에서 말한 대축리정(大畜 利貞)과 같은 의미이다. 소축(小畜)은 성장기(亨)에 의욕 해야 하는 일이며, 대축은 열매를 맺고 마감하기 위해서(利貞) 이뤄야 하는 일이라고 했었다. 마찬가지로 아이를 낳기 위한 사용해야 할 소장(小壯)의 기운이라면 성장기(亨)이겠지만 사회를 위한 기운의 발산이므로 리정(利貞)인 것이다.

 

壯于趾 征 凶 有孚
기운이 발에 모여 있을 때(壯于趾) 나아감(征)은 흉(凶)하다. 뜻이 있어야 한다(有孚)
  기운이 발에 있음은 행동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육체적 힘에 치우쳐 있는 것을 말한다. 발(육체적 힘)과 머리(정신적 힘)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강한 물리적 힘으로 나아가는 것은 흉하니 정신가치가 뒷받침되지 않는 권력찬탈에 불과한 쿠테타가 오래갈 수 없는 까닭이다.

 

貞 吉
마지막(貞)이 되어야 길(吉)하다.

  대장(大壯)괘에서 말하는 강한 기운은 열매를 맺고 마감하기 위한 리정(利貞)의 힘이니, 곧 정점에서 가장 강력하게 터트리는 힘의 발산이다. 힘을 집중하여 남김없이 발산하여야 길하다. 배수의 진을 친 군대를 이기기가 힘든 까닭은 남김없이 힘을 발산하기 때문이다.


小人用壯 君子用罔 貞 厲 羝羊觸藩 羸其角
소인은 육체적 힘만 사용하려 하고(小人用壯) 군자는 그물만 사용하려 하면(君子用罔) 끝까지(貞) 위태롭다(厲) 새끼양이(羝羊) 울타리를 들이받고(觸藩) 그 뿔이 처량하게 된다(羸其角)
  열매를 맺고 마감하는 강한 힘의 집중은 혼자서 애쓰는 힘이 아니며 함께 뭉쳐서 행사하여야 할 힘이다. 그런데, 그 힘이 음양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소인과 대인이 따로따로 분산된 힘을 발산하고 있으니 위태로운 것이다. 양은 제사에서 희생양으로 삼는 동물인데, 힘없는 민초(백성)를 말함이다. 소인과 군자가 힘을 조화롭게 뭉치지 못하면, 애꿎은 백성들의 희생만 생기게 된다는 말이다.

 

貞 吉 悔亡 藩決不羸 壯于大輿之輹
마침내(貞) 길(吉)해지고 후회가 없게 되려면(悔亡) 울타리가 터져서(藩決) 처량함이 없어지고(不羸) 큰 수레를 타고 큰 기운이 터져나가게(壯于大輿之輹) 해야 한다.
  음과 양의 조화로움을 가로막고 방해하고 있는 벽이 곧 울타리이다. 그 울타리가 허물어지고 음양의 조화가 이뤄지면 거침없이 큰 기운이 퍼져나가게 될 것이다. 상호간에 조화를 도모하여 중용(中庸)의 도를 지켜야 한다.

 

喪羊于易 无悔
길 잃은 양은 돌아오게 해야(喪羊于易) 허물이 없다(无悔)
  큰 기운이 퍼져 나가기 위한 음양조화를 위해 우여곡절이 있었을 것이요, 뜻하지 않은 희생 역시 있었을 것이다. 길 잃은 양은 두려워 도망친 백성을 말함이니 다시 제자리로 데려와 보살펴주어야 허물이 없다. 어떻게 데려와야 하는가? 자공이 정치를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가까이 있는 백성들을 기쁘게 하면 멀리서도 저절로 모여들 것입니다”[논어 제13편 자로 제16장]라고 하셨다. 길 잃은 양을 돌아오게 하는 방법은 바른 정치로 도(道)를 밝히는 것이다.

 

羝羊觸藩 不能退 不能遂 无攸利 艱則吉
새끼양이 울타리를 들이받아(羝羊觸藩) 물러나지 못하고(不能退) 나아갈 수도 없다면(不能遂) 유리할 게 없지만(无攸利) 그 어려움이 있음으로(艱則) 길(吉)하다.
  길 잃은 양이라면 어디서 헤매고 있는지 몰라서 구해주러 찾아 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래서 스스로 찾아올 때 까지 기다려야 하니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진퇴양난에 빠져 오도가도 못하고 있는 양이라면 길 잃은 양을 찾는 것 보다는 쉽게 구할 수가 있다. 길 잃은 양은 속박되지는 않았으나 구해주기 어려운 양이며, 오도가도 못하게 된 양은 속박되어 보다 어려움에 처한 양이지만, 큰 기운이 터져나가 성취가 된 후에는 가장 먼저 구원을 받을 것이다. 그래서 그 어려움이 있는 것이 오히려 길(吉)한 까닭이다. 그래서 인생지사 새옹지마(塞翁之馬)라고 하였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3

遯 亨 小利貞
【初六】遯尾 厲 勿用有攸往
【六二】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
【九三】係遯 有疾 厲 畜臣妾 吉
【九四】好遯 君子吉 小人否
【九五】嘉遯 貞吉
【上九】肥遯 无不利

  나아가야 할 때 나아가고, 물러나야 할 때 물러나야 하는 것이 바른 도(道)이다. 둔(遯)괘는 숨는다는 뜻이나 비겁하게 물러나는 것이 아니라 용기있게 물러나는 것이다. 둔(遯)은 집에서 기르던 돼지(豚)가 우리밖으로 뛰쳐나가는 것을 상징하고 있다. 공자께서 “함부로 위험한 나라에 들어가지 말고 어지러운 나라에 거처하지 않아야 한다. 천하에 도가 살아있으면 나와 일해야 하고 천하가 어지러우면 숨어야 한다”[논어 제8편 태백 제13장]고 하셨으니, 외형은 물러남이지만 결과는 바른 곳으로 나아가는 것과 다름없다. 그것이 둔(遯)괘이다.

 

遯 亨 小利貞
물러나야(遯) 할 때는 성장기(亨)여야 하고 결실기와 마감기(利貞)에는 득이 적다(小)
  물러나는 것도 때를 놓치면 어렵게 된다. 일을 시작하여 성장하는 단계에서 물러나는 것이어야지 이미 결실기와 마감기로 접어드는 때 물러나는 것은 발을 너무 깊게 담근 상태에서 물러나는 것이다. 초창기에 과단하게 발을 빼야 한다. 시기가 늦으면 다른 길을 가는 것이 아니라 배신이 될 수도 있는 까닭이다.

 

遯尾 厲 勿用有攸往
미련을 남겨두면(遯尾) 위태로우니(厲) 시간이 지나가도록 기다리지 말라(勿用有攸往)
  많은 경우 시간이 저절로 해결해 주기도 한다. 그러나 미련이 남아 물러나야 할 때 물러나지 못하고 시간이 해결해 줄 거라고 기다리는 것은 좋지 못하다. 물러나야 할 때라면 미련을 두어 시간을 지체하지 말고 과단하게 물러나야 한다.

 

執之用黃牛之革 莫之勝說
황소의 가죽처럼 굳세고 질기게 물러나야 하니(執之用黃牛之革) 어떠한 일이 있어도 그 물러나겠다는 말을 막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莫之勝說)
  미련을 남기지 말고 황소의 가죽처럼 단호하게 물러나야 한다. 주위의 말에 귀를 기울여 혼란에 빠지지 말아야 할 것이니 『맹자』의 ‘부유하고 귀한 것이 흔들 수 없고 가난하고 비천한 것이 바꾸게 할 수 없고 위협과 무력이 굽히게 할 수 없다’는 말처럼 흔들리지 않는 굳센 마음으로, 물러나야 할 때라면 과단성 있게 물러나야 한다.

 

係遯 有疾 厲 畜臣妾 吉
물러남이 혼자만의 일이 아니라 복잡하게 얽혀 있다면(係遯) 병통이 있고(有疾) 위태로울 수도 있다(厲) 대비하여 신첩을 길러야(畜臣妾) 길(吉)할 것이다
.
  물러나는 것이 나 혼자만의 일이 아니어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 물러나기가 어렵다.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은 다섯번째 괘 수(需)괘에서 말한 발을 빼기 쉬운 모래밭에 있는 것(需于沙)이 아닌 발을 빼기 힘든 진흙밭에 있는 것(需于泥)이다. 진흙밭에 거주해야 한다면, 만약을 대비하여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준비를 해 두어야 한다. 신첩의 신(臣)은 남자종 첩(妾)은 여자종을 의미한다.

 

好遯 君子吉 小人否
즐겁게 물러나는(好遯) 군자는 길하나(君子吉) 소인은 즐거울 수 없을 것이다(小人否)
  즐거운 마음으로 물러날 수 있는 이유는 밀려나는 것이 아니요, 미련이 남은 것도 아니요, 물러나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물러나는 것이니 곧, 바른 길(道)을 따르는 것이기에 즐겁고 그 결과도 길(吉)할 것이다. 중용에 “군자가 중용을 행하는 것은 군자로서 때와 상황을 헤아려 적절하게 행동하는 것이다”[중용 제2장]라고 하였다. 그러나 소인이라면 오직 ‘물러난다’는 사실만 아프게 직시하여 즐거울 수 없을 지 모른다.

 

嘉遯 貞吉
칭찬속에 물러나니(嘉遯) 끝까지 길하다(貞吉)
  물러나는데 많은 사람들이 칭송하고 아름답게 여기니 자기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서 물러나는 마음을 알아주기 때문이다. 공자께서 “맹지반은 자랑하지 않는구나. 달아날 때 홀로 뒤쳐져 있다가 성문을 들어올 때 말을 채찍으로 때리며 뒤를 지킨 것이 아니라 말이 빨리 달리지 않았다고 하는구나”[논어 제6편 옹야 제15장]라고 칭찬하셨다.

 

肥遯 无不利
물러나더라도 풍족하다면(肥遯)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풍족은 단지 물질적 풍족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니 산 속으로 들어가 은둔하던 은자(隱者)들처럼 탐심을 없애니 오히려 더 커진 마음의 풍족함이다. 퇴계 이황 선생께서 지으신 ‘도산잡영(陶山雜詠)’이라는 시집에 나오는 ‘돌우물이 맛있고 시원하니 진실로 풍족하게 물러날 수 있는 장소를 베풀어 주셨도다(石井甘冽 允宣肥遯之所)’라는 표현에서 이 비둔(肥遯)을 만날 수 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2

恒 亨 无咎 利貞 利有攸往

【初六】浚恒 貞 凶 无攸利

【九二】悔亡

【九三】不恒其德 或承之羞 貞 吝

【九四】田无禽

【六五】恒其德 貞 婦人吉 夫子凶

【上六】振恒 凶

  항(恒)괘는 변하지 않으려는 것이니 곧 신념을 뜻한다. 지나치게 강한 신념은 외롭고 고독하게 만들지만, 신념이 없으면 자기 생과 삶을 개척해 나가지 못하고 이목에 이끌려 피동적으로 따라다니는 삶을 살게 만든다. 신념은 맹목과 맹신이 아니다. 귀를 닫고 눈을 감는 것이 아니라 귀를 더 열고 눈을 더 크게 떠야 하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무의무필무고무아(毋意毋必毋固毋我)'하셨다고 하니, "맘대로 짐작하는 것, 반드시 하려는 것, 절대로 하지 않으려는 것, 자신만 옳다고 하는 것" 이 네 가지 병통을 결코 가까이 하지 않으셨다고 한다.[논어 제9편 자한 제4장]

 

恒 亨 无咎 利貞 利有攸往

신념(恒)을 세우는 것은 성장기여야(亨) 허물이 없고(无咎) 성숙기와 마감기로(利貞) 시간이 지나가면 결실을 맺게 된다(利有攸往)

  말을 잘 듣고 순종하는 모범의 틀에 갇혀있으면 1등을 할 수는 있겠지만 수동적인 틀에 박힌 사람이 될 수도 있다. 공자께서는 "함께 배운다고 반드시 같은 길을 가지는 않으며, 같은 길을 간다고 반드시 같은 성취가 있는 것이 아니며, 같은 성취가 있다고 반드시 같은 융통성을 보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논어 제9편 자한 제30장]고 하셨다. 사람은 기계부품처럼 같을 수 없으니 젊을 때 자아를 확립하고 신념을 갖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젊을 때의 확립된 자아와 신념은 식견이 부족하여 냉정하고 정확할 수는 없을 것이나 허물은 아니다. 성숙기 마감기를 향해 시간이 지나가면, 식견이 높아지고 그 신념이 바르게 확립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浚恒 貞 凶 无攸利

지나치게 고집하면(浚恒) 끝(貞)이 흉(凶)하니 유리할 것이 없다(无攸利)

  준항(浚恒)은 조금의 융통성도 용납하지 않고 절대적으로 고수하는 고집스러움을 뜻한다. 논어에 “큰 절개는 엄격해야 하지만, 작은 절개는 때론 들고 날 수가 있다”[논어 제19편 자장 제11장]고 하였다. 제자 안회가 죽자 공자께서도 지나치게 슬퍼하면서 “내가 지나치게 상심하였느냐? 그러나 이런 사람을 위해서 지나치게 상심하지 않는다면 누구를 위해서 지나치게 하겠느냐?”[논어 제11장 선진 제9장]고 하셨다. 조선조의 유학은 작은 절개가 들쑥날쑥하면 마음이 방종해져 큰 절개를 해친다고 주장하며 엄격한 원칙론을 고수하였으니, 주역에서 말하는 준항(浚恒)이 아니었는가 싶다.

 

悔亡

그러나 후회는 없을 것이다(悔亡).

  지나친 원리원칙주의자는 외적으로는 흉하나 내적으로 후회는 없을 것이다. 자신은 맞다고 여기기 때문이며 옳다고 믿기 때문에 고수하는 것이기 때문인 까닭이다.

 

不恒其德 或承之羞 貞 吝

신념 없이 순종하는(不恒其德) 것이 오히려 수치를 당하게 하고(或承之羞) 끝내(貞) 어려움을 당하게 한다(吝)

  신념이 있는 것은 그것의 옳고 그름의 판단을 떠나 자아가 확립되고, 가치관이 정립이 되어 있음을 뜻한다. 그러한 신념 없이 순종하는 사람은 수치를 당하고 끝내 어려움을 당하니, 생각이 없어 갈대처럼 휘둘리는 사람보다는 지나쳐 융통성이 없을지라도 신념이 있는 편이 나을 것이다.

 

田无禽

사냥을 해도(田) 잡은 짐승이 없을 수는 있다(无禽)

  신념으로 인해 먹는 문제 즉, 경제생활에 문제가 생길 수는 있다. 순종하는 사람과 지나치게 고집하는 사람 모두 중용을 벗어난 것이다. 신념 없이 순종하면 수치스럽게 되니 곧 정신적인 아픔을 당하고, 지나치게 신념을 고집하면 고고함은 지킬 수 있으나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런 심리적 연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공자께서는 “신장은 욕심이 많은데 어떻게 굳셀 수 있겠는가?”[논어 제5편 공야장 제11장]라고 하셨다.

 

恒其德 貞 婦人吉 夫子凶

그 덕이 한결같아(恒其德) 끝까지(貞) 변치 않으면 부인은 길하겠지만(婦人吉) 남편은 흉하다(夫子凶).

  그래서 부인의 뜻을 꺾기가 더 어려울 지도 모른다. 남편은 집안과 가정을 위해서 그 뜻을 쉽게 꺾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부양의 의무감은 남자의 본능이기도 하다. 그래서 주역의 손(損)괘에서는 가정이 없는 충복(得臣无家)을 얻는다는 효사가 등장한다. 가정이 있으면 완전한 충복이 되기가 어렵다. 가정의 생계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부인의 덕은 가정을 단속하는 것이기에 변치 않아야 길하고, 남편의 덕은 소축기(가정), 대축기(사회)를 거쳐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는 변신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한결같으면 흉하다라는 해석도 좋은 것 같다.  

 

振恒 凶

신념을 흔드는 것(振恒)은 흉(凶)하다.

  신념은 내면적인 자존이다. 외부에서 영향을 주어 신념을 가지도록 하거나 신념을 굽히도록 강제하는 것은 흉할 뿐이다. 내면에서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공자께서도 “삼군대장의 권력을 빼앗을 수는 있겠지만 일개 보통사람이라도 그 의지를 빼앗을 수는 없다”[논어 제9편 자한 제26장]고 하셨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31

咸 亨利貞 取女 吉
【初六】咸其拇
【六二】咸其腓 凶 居 吉
【九三】咸其股 執其隨 往 吝
【九四】貞吉悔亡 憧憧往來 朋從爾思
【九五】咸其脢 无悔
【上六】咸其輔頰舌

  “군자의 도는 부부로부터 시작되어 그 지극함에 이르면 하늘과 땅에 밝게 드러난다”[중용 제12장]고 하였으니, 부부만큼 중요한 관계도 없을 것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신 인(仁)은 사람(人)이 둘(二)이라는 것이며, 공자께서 말씀하신 서(恕)는 마음(心)을 같게(如) 한다는 뜻이다. 나와 너가 마음으로 하나가 되는 것이기에 곧 도(道)는 부부관계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고 하였을 것이다.

 

咸 亨利貞 取女 吉
관계(咸)는 성장기부터 시작해 생의 끝까지 이어지니(亨利貞) 관계를 갖는것이(取女)이 길(吉)하다.
  불교는 성관계를 혐오한다고 오해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만, 불교의 교리가 부부관계를 금하는 것은 아니다. 수도승의 경우에 욕(慾)이 생겨 수행을 방해하므로 금하기도 하는데, 처자를 거느리고 수행하는 대처승도 있으며, 원효대사께서도 환속하셨다. 지나침은 모자라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용을 벗어난 치우침이다. 성도 과하거나 모자라는 것이 문제이지 부부관계를 하지 않아야 바른 것이 아니다. 한편, 괘사가 생의 끝까지 성관계를 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젊었을 때는 성관계가 대표적인 한 방법이겠지만, 나이가 들어서는 손을 한번 잡아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교감을 끊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咸其拇
엄지발가락을 애무함으로써 시작해야 한다(咸其拇).

  부부관계도 원형리정의 순탄한 변화의 과정을 겪어서 시작과 끝이 있어야 길하다. 단번에 열매를 맺는 것이 아니니 마음이 교감하기 위한 준비와 과정이 필요하다. 중용에 "먼 곳을 가기 위해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출발해야 하며, 높은 곳을 오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낮은 곳에서 시작해야 한다"[중용 제15장]고 하였으니, 엄지발가락부터 시작해야 한다.

 

咸其腓 凶 居 吉
그 종아리를 애무하고 있으니(咸其腓) 흉(凶)하다. 멈추는 것이(居) 길(吉)하다
.
  사람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종아리는 성감대가 아닌 까닭일 것이다. 보통은 자극에 예민하고 신경이 많이 모여있는 신체적 부분을 통해 교감을 시도하고 진도를 나아가야 한다. 멈춤의 도(道)를 뜻하는 간(艮)괘에서는 종아리에서 멈추는 것은 마음을 불괘하게 만든다고 하였으나(艮其腓 不拯其隨 其心不快) 그것은 전체적인 부부관계를 멈추는 것을 말하고, 여기서의 거(居)는 단순히 종아리의 애무를 멈추는 것을 말한다. 발가락을 애무함으로써 생긴 흥분 또한 사라질 것이니 쓸데없는 종아리의 애무는 멈추는 것이 길하다.

 

咸其股 執其隨 往 吝
그 허벅지를 애무하고 있으나(咸其股) 반응하는 대로 급하게 따라잡으려 하면(執其隨) 나아가더라도(往) 어렵다(吝).
  허벅지를 애무하는 것은 흥분이 절정에 이른 시점이다. 그러나 마음의 속도와 몸의 속도가 같지는 않다. 고통없이 관계를 가질 수 있으려면, 윤활액이 충분하기까지 기다려야 한다. 급하게 나아가는 것은 어렵다.

 

貞吉悔亡 憧憧往來 朋從爾思
마침내 길해지며 후회가 없게 되니(貞吉悔亡) 끊임없이 왕래해도(憧憧往來) 몸이 생각을 따를 것이다(朋從爾思).

  마침내 길해지는 것은 몸도 준비가 된 상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왕래하는 것은 반복운동을 말하며, 붕종이사(朋從爾思)는 직역하면 벗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는 것이니, 몸이 생각을 따른다거나 상대와 잘 호흡을 맞춘다거나, 어떻게 해석해도 크게 무리는 없는 것 같다.

 

咸其脢 无悔
관계가 끝난 후 등살을 애무해야(咸其脢) 후회가 없다(无悔)
  관계가 끝났다고 바로 일어서는 것은 배려심이 없는 것이다. 남자와 여자는 신체와 마음이 동일하지 않은 이성(異性)이다. 남성은 오르가슴이 있은 후 일정 기간 흥분을 느끼게 되지 않는 것과는 달리, 여성은 반복적으로도 다시 오르가슴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남자처럼 즉시 긴장이 풀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배려가 필요하다. 욕정의 해소로 끝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咸其輔頰舌
뺨과 혀를 애무함으로써(咸其輔頰舌) 마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뺨과 혀를 애무함으로써 부부관계의 순탄한 원형리정(元亨利貞)의 단계를 마쳐야 한다. 주나라 시대의 주역이 이렇게 부부관계의 도(道)와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기술하고 있다는 것은 놀랍기도 하다. 성(性)은 단순한 욕정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교감하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얼굴을 부비며 가벼운 입맞춤으로 도탑게 마무리를 해야 하는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